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읽기
프로필 이미지
[레벨:30]id: 김동렬김동렬
read 4872 vote 0 2016.01.13 (13:23:36)

     

    승자와 패자로 나눠지는 구조라면 지는 팀이다. 이기는 팀은 승자만 있고 패자는 없다. 모두 연결되어 있는 대승의 팀이기 때문이다. 푸틴이 금메달을 뺏어가서 무엇을 이겼지? 소치올림픽의 패배다. 모두 연결시켜 대승의 눈으로 보면 다른 답이 얻어진다. 진리의 팀, 진보의 팀, 문명의 팀, 자유의 팀, 신의 팀에 들면 항상 이긴다. 인류가 가는 대승의 길에 적도 없고 패배도 없다. [생각의 정석 31회]


    인간은 무언가와 대칭을 이루어야만 어떤 판단을 할 수 있다. 그래서 승자와 패자로 나누기 좋아한다. 그렇게 장벽을 세우고 칸을 나누어 소통을 막으면 다툼은 사리지고 평화가 찾아오고 고요하게 죽어간다. 그렇게 얻어진 평화는 죽음의 평화다. 생명체와 같은 조직은 환경과의 상호작용을 통해 진보하고 발달한다. 그 상호작용 과정은 칸을 나누고 장벽을 세우는 것처럼 보이지만 실제로는 상대방의 전부를 끌어내기 위해 나의 전부를 내던지는 과정이다. 작은 거래에서 큰 거래로 올라서는 방법이다. 작은 사랑에서 큰 사랑으로 올라서는 절차다. 작은 통합에서 큰 통합으로 올라선다. 외부에서의 피상적 관찰로 보면 그 과정은 서로 편을 가르고 적대하는 것처럼 보인다. 나의 전부를 상대방에게 내던질 때는 뒤로 약간 물러서는 법이다. 그 과정은 적대적 대칭관계로 보인다.


[레벨:30]솔숲길

2016.01.13 (20:02:48)

[생각의 정석 31회] 구조론이 좋은 이유

http://gujoron.com/xe/461558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sort
공지 닭도리탕 닭볶음탕 논란 종결 2 김동렬 2024-05-27 7176
2724 양자화와 구조론 image 1 김동렬 2015-12-24 4919
2723 고쳐쓴 세상의 단위는 무엇인가? image 김동렬 2015-09-20 4915
2722 공자 19, 어울리되 묶이지 않는다 image 김동렬 2016-02-23 4911
2721 짧지 않은 깨달음 image 2 김동렬 2015-10-25 4904
2720 미국의 몰락 2 김동렬 2018-09-02 4901
2719 노자 7, 무위가 아니라 대위다 image 김동렬 2016-02-11 4900
2718 깨달음의 전말 image 김동렬 2016-02-11 4897
2717 어린 여자에게 끌리는 진짜 이유 1 김동렬 2021-01-16 4890
2716 사랑의 정석 12회 5 김동렬 2015-12-15 4889
2715 히키코모리가 되는 이유 4 김동렬 2019-02-18 4888
2714 복제능력은 언어감각에 있다. 2 김동렬 2015-12-30 4882
2713 사랑 89, 아름다움에 도전하라 image 1 김동렬 2016-04-04 4879
2712 사랑 88, 관측의 문제 image 1 김동렬 2016-04-01 4876
2711 누가 불쌍한 쥴리에게 돌을 던지나? 2 김동렬 2021-07-01 4874
2710 사랑의 정석 41, 선수를 쳐라 image 2 김동렬 2016-01-27 4873
» 사랑의 정석 31, 이기는 팀에 들기 1 김동렬 2016-01-13 4872
2708 구조의 기본형 image 김동렬 2015-12-21 4871
2707 왜 엔트로피인가? image 2 김동렬 2015-10-21 4866
2706 양자화 단계 image 김동렬 2015-12-08 4859
2705 사랑의 정석 59. 반듯한 것은 굽었다 image 1 김동렬 2016-02-23 485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