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읽기
프로필 이미지
[레벨:30]id: 김동렬김동렬
read 4918 vote 0 2016.01.05 (11:18:07)

     

    창의는 머리가 아니라 가슴에서 나오는 것이다. 인간이 자연을 칼질하여 갈갈이 찢어놓고 거기서 한 부분씩 따오는 바람에, 자연은 크게 왜곡되고 감추어졌다. 무엇보다 자연의 완전성과 감응하는 민감한 센스가 필요하다. 자연과의 교감에 필요한 것은 차가운 지식이 아니라 내면의 뜨거운 에너지다. [생각의 정석 26회]


    인간의 창의 역시 자연의 진화와 같은 방법을 써야 한다. 진화는 환경을 복제하고 조합하고 연출하는 방법을 쓴다. 환경이 다양한 정도만큼 자연은 진화한다. 진화를 통해 환경을 바꾸고 바뀐 환경이 또다시 진화를 촉발시키는 주거니받거니 방법으로 종은 환경과 상호작용한다. 인간의 창의도 마찬가지로 복제, 조합, 연출의 방법을 써야 한다. 그러려면 먼저 환경과 반응하는 능력을 키워야 한다. 다양한 환경 속으로 뛰어들어야 하며 그들과 친해져야 한다. 영재교육을 한다면서 가둬놓고 조지는 한국식 교육은 최악이다. 모든 위대한 것은 어떤 둘의 만남에서 얻어졌다. 창의는 완전히 다른 분야에 속하는 두 사람이 만나 서로의 것을 훔치는 것이다. 그 만남의 현장에서, 치열한 도둑질의 현장에서 편안하지 못하면 창의는 실패다. 잡스는 워즈니악을 훔치고 워즈니악은 잡스를 훔친다. 머리로는 훔치지 못하나 마음으로는 능히 훔친다. 그것이 사랑이다. 사랑의 크기만큼 창의할 수 있다.


   


[레벨:30]솔숲길

2016.01.05 (11:54:13)

[생각의 정석 26회] 천하의 개쌍놈, 광해

http://gujoron.com/xe/441068

프로필 이미지 [레벨:11]오맹달

2016.01.05 (12:57:24)

자연의 완전성과 교감하는 민감한 센스.
공자의 인이 바로 그것이 아닌가 합니다.
도올은 인의 반대로 읽히는 불인이 한의학에서는 마비, 즉 느끼지 못함이라고 하더군요.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sort
공지 닭도리탕 닭볶음탕 논란 종결 2 김동렬 2024-05-27 6261
3364 왜 한중일미독인가? image 김동렬 2016-10-01 8356
3363 구조론의 대의 image 3 김동렬 2013-12-23 8370
3362 자기 생각을 쓰지 마라 6 김동렬 2014-09-17 8389
3361 바둑은 장기를 이긴다 7 김동렬 2014-07-15 8411
3360 구조론으로 본 홍명보축구 image 김동렬* 2012-10-21 8420
3359 점 선 면 입체 그리고 차원 1 김동렬 2014-09-30 8422
3358 삶의 정답은 있다 image 김동렬* 2012-10-21 8438
3357 신에게서 인간으로 7 김동렬 2018-06-19 8446
3356 블랙스완은 두 번 나타난다. image 김동렬 2014-02-11 8480
3355 종교의 실패 김동렬 2018-06-21 8482
3354 바람은 불지 않는다 김동렬 2018-06-03 8496
3353 구조론자의 마음 9 김동렬 2014-03-23 8503
3352 의사결정모형으로 사유하라 2 김동렬 2013-11-28 8506
3351 문제해결의 우선순위 image 4 김동렬 2014-05-22 8535
3350 특이점을 찾아라 image 1 김동렬 2013-10-23 8543
3349 마지막 한 걸음 김동렬 2013-12-16 8545
3348 범죄자와 대학생 3 김동렬 2018-07-03 8545
3347 진화는 예측된다. 김동렬* 2012-10-21 8546
3346 긍정의 법칙 4 김동렬 2014-05-04 8546
3345 균일의 불균일 1 김동렬 2018-06-08 854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