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읽기
프로필 이미지
[레벨:30]id: 김동렬김동렬
read 4990 vote 0 2016.01.01 (12:57:07)

    

    인류역사상 처음으로 에베레스트 정상에 올라, 거기서 더 이상 오를 고지가 없음을 확인했을 때, 그 정상의 이미지가 어떤건지, 그 느낌이 어떤 것인지를 인터뷰한다면 그것이 철학이다. 정상에서의 느낌을 인류가 공유함으로써 방향을 잡아야 한다. 철학은 70억 인류가 가는 방향을 오른쪽에서 왼쪽으로 1도 틀어놓을 때, 그 절정의 순간에 느껴지는 오르가즘이다. 70억이 일제히 방향을 틀 때 전해오는 파동은 느낌이 다른 거다. 그래서 아이폰 신제품이 나온다면 문 앞에 텐트치고 기다리는 사람이 있다. 좀 느껴보자는 거다. 김연아가 최고의 연기를 마쳤을 때, 그 순간 인류의 뾰족한 모서리 하나가 결정된 것이다. 인류의 대표자 관점이 아니면 철학은 아니다. 철학은 알렉산드로스 대왕의 칼끝에 있다. [생각의 정석 24회]


    철학을 개인적인 감상이나 늘어놓으며 자기소개 하는 걸로 안다면 곤란하다. 인생이 허무하다는둥, 세상이 공하다는둥 헛소리 하는 자는 500방씩 맞아야 한다. 70억 인류호의 버스 운전사라면 사거리에서 커브를 돌더라도 크게 돌아야 한다. 너무 조용하게 운전해도 좋지 않다. 승객들은 차가 위태롭게 커브를 돌고 있다는 사실을 알고 있어야 한다. 너무 과격하게 핸들을 꺾어도 좋지 않다. 다가오는 파도를 보고 놀란 승객이 보트에서 벌떡 일어서면 배가 중심을 잃고 전복되는 이치다. 모두가 다가온 위기를 알아야 하지만 그러면서도 숨을 멈추고 움직이지 말아야 한다. 승객의 목숨을 책임지는 선장의 마음을 가져야 한다. 더 나아가 과거와 미래를 기승전결로 이어가는 마음을 가져야 한다. 더 나아가 신의 마음을 가져야 한다. 호연지기를 얻어 천하인이 되어야 한다. 완전히 다른 인류로 거듭나야 한다. 천하인에게는 허무도 없고 괴로움도 없으며 죽음도 없고 멈춤도 없다. 들판의 타오르는 불처럼 자체의 에너지에 의해 사건을 연결하며 계속 가는 것이다. 산에 오르는 이유는 산이 그곳에 있기 때문이 아니라 멈출 수 없기 때문에 계속 가는 것이다. 철학은 의사결정능력이다.


[레벨:30]솔숲길

2016.01.01 (21:30:59)

[생각의 정석 24회] 설특집 ; 결혼이란 무엇인가?

http://gujoron.com/xe/436594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sort 조회
공지 닭도리탕 닭볶음탕 논란 종결 2 김동렬 2024-05-27 23484
공지 신라 금관의 비밀 image 7 김동렬 2024-06-12 12987
3348 사랑 116, 쾌락과 고통 image 4 김동렬 2016-06-13 5464
3347 인지혁명이 시작되다 image 1 김동렬 2016-06-13 6427
3346 최초에는 최초가 없다 image 김동렬 2016-06-13 5569
3345 이스터 섬의 진실 image 1 김동렬 2016-06-14 6519
3344 사랑 117, 낚이지 말고 낚아라 1 김동렬 2016-06-16 5587
3343 구조론의 출발 3 김동렬 2016-06-16 5769
3342 구조론의 원점 김동렬 2016-06-17 5721
3341 서세원과 조영남 2 김동렬 2016-06-20 6583
3340 사랑 118, 결단의 에너지 1 김동렬 2016-06-21 5894
3339 논어 더보기 2 김동렬 2016-06-21 6303
3338 대화가 끝나는 지점 image 3 김동렬 2016-06-23 6722
3337 사랑 119, 사랑의 통제권 1 김동렬 2016-06-27 5201
3336 공자선생의 정답 김동렬 2016-06-28 5791
3335 승리자의 길로 가야 한다 김동렬 2016-06-29 6171
3334 공자의 최종결론 김동렬 2016-07-05 5773
3333 알아서 해라 5 김동렬 2016-07-05 6541
3332 모순이 있어야 정상이다 1 김동렬 2016-07-06 5825
3331 사랑 120, 갈 길이 멀다 1 김동렬 2016-07-07 5144
3330 보편 평등 민주 자본 사회 김동렬 2016-07-07 5753
3329 진짜 이야기를 하자 4 김동렬 2016-07-08 588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