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읽기
프로필 이미지
[레벨:30]id: 김동렬김동렬
read 4882 vote 0 2016.01.14 (16:23:54)

       

    철학은 세 가지 물음에 답해야 한다. 첫째 ‘세상은 무엇인가?’ 둘째 ‘나는 누구인가?’ 셋째 ‘인생은 무엇인가?’ 첫 번째 물음의 답은 세상은 모두 하나로 연결되어 있다는 것이다. 완전성은 그곳에 있다. 거기서 에너지가 유도된다. 두 번째 물음의 답은 나는 독립적인 의사결정단위라는 것이다. 그러므로 존엄하다. 그 의사결정 권리에서 사회적인 권력이 나온다. 세 번째 물음의 답은 삶은 환경과의 부단한 상호작용이라는 거다. 대승적 팀플레이로 나갈 수 있다. 그 결과로 세상은 진보한다.[생각의 정석 32회]


    ◎ 세상은 무엇인가? - 모두 연결되어 있다. 완전성이다. 에너지다.
    ◎ 나는 누구인가? - 독립적 의사결정단위다. 존엄이다. 권력의 주체다.
    ◎ 인생은 무엇인가? - 환경과의 상호작용이다. 대승적 팀플레이다. 진보다.


    ‘복제≫조합≫연출’로 보면 세상은 복제하고, 나는 조합하고, 삶은 연출한다. 세상과 나와 나의 삶이 연결되어 하나의 일을 완성해 간다. 완전성은 원래 있다. YES와 NO의 갈림길에서 YES를 계속 선택하면 완전하다. 세상은 불빛, 나는 필름, 삶은 영화의 스크린이다. 세상의 에너지를 받아 내가 의사결정해서 삶으로 연출한다.


[레벨:30]솔숲길

2016.01.14 (17:36:19)

[생각의 정석 32회] 삼국지를 말한다. 

http://gujoron.com/xe/462854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sort 조회
공지 닭도리탕 닭볶음탕 논란 종결 2 김동렬 2024-05-27 17212
3418 사랑 64, 지성은 호랑이를 이긴다 image 1 김동렬 2016-03-01 5036
3417 중국을 망친 손자병법 image 2 김동렬 2016-02-29 6494
3416 공자 끝, 말을 알아야 사람을 안다 image 1 김동렬 2016-02-29 5669
3415 사랑 63, 개는 깨달을 수 없다 image 1 김동렬 2016-02-29 5156
3414 역사는 유목민이 만들었다 image 4 김동렬 2016-02-27 6768
3413 말을 똑바로 하면 깨달음이다 image 3 김동렬 2016-02-26 5240
3412 사랑의 정석 62, 소들의 평상심 image 1 김동렬 2016-02-26 5113
3411 공자 22, 교언영색은 새누리다 image 김동렬 2016-02-26 5632
3410 중용 끝, 효는 개인주의다 image 김동렬 2016-02-25 5455
3409 공자 21, 나면서 아는 것이다 image 김동렬 2016-02-25 5132
3408 사랑의 정석 61, 산은 산 물은 물 image 1 김동렬 2016-02-25 4973
3407 공자와 노자 사상의 뿌리 image 김동렬 2016-02-25 5659
3406 공자 20, 안 되는 줄 알면서 image 6 김동렬 2016-02-24 5773
3405 사랑의 정석 60, 세계시민권을 팔자 image 2 김동렬 2016-02-24 4733
3404 중용 2, 정곡을 찌르다 image 3 김동렬 2016-02-23 5172
3403 공자 19, 어울리되 묶이지 않는다 image 김동렬 2016-02-23 4947
3402 사랑의 정석 59. 반듯한 것은 굽었다 image 1 김동렬 2016-02-23 4887
3401 중용1, 어울리되 휩쓸리지 않는다 image 1 김동렬 2016-02-22 5775
3400 사랑의 정석 58, 사람을 사랑하라 1 김동렬 2016-02-22 5176
3399 공자18, 중용이냐 쓸모냐 image 1 김동렬 2016-02-22 533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