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유 게시판
프로필 이미지
[레벨:11]까뮈
read 2586 vote 0 2015.12.18 (09:25:51)

제 여동생 딸이 이번에 모 대학 사학과에 붙었기에 외삼촌으로서

책 한권을 선물하고 싶은데 무엇이 좋을 지 우리 회원님들의 과감한

추천 요망합니다.


최대 세권까지도 생각 중이니 꼭 한권에 집착하지 않아도 됨다.^^


[레벨:5]미루

2015.12.18 (09:54:39)

이 게시물에 언급된 서적 중에 골라보심이 어떨지요.


http://www.clien.net/cs2/bbs/board.php?bo_table=park&wr_id=43151676

프로필 이미지 [레벨:11]까뮈

2015.12.18 (10:08:52)

박시백의 조선왕조실록이 꽂히는데 금액이 너무 크고 한홍구 책은 맘에 드는데 

이제 새내기인 조카가 흥미를 느낄 지 모르겠네요.

프로필 이미지 [레벨:21]이상우

2015.12.18 (10:30:43)

새내기라면 꼭 읽어보면 좋겠네요.

역사를 좋아하는 학생이라면 좋은 선물이 될 것 입니다.

프로필 이미지 [레벨:11]까뮈

2015.12.18 (10:33:00)

한홍구 책을 말하는지요?

프로필 이미지 [레벨:21]이상우

2015.12.18 (10:51:40)

예. 저도 몇 권 읽어봤는데, 읽어볼만하네요.

프로필 이미지 [레벨:27]오리

2015.12.18 (10:33:46)

이기적 유전자 - 리차드 도킨스. 

인간이라는게  유전자가 만들어 낸 단백질 로보트라는  관점을  가지고  사학 공부를 하면  도움이 될 것 같습니다. 

프로필 이미지 [레벨:11]까뮈

2015.12.18 (10:36:26)

선물 할 책이 늘어나네요^^

[레벨:4]당당

2015.12.18 (12:20:51)

이수윤의 <서양철학사> 상.하 2권을 추천합니다.


철학사로는 별로 좋은 건 아니지만, 읽고나면

세상의 모든 주장들 주장하는 사람들은 별로 의식하지 못하고 시작하지만

나름의 뿌리가 있고, 다른 주장들과 연관성과 일관성이 있으며

그 주장은 극단으로 치달리기 쉽다는 걸 알아차립니다.


두께가 장난이 아니다. 상하권 합쳐서 약 2,300쪽이 된다.

정말 재미도 별로고 이해도 별로나, 읽고나면 하나하나의 세세한 흐름보다 큰 통찰력이 생긴다.

참고로, 아들놈이 고등학교를 졸업하고 대학에 합격했을 때 그 책을 읽으라고 권했는데

몇장 읽더니 포기하더군요.


[레벨:5]상무공단의아침

2015.12.18 (12:28:26)

부의 탄생(the birth of plenty)-윌리엄 번스타인 지음/김현구 옮김


근대 서양의 과학혁명, 산업혁명의 과정과 구조를 가장 읽기쉬우면서도 


깊이 있게 다룬 책이라 생각합니다.



프로필 이미지 [레벨:21]이상우

2015.12.18 (14:30:09)

최인호의 유림도 나름 읽을만합니다. 동양철학사가 한 눈에 들어오고, 조선시대 선비들의 삶과 그들이 꿈꾼 이상이 잘 녹아있네요.

프로필 이미지 [레벨:13]아나키

2015.12.18 (18:52:58)

김동렬 쉬운 구조론과 생각연구 추천합니다
프로필 이미지 [레벨:11]까뮈

2015.12.19 (09:46:22)

모든 의견 감사합니다.잘 생각해서 선택하겠습니다.

[레벨:3]조영민

2015.12.19 (21:36:24)

동렬님의 책 이외에 다른 책을 선물할게 있다구요?

여기 구조론 연구소 맞나요?

간만에 로그인하게 만드시네
프로필 이미지 [레벨:13]kilian

2015.12.20 (02:47:00)

동감입니다. 예전에 주셨을 수도 있겠네요^^. 조카분의 합격 축하 드립니다.

[레벨:3]대갈장군

2015.12.20 (19:25:02)

50만원 현찰선물~~~^^
지금 책을 읽으라고 ???
길을 떠나야지~~~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sort 조회
1492 노원 단일선대위, 구역권 단일정책, 합동유세는 김어준의 아이디어! 7 난너부리 2012-03-26 2980
1491 심야토론을 통해 본 총선판도와 바램 7 토마스 2012-03-25 3321
1490 입력 ---> 출력,기억,제어 ---> 출력 image 2 카르마 2012-03-25 3364
1489 31일 '이기는 법' 북 콘서트 image 30 ahmoo 2012-03-24 3690
1488 둘째 아이들에 대한 단상. 5 이상우 2012-03-24 9014
1487 이제 최상의 그림을 그릴 때 8 토마스 2012-03-23 3162
1486 아토피등 피부염 치료가능성 구조론에서 찾다 15 기똥찬 2012-03-23 3680
1485 이털남 들으며 울컥했던 출근길 3 태곰 2012-03-23 2578
1484 소모임 정모 3 귀족 2012-03-22 2393
1483 선불교 법맥으로 살펴 보는 선차(茶) 계보 image 3 아란도 2012-03-22 10945
1482 이걸 다행이라고 해야 하나? 6 토마스 2012-03-20 2909
1481 존중과 대화의 학교 문화 만들기 하실 분 모이세요. 3 이상우 2012-03-20 2525
1480 이정희 궁금해서 잠이 안오네. 3 노매드 2012-03-19 2872
1479 위대한 기업? 기똥찬 2012-03-16 2266
1478 인간을 널리 이롭게 하시오. 5 양을 쫓는 모험 2012-03-14 2768
1477 조금 전, 모바일 경선 표 날려 먹은 것 같소. 6 노매드 2012-03-13 2648
1476 독한 리더십 속에도 팀캐미스트리를 발견할 수 있을까요? 5 기똥찬 2012-03-13 3416
1475 이사진 보다가 그만 울컥... image 3 폴라리스 2012-03-12 2827
1474 통진당 홈피보다 답답해서... 24 아란도 2012-03-12 3215
1473 비타민 정제 먹을수록 독이라는데.... 2 곱슬이 2012-03-12 30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