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론실
read 16173 vote 0 2005.11.29 (13:31:32)

디알 사전 계획을 축하드립니다
오래 번뇌하고 내린 결정이라 생각합니다.
단순한 칭송이 아닙니다. 글 결 속에 그간의 고민들이 녹아있고, 그걸 느껴 진동하기 때문입니다.

예, 맞습니다. 전체를 걸고 싸워야 합니다.
영국인들이 초기에 해적이었고, 미국인들이 초창기에 양키였듯이
거칠게 움직이는 역사를 바꿔가는 사람들이 찌질이들을 무색케 하는데 동의합니다.

저는 과학도입니다. 그렇다면 과학도로서의 자기 성찰과 쌓아감이 있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비록 지금은 미국의 주류과학사회에서 변두리로 머물러 있지만
자신감있게 치고 나갈 시기를 꿈꿉니다.
와신상담의 기운으로.

그렇다면, 과학자와 한국사회와의 연결점은 어디일까요? 격암님이 말씀하신대로, 단절된
한국사회와 과학계를 연결할 고리를 어떻게 확장시킬 수 있을른지요...

과학자들이 그저 떠든다고 되는 일도 아니고, 주변부에서 변죽만 울린다고 되는 일이 아닐겁니다.
서태지가 음악계에서 했듯이 속시원하게 뚫어주는 일이 절실하다고 봅니다.

기결은, 제 개인적인 이야기로 마무리할까 합니다.
박사과정 이후의 진로를, 그냥, 국내에서 적당한 대학교수로 잡고 있던 제게
동렬님의 글은 확신 그자체였다는 겁니다.
열어제끼는 일에서, 과학도가 할 수 있는 일을 고민하고 있습니다.
차차 윤곽이 잡히겠지만, 함께 논의했으면 합니다.

소통은 열려 있지만, 고뇌하지 않으면 과학의 아폴론을 마음끝까지 받아들이지 않으면
되지 않을 과업이라고 생각합니다.
하지만, 끝을 보고 싶습니다.

늘 건필 건승하십시요.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공지 구조론 매월 1만원 정기 후원 회원 모집 image 29 오리 2020-06-05 208361
243 구조론적 개입 -양육- 3 오세 2010-07-12 9145
242 직장생활의 지랄성 image 3 양을 쫓는 모험 2010-07-02 12948
241 동양의 음양사상과 서양의 논리학 image 1 양을 쫓는 모험 2010-06-29 15142
240 스티브 잡스의 아이콘 image 4 양을 쫓는 모험 2010-06-22 11853
239 스노우보드 타는 요령 image 5 양을 쫓는 모험 2010-06-15 17439
238 결혼의 조건 image 5 양을 쫓는 모험 2010-06-12 11611
237 구조론은 수학이다. 1 아제 2010-06-10 8109
236 구조의 나무 image 4 양을 쫓는 모험 2010-06-08 12500
235 R e l e a s e . . image 7 조영민 2010-06-07 9443
234 구조를 보라, 얼마나 할까 ░담 2010-06-04 8799
233 국민 불패 선거 구조 2 ░담 2010-06-03 7807
232 토요일 구조론 연구모임 공지입니다. image 3 김동렬 2010-05-28 8705
231 인간의 짝. 1 아제 2010-05-27 7503
230 지성세력의 맡은 바- 소임[所任]의 구조 ░담 2010-05-26 9130
229 이기는 선거 (승전vs패전) vs(전쟁vs평화) ░담 2010-05-25 9641
228 언어 구조의 대강 image ░담 2010-05-19 14628
227 s k i n . . image 3 조영민 2010-05-18 8188
226 구조론으로 본 영어 어원(엑셀파일로 정리함) 1 오세 2010-05-16 11635
225 끝내 이기는 세력의 이유 2 ░담 2010-05-12 8547
224 강하다는 것은 무엇일까? image 7 양을 쫓는 모험 2010-05-11 1248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