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읽기
프로필 이미지
[레벨:30]id: 김동렬김동렬
read 4802 vote 0 2016.01.12 (11:43:18)

     

    과학에서의 발견과 성취가 문화적 환경의 변화를 낳고, 환경의 큰 변화가 역사의 큰 사건을 낳고, 역사의 큰 사건이 인류의 큰 철학을 낳는다. 20세기는 진보도 성큼성큼 큰 걸음이었고, 사건도 난리 터지는 대사건이었다. 철학자도 큰 목청을 가졌다. 지금은 다들 소심해졌다. 아기나 얼르며 얼럴러까꿍 한다. 심지어 그걸 철학이라고 한다. 그렇다! 철학이 죽은 시대를 우리는 살고 있다. 슬프다! 누가 큰 목소리로 말해줘야 한다. ‘그건 철학이 아냐. 이 시대의 실패를 반영하는 슬픈 자화상에 지나지 않아. 현실이 망가졌다고 넋마저 빼놓고 다니지는 말아.’ 이런 일갈이 필요하다. 가능한가? 가능하다. 새로운 철학의 자원이 발견되었기 때문이다. 바야흐로 스마트 시대다. 계절이 바뀌면 일기예보에 관심을 가져야 한다. 시대가 바뀌면 누군가는 새로운 진보의 방향을 말해줘야 한다. [생각의 정석 30회]


    종은 환경이 바뀔때마다 거기에 맞는 새로운 환경과의 상호작용 형태를 도출해 왔다. 그것이 진화다. 진보 역시 바뀐 시대적 환경에 걸맞는 새로운 상호작용의 형태를 도출해야 한다. 20세기는 자동차 환경과 전자환경이 이끌었다면 21세기는 스마트 환경으로 출발하고 있다. 자동차 환경의 정답은 운전기사의 양성이고 전자환경의 정답은 역량있는 PD의 발굴이다. 스마트 환경의 정답 역시 70억 인류를 통합시킨 단일한 뇌가 연출하는 오케스트라의 지휘자를 양성하는 것이다. 원시 부족민은 사냥한 고기를 나눌 수 있는 지도자가 필요했고, 농경시대 봉건인은 삼림을 벌채하고 얻은 토지를 나눌 수 있는 지도자를 키워야 했다. 중세의 덕목은 기마병을 이끌 수 있는 지도자에게 맞춰졌고, 근세의 덕목은 원양항해를 책임질 선장에 맞춰졌다. 그것이 그 시대의 철학이다. 인류의 진보는 이동기술의 진보이며 한편으로 그에 따른 통합기술의 진보이다. 이동의 단위, 통합의 단위가 한 단계씩 도약할때마다 거기에 걸맞는 지도자를 철학은 배출해야 한다.


[레벨:30]솔숲길

2016.01.12 (11:57:12)

[생각의 정석 30회] 창의하는 방법을 알려주마!

http://gujoron.com/xe/453861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sort
공지 닭도리탕 닭볶음탕 논란 종결 2 김동렬 2024-05-27 2527
2681 일본몰락 국힘추락 4 김동렬 2021-08-10 4791
2680 다섯개의 모형 image 김동렬 2015-11-04 4777
2679 사랑의 정석 51, 정상이 되자. image 1 김동렬 2016-02-11 4760
2678 테트라포드 구조론 image 1 김동렬 2019-09-08 4755
2677 생즉사 사즉사 이준석 2 김동렬 2022-08-15 4749
2676 마음의 변화 2 김동렬 2019-03-20 4745
2675 깨달음은 패턴을 복제하는 능력이다 image 김동렬 2015-12-31 4741
2674 MZ세대의 집단자살 3 김동렬 2022-08-31 4737
2673 사랑의 정석 14회 2 김동렬 2015-12-17 4734
2672 인간이 도박하는 이유 2 김동렬 2020-06-12 4733
2671 사랑 73, 아름다움을 안는다 image 1 김동렬 2016-03-14 4722
2670 2층과 1층 image 김동렬 2015-11-09 4722
2669 사랑의 정석 46, 봄의 봄 image 1 김동렬 2016-02-02 4714
2668 간신 이준석 1 김동렬 2022-08-16 4712
2667 사랑의 정석 60, 세계시민권을 팔자 image 2 김동렬 2016-02-24 4704
2666 사랑의 정석 23회, 길한 점괘는? 1 김동렬 2015-12-31 4703
2665 차별은 잘못일까? image 김동렬 2015-12-03 4703
2664 구조론 사전 계속 김동렬 2016-01-05 4697
2663 사랑의 정석 28, 불행의 이유 1 김동렬 2016-01-07 4696
2662 사랑의 정석 36, 깨달음의 소리 image 1 김동렬 2016-01-20 468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