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론실
read 11709 vote 0 2005.11.29 (13:31:32)

디알 사전 계획을 축하드립니다
오래 번뇌하고 내린 결정이라 생각합니다.
단순한 칭송이 아닙니다. 글 결 속에 그간의 고민들이 녹아있고, 그걸 느껴 진동하기 때문입니다.

예, 맞습니다. 전체를 걸고 싸워야 합니다.
영국인들이 초기에 해적이었고, 미국인들이 초창기에 양키였듯이
거칠게 움직이는 역사를 바꿔가는 사람들이 찌질이들을 무색케 하는데 동의합니다.

저는 과학도입니다. 그렇다면 과학도로서의 자기 성찰과 쌓아감이 있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비록 지금은 미국의 주류과학사회에서 변두리로 머물러 있지만
자신감있게 치고 나갈 시기를 꿈꿉니다.
와신상담의 기운으로.

그렇다면, 과학자와 한국사회와의 연결점은 어디일까요? 격암님이 말씀하신대로, 단절된
한국사회와 과학계를 연결할 고리를 어떻게 확장시킬 수 있을른지요...

과학자들이 그저 떠든다고 되는 일도 아니고, 주변부에서 변죽만 울린다고 되는 일이 아닐겁니다.
서태지가 음악계에서 했듯이 속시원하게 뚫어주는 일이 절실하다고 봅니다.

기결은, 제 개인적인 이야기로 마무리할까 합니다.
박사과정 이후의 진로를, 그냥, 국내에서 적당한 대학교수로 잡고 있던 제게
동렬님의 글은 확신 그자체였다는 겁니다.
열어제끼는 일에서, 과학도가 할 수 있는 일을 고민하고 있습니다.
차차 윤곽이 잡히겠지만, 함께 논의했으면 합니다.

소통은 열려 있지만, 고뇌하지 않으면 과학의 아폴론을 마음끝까지 받아들이지 않으면
되지 않을 과업이라고 생각합니다.
하지만, 끝을 보고 싶습니다.

늘 건필 건승하십시요.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공지 구조론 매월 1만원 정기 후원 회원 모집 image 29 오리 2020-06-05 83365
2090 대니얼 카너먼의 돌 1 chow 2023-06-03 5445
2089 국토학교를 소개합니다 수원나그네 2023-06-03 5441
2088 학교폭력예방법의 개정 방향 이상우 2023-05-30 5506
2087 장안생활 격주 목요모임 image 오리 2023-05-24 6001
2086 진보와 보수 1 레인3 2023-05-22 6087
2085 장안생활 격주 목요모임 image 오리 2023-05-10 6412
2084 仁流 image 덴마크달마 2023-05-10 6452
2083 사토시 나카모토 추정 인물 image 2 오리 2023-05-09 6487
2082 학폭예방법의 가장 큰 문제는 관계를 배울 기회를 실종시켜 버렸다는 점 이상우 2023-05-08 6005
2081 감자 보급과 이중의 역설 SimplyRed 2023-05-06 5776
2080 1980년대, 2000년대의 2 사이클 dksnow 2023-05-06 5181
2079 장안생활 격주 목요모임 image 오리 2023-04-26 5195
2078 구글 바드 테스트 image 1 chow 2023-04-21 5176
2077 장안생활 격주 목요모임 image 김동렬 2023-04-13 4877
2076 구조론, 내시균형과 컴퓨터게임 SimplyRed 2023-04-11 5095
2075 ChatGPT의 훈련 방법 image chow 2023-03-24 6432
2074 장안생활 격주 목요모임 image 오리 2023-03-22 5357
2073 노블 vs 도킨스 1 오리 2023-03-18 5656
2072 대중음악과 발성의 구조 SimplyRed 2023-03-17 4723
2071 빙ai에게 구조론에 대해 물어봤습니다 image 1 오민규 2023-03-15 47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