토론실
예전 영화코너에서 에일리언을 이야기하셨는데요.
가족으로 인한 고통과 그 복원을 위한 고통감수라고 잘 표현해주셨더군요 ^^

저도 소위 적령기가 다가오다 보니, 결혼에 대한 생각을 하게 됩니다.
하지만, 항복하듯이 결혼해서는, 혹, 정말 사랑했다고 해도
한사람과의 결혼제도라는 것 자체가 인간의 개개인의 자유에 부합되는것인지
의문입니다.

동렬님 자신도, 일종의 생계연합이라는 방식으로 갈등을 해소하려고 하시는것 같은데요.
늘 말씀하신 한국의 지독한 가족주의와도 배치가 되는 일이라, 선뜻 나서기가 힘드는군요.
동렬님의 개인적인 의견이 어떤지 듣고 싶습니다.
그럼 건필하십쇼.

파이팅~

김동렬

2006.01.17 (16:10:19)

제게 있어서는 삶의 비밀을 풀어보는 하나의 방식일 수 있지요. 결혼이라는 것이 '완전한 사랑'에 방해물이 될 수도 있습니다. 물론 개인적인 성격이나 환경에 따라 다르겠지만. 삶의 어떤 극점을 밟아보는 방법으로 인간에게 허용된 삶의 바운더리의 크기를 확인해 보고 싶다면 모험도 해볼만한 거지요.

제 생각엔 이후로도 결혼제도는 유지되겠지만 그 구체적인 양상은 상당히 변할 것이며 대략 6 대 4 비율로 결혼하거나 결혼하지 않거나를 택할 걸로 봅니다. 6은 결혼, 2는 결혼에 가까운 동거형태, 2는 독신으로 다양화 되지 않을까요.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sort
공지 구조론 매월 1만원 정기 후원 회원 모집 image 29 오리 2020-06-05 83088
508 이말년의 예언 김동렬 2016-05-19 4922
507 예술은 대칭이다. image 1 김동렬 2013-12-11 4939
506 백년해로할 배우자를 만나는 방법 1 빨간풍차 2008-12-28 4943
505 한 방에 이해하는 구조론 image 2 김동렬 2014-12-03 4943
504 그냥 사는게 사는걸까요? 1 가혹한너 2009-02-16 4947
503 조선은 왜 망했는가? image 김동렬 2015-03-05 4948
502 생각하기 힘든생각을 대신 생각해주시는 수고로움 image 1 가혹한너 2008-10-14 4949
501 궁금한데요... 2 다원이 2009-06-15 4956
500 근원의 표정 image 8 ahmoo 2011-03-09 4958
499 김유신묘 관련 이야기 조금 더 김동렬 2012-03-04 4959
498 남자는 진보의 적이다 image 4 김동렬 2013-06-26 4968
497 구조론 1번 읽은 기념 글쓰기 image 3 이상우 2010-01-31 4976
496 존재론과 인식론 아제 2010-12-09 4976
495 시스템에서 감각으로 5 양을 쫓는 모험 2009-06-04 4981
494 본격 변희재 때리는 만화 image 7 김동렬 2016-10-10 4985
493 진화의 목적은 없는가? 9 김동렬 2013-12-29 4990
492 '기준님하'의 '노무현이 죽는 이유에' 대한 댓글. 3 눈내리는 마을 2009-07-24 4993
491 [질문] 개념도에 나오는 모래시계의 사례에서. 3 르페 2009-01-06 5001
490 노무현이 죽는 이유 그리고 우리가 필승하는 방법 4 이기준 2009-07-22 5004
489 쉬어가며 읽는 글: 우리는 왜 자본주의를 해야하는 거죠? 기준님하 2009-07-23 50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