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읽기
프로필 이미지
[레벨:30]id: 김동렬김동렬
read 4782 vote 0 2016.01.12 (11:43:18)

     

    과학에서의 발견과 성취가 문화적 환경의 변화를 낳고, 환경의 큰 변화가 역사의 큰 사건을 낳고, 역사의 큰 사건이 인류의 큰 철학을 낳는다. 20세기는 진보도 성큼성큼 큰 걸음이었고, 사건도 난리 터지는 대사건이었다. 철학자도 큰 목청을 가졌다. 지금은 다들 소심해졌다. 아기나 얼르며 얼럴러까꿍 한다. 심지어 그걸 철학이라고 한다. 그렇다! 철학이 죽은 시대를 우리는 살고 있다. 슬프다! 누가 큰 목소리로 말해줘야 한다. ‘그건 철학이 아냐. 이 시대의 실패를 반영하는 슬픈 자화상에 지나지 않아. 현실이 망가졌다고 넋마저 빼놓고 다니지는 말아.’ 이런 일갈이 필요하다. 가능한가? 가능하다. 새로운 철학의 자원이 발견되었기 때문이다. 바야흐로 스마트 시대다. 계절이 바뀌면 일기예보에 관심을 가져야 한다. 시대가 바뀌면 누군가는 새로운 진보의 방향을 말해줘야 한다. [생각의 정석 30회]


    종은 환경이 바뀔때마다 거기에 맞는 새로운 환경과의 상호작용 형태를 도출해 왔다. 그것이 진화다. 진보 역시 바뀐 시대적 환경에 걸맞는 새로운 상호작용의 형태를 도출해야 한다. 20세기는 자동차 환경과 전자환경이 이끌었다면 21세기는 스마트 환경으로 출발하고 있다. 자동차 환경의 정답은 운전기사의 양성이고 전자환경의 정답은 역량있는 PD의 발굴이다. 스마트 환경의 정답 역시 70억 인류를 통합시킨 단일한 뇌가 연출하는 오케스트라의 지휘자를 양성하는 것이다. 원시 부족민은 사냥한 고기를 나눌 수 있는 지도자가 필요했고, 농경시대 봉건인은 삼림을 벌채하고 얻은 토지를 나눌 수 있는 지도자를 키워야 했다. 중세의 덕목은 기마병을 이끌 수 있는 지도자에게 맞춰졌고, 근세의 덕목은 원양항해를 책임질 선장에 맞춰졌다. 그것이 그 시대의 철학이다. 인류의 진보는 이동기술의 진보이며 한편으로 그에 따른 통합기술의 진보이다. 이동의 단위, 통합의 단위가 한 단계씩 도약할때마다 거기에 걸맞는 지도자를 철학은 배출해야 한다.


[레벨:30]솔숲길

2016.01.12 (11:57:12)

[생각의 정석 30회] 창의하는 방법을 알려주마!

http://gujoron.com/xe/453861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sort
3538 캐릭터의 족보 image 김동렬* 2012-10-21 8642
3537 노벨물리학상과 구조론 image 김동렬 2016-10-05 8624
3536 죽음은 무엇인가? image 김동렬 2016-09-27 8619
3535 달이 뜨다 김동렬* 2012-10-21 8615
3534 제 2의 스푸트니크 쇼크가 온다. image 11 김동렬 2015-06-29 8609
3533 사기당하지 않으려면 image 1 김동렬 2014-06-19 8608
3532 깨달음의 정답은 스타일이다 image 김동렬* 2012-10-21 8605
3531 인간이 관측하다. image 김동렬 2016-10-14 8601
3530 모기는 남자를 문다. image 김동렬* 2012-10-21 8601
3529 깨달음은 관계다 image 김동렬* 2012-10-21 8590
3528 경제예측은 가능한가? 9 김동렬 2014-02-10 8582
3527 상호작용의 밀도를 높여라 image 1 김동렬* 2012-10-21 8579
3526 이상주의란 무엇인가? image 2 김동렬 2014-12-02 8574
3525 깨달음에 정답은 있다 image 김동렬* 2012-10-21 8572
3524 구조란 무엇인가? 김동렬 2014-02-02 8570
3523 아름답다는 것은 무엇인가? image 1 김동렬 2016-09-27 8569
3522 구조주의 역사학 세계사 image 김동렬 2016-09-28 8565
3521 에너지와 구조 김동렬 2018-06-06 8564
3520 산은 산이고 물은 물이다 6 김동렬 2014-08-14 8562
3519 질과 입자 image 2 김동렬 2013-11-04 855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