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유 게시판

구조강론-동원력, 역사 이해의 핵심 편에서 가장 높은 단계의 동원 시스템은 문화를 토대로 한 자연스러운 것이라고 이해했습니다.


조금 어긋나고 생뚱맞을 수도 있으나 저는 로마의 군사 충원 시스템의 한 예가 떠올랐는데요. 적장이었던 한니발이 있었을 당시 그는 당대 전쟁을 가장 잘 수행하는 걸로 인정받았으며 로마군대 역시 전투로서는 그의 적수가 되지 못했다고 하죠. 그렇지만 한니발이 결국 로마에게 패했던 건 죽여도 죽여도 다시 편성되어 쏟아져 나오는 로마군대의 재생력(?) 덕분이었다고 합니다. 


당시 로마는 자국의 병사가 급히 모자르게 될 시, 일명 형제국으로 불렀던 속국의 국민들에게 로마군이 되어 군복무를 하면 인기가 높았던 로마 시민권을 줌으로서 인원을 빠르게 충원시키는 식이었다죠. 이는 로마의 시민권이라는 문화의 질이 심지어 타국(속국이라고는 하더라도)의 국민들까지도 (군사력으로서였지만) 효과적으로 동원한 예라고 볼 수 있을지요?


아니면 로마 시민권은 단지 물적인 이익이 큰 권한이기에 인기가 높았던 것으로만 보아야 할자요?


프로필 이미지 [레벨:30]id: 김동렬김동렬

2018.01.11 (10:45:29)

억지로 끼워맞추려고 하면 안 됩니다.

이런건 역사전문가에게 물어봐야 합니다.


카르타고와 동맹시들이 상당히 느슨한 동맹결합이라면

로마는 보다 중앙집권화 되어 있었다고 봐야지요.


카르타고는 원래 이스라엘 근처에서 이주해 왔는데

카르타고가 멸망하는 상황에도 본국에 상납금을 바쳤다는데


가족적인 유대로 이루어진 특이한 나라로 봐야 할 겁니다.

한니발이 가야연맹 비슷한 관습에 익숙한 나머지


로마의 중앙집권화된 시스템을 이해하지 못했다고 봐야죠.

카르타고는 로마의 압제에 시달리던 도시들을 해방시켰는데


해방된 도시들은 감사하기는 커녕 시큰둥했다는데

그 사이에 많은 변화가 있었던 겁니다.


상업도시에서 상당부분 농업국가로 변신했다거나

농업국가들이 원래 동원력이 높습니다.

프로필 이미지 [레벨:7]현강

2018.01.11 (11:15:23)

감사합니다 동렬님.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sort
192 비트코인이나 최경환이나 부루 2018-01-12 1542
191 환장 하십니다. 아제 2017-12-27 1542
190 구조론 목요모임(장안동, 필수인력) image 오리 2020-03-12 1541
189 구조론 목요모임 image ahmoo 2018-04-19 1540
188 '사학비리' 봐준 검찰부터 개혁을 image 수원나그네 2019-09-24 1535
187 구조론 목요모임 image ahmoo 2018-06-28 1535
186 2019년 새해맞이 오프라인 모임 3 mowl 2019-01-02 1533
185 쉬운 것과 어려운 것. 5 아제 2018-01-03 1533
184 구조론 목요모임 image ahmoo 2018-05-10 1532
183 왜 깨달음인가. 1 아제 2018-01-03 1532
182 구조론 목요모임 image 3 ahmoo 2018-03-29 1531
181 구조론 목요모임 image ahmoo 2018-03-22 1531
180 특정 지역민들의 일본 우익들과 같은 행동 패턴 1 부루 2017-11-22 1531
179 정들지 말라. 아제 2017-12-15 1530
178 학교폭력으로부터 학교를 구하라 공저자로 EBS라디오 행복한 교육세상에 출연하였습니다. 이상우 2018-11-05 1529
177 그렇게 편할까. 아제 2017-12-27 1529
176 청주 구조론 모임!(막달 15일) image 알타(ㅡ) 2018-12-06 1528
175 아프다는 것. 아제 2017-12-14 1527
174 구조론 이론의 완성은 몇년도로 봐야합니까? 1 서단아 2019-06-30 1525
» 구조강론-동원력 편 관련해서 질문드립니다 2 현강 2018-01-11 15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