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론실
read 11710 vote 0 2005.11.29 (13:31:32)

디알 사전 계획을 축하드립니다
오래 번뇌하고 내린 결정이라 생각합니다.
단순한 칭송이 아닙니다. 글 결 속에 그간의 고민들이 녹아있고, 그걸 느껴 진동하기 때문입니다.

예, 맞습니다. 전체를 걸고 싸워야 합니다.
영국인들이 초기에 해적이었고, 미국인들이 초창기에 양키였듯이
거칠게 움직이는 역사를 바꿔가는 사람들이 찌질이들을 무색케 하는데 동의합니다.

저는 과학도입니다. 그렇다면 과학도로서의 자기 성찰과 쌓아감이 있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비록 지금은 미국의 주류과학사회에서 변두리로 머물러 있지만
자신감있게 치고 나갈 시기를 꿈꿉니다.
와신상담의 기운으로.

그렇다면, 과학자와 한국사회와의 연결점은 어디일까요? 격암님이 말씀하신대로, 단절된
한국사회와 과학계를 연결할 고리를 어떻게 확장시킬 수 있을른지요...

과학자들이 그저 떠든다고 되는 일도 아니고, 주변부에서 변죽만 울린다고 되는 일이 아닐겁니다.
서태지가 음악계에서 했듯이 속시원하게 뚫어주는 일이 절실하다고 봅니다.

기결은, 제 개인적인 이야기로 마무리할까 합니다.
박사과정 이후의 진로를, 그냥, 국내에서 적당한 대학교수로 잡고 있던 제게
동렬님의 글은 확신 그자체였다는 겁니다.
열어제끼는 일에서, 과학도가 할 수 있는 일을 고민하고 있습니다.
차차 윤곽이 잡히겠지만, 함께 논의했으면 합니다.

소통은 열려 있지만, 고뇌하지 않으면 과학의 아폴론을 마음끝까지 받아들이지 않으면
되지 않을 과업이라고 생각합니다.
하지만, 끝을 보고 싶습니다.

늘 건필 건승하십시요.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sort 조회
공지 구조론 매월 1만원 정기 후원 회원 모집 image 29 오리 2020-06-05 83378
2050 쉬어가며 읽는 글: 서로 다른 관점이 낳는 오해의 예 2 기준님하 2009-07-21 5240
2049 관계와 소통 완벽정리 1 기준님하 2009-07-21 4629
2048 하나의 일을 완성하는 원리 6 이기준 2009-07-21 4698
2047 노무현이 죽는 이유 그리고 우리가 필승하는 방법 4 이기준 2009-07-22 5006
2046 쉬어가며 읽는 글: 우리는 왜 자본주의를 해야하는 거죠? 기준님하 2009-07-23 5006
2045 사회체제 속에 숨은 진실 1 기준님하 2009-07-23 4504
2044 이 세상은 왜 혼란스러운가 2 기준님하 2009-07-23 4486
2043 '기준님하'의 '노무현이 죽는 이유에' 대한 댓글. 3 눈내리는 마을 2009-07-24 4995
2042 구조론을 적용한 질적 연구방법론 3 오세 2009-07-24 5536
2041 신자유주의를 극복하는 방법 3 기준님하 2009-07-24 5124
2040 서로 다른 관점을 이용하는 방법 1 기준님하 2009-07-25 5171
2039 신기술 세력이 주종 관계를 극복해야 한다. 3 기준님하 2009-07-25 6346
2038 인터넷, 인류 진보. ░담 2009-07-27 6278
2037 앞으로 연구방향에 대해서 알림 1 기준님하 2009-07-29 5215
2036 구조론적인 사고법 3 김동렬 2009-07-29 6188
2035 이런 저런 대화 지여 2009-08-05 5705
2034 [질문] 왜 죽었다는 뜻으로 '깨(께)팔러 갔다'고 하는지? 10 우야산인 2009-08-13 14621
2033 예술이란 무엇인가? image 2 양을 쫓는 모험 2009-08-28 6160
2032 굿바이 송진우 눈내리는 마을 2009-08-31 5776
2031 조형창작교육 개괄 3 ahmoo 2009-09-08 47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