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읽기
프로필 이미지
[레벨:30]id: 김동렬김동렬
read 4868 vote 0 2016.01.12 (11:43:18)

     

    과학에서의 발견과 성취가 문화적 환경의 변화를 낳고, 환경의 큰 변화가 역사의 큰 사건을 낳고, 역사의 큰 사건이 인류의 큰 철학을 낳는다. 20세기는 진보도 성큼성큼 큰 걸음이었고, 사건도 난리 터지는 대사건이었다. 철학자도 큰 목청을 가졌다. 지금은 다들 소심해졌다. 아기나 얼르며 얼럴러까꿍 한다. 심지어 그걸 철학이라고 한다. 그렇다! 철학이 죽은 시대를 우리는 살고 있다. 슬프다! 누가 큰 목소리로 말해줘야 한다. ‘그건 철학이 아냐. 이 시대의 실패를 반영하는 슬픈 자화상에 지나지 않아. 현실이 망가졌다고 넋마저 빼놓고 다니지는 말아.’ 이런 일갈이 필요하다. 가능한가? 가능하다. 새로운 철학의 자원이 발견되었기 때문이다. 바야흐로 스마트 시대다. 계절이 바뀌면 일기예보에 관심을 가져야 한다. 시대가 바뀌면 누군가는 새로운 진보의 방향을 말해줘야 한다. [생각의 정석 30회]


    종은 환경이 바뀔때마다 거기에 맞는 새로운 환경과의 상호작용 형태를 도출해 왔다. 그것이 진화다. 진보 역시 바뀐 시대적 환경에 걸맞는 새로운 상호작용의 형태를 도출해야 한다. 20세기는 자동차 환경과 전자환경이 이끌었다면 21세기는 스마트 환경으로 출발하고 있다. 자동차 환경의 정답은 운전기사의 양성이고 전자환경의 정답은 역량있는 PD의 발굴이다. 스마트 환경의 정답 역시 70억 인류를 통합시킨 단일한 뇌가 연출하는 오케스트라의 지휘자를 양성하는 것이다. 원시 부족민은 사냥한 고기를 나눌 수 있는 지도자가 필요했고, 농경시대 봉건인은 삼림을 벌채하고 얻은 토지를 나눌 수 있는 지도자를 키워야 했다. 중세의 덕목은 기마병을 이끌 수 있는 지도자에게 맞춰졌고, 근세의 덕목은 원양항해를 책임질 선장에 맞춰졌다. 그것이 그 시대의 철학이다. 인류의 진보는 이동기술의 진보이며 한편으로 그에 따른 통합기술의 진보이다. 이동의 단위, 통합의 단위가 한 단계씩 도약할때마다 거기에 걸맞는 지도자를 철학은 배출해야 한다.


[레벨:30]솔숲길

2016.01.12 (11:57:12)

[생각의 정석 30회] 창의하는 방법을 알려주마!

http://gujoron.com/xe/453861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sort
공지 닭도리탕 닭볶음탕 논란 종결 2 김동렬 2024-05-27 20491
공지 신라 금관의 비밀 image 7 김동렬 2024-06-12 8518
4244 서프는 무엇으로 사는가? image 김동렬 2007-04-17 11951
4243 에너지는 연역이다. image 김동렬 2017-10-31 11941
4242 구조론은 깨달음이다. image 김동렬 2017-07-19 11940
4241 황진이 대 미녀는 괴로워 김동렬 2006-12-31 11940
4240 진리의 보편성과 일반성 image 8 김동렬 2015-02-15 11922
4239 정동영, 김근태 위화도 회군하나? 김동렬 2007-01-06 11922
4238 계로 시작하라 image 김동렬 2018-01-29 11919
4237 역사의 원동력은 무엇인가? image 5 김동렬 2018-04-15 11918
4236 에너지를 이해하라 image 2 김동렬 2017-10-25 11917
4235 왜 소통이어야 하는가? 김동렬 2007-04-11 11915
4234 좌절감을 느낄 때 image 7 김동렬 2013-12-10 11912
4233 마음은 어디서 나왔는가? image 19 김동렬 2012-12-28 11912
4232 지성의 역사(추가버전) image 7 김동렬 2010-09-26 11912
4231 0 아니면 1, 모 아니면 도 image 4 김동렬 2013-01-09 11910
4230 구조론과 깨달음 김동렬 2008-08-27 11910
4229 황란 제 2라운드 김동렬 2006-01-25 11909
4228 에너지의 세계관 image 김동렬 2017-11-02 11907
4227 자본주의란 무엇인가? 김동렬 2008-05-20 11907
4226 절대어를 훈련하라 image 7 김동렬 2012-02-16 11906
4225 Re.. 누가 이회창과 악수하며 손톱으로 긁었냐? 김동렬 2002-12-09 119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