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읽기
프로필 이미지
[레벨:30]id: 김동렬김동렬
read 5023 vote 0 2015.12.16 (22:35:14)

     

    깨달음 스무고개


    1) 세상은 대칭으로 이루어져 있다.


    2) 대칭은 어떤 의사결정이 일어나는 지점이다.


    3) 1 회의 의사결정이 1 단위의 사건event을 이룬다.


    4) 세상은 원자의 집합이 아니라 사건의 연결로 되어 있다.


    5) 사건은 계의 입력에서 출력까지 일work을 진행하여 에너지를 처리한다.


    6) 계 안에서 대칭을 작동시켜 입력+원인+의사결정+결과+출력의 일을 한다.


    7) 사건의 각 단계를 질, 입자, 힘, 운동, 량의 다섯 매개변수로 나타낼 수 있다.


    8) 질은 결합하고 입자는 독립하고 힘은 교섭하고 운동은 변화하고 양은 침투한다.


    9) 에너지 유도+사건의 시작+공간의 방향+시간의 순서+에너지 회수에 해당한다.


    10) 다섯 매개변수가 각각 의사결정측 상부구조와 실행측의 하부구조를 구성한다.


    11) 인간의 외부관찰은 관측의 상대성이 성립하는 실행측 하부구조만 볼 수 있다.


    12) 절대성이 성립하는 결정측의 상부구조는 패턴복제-연역추론으로 알 수 있다.


    13) 깨달음은 인간의 언어능력에 반영되어 있는 패턴복제-연역추론 원리를 쓴다.


    14) 관측의 상대성과 일의성의 비대칭에 의해 두 번 뒤집어봐야 바르게 보인다.


    15) 세상은 두 번 뒤집어서 다시 본래로 되돌아가지만 그 사이에 진보해 있다.


    16) 우주는 에너지, 물질, 화학, 생물, 문명의 다섯가지 진화로 설명이 된다.


    17) 물리량은 에너지, 물질, 공간, 시간, 정보의 형태로 인간에게 관측된다.


    18) 다섯 매개변수는 밀도, 입체, 각, 선, 점의 5개 차원을 성립시킨다.


    19) 진리는 다섯 매개변수를 통한 자연과 인간의 대칭성을 반영한다.


    20) 에너지의 동적 속성은 양자의 불확정적 중첩성질로 나타난다. 


    고등학교 2학년때 제논의 궤변을 배우다가 존재의 모형을 만들었다. 운동은 없고 자리바꿈만 있으며, 빛의 진행은 직진이 아니라 자리바꿈의 연속이며, 그러므로 위치가 원래 없고, 외력에 의한 계의 붕괴가 위치를 낳고, 위치의 붕괴가 힘을 낳고, 힘의 붕괴가 운동을 낳고, 운동의 붕괴가 양으로 전달되는 것이 우리가 관측하는 열이라는 거다. 인력은 없고 척력만 있다는 점이 각별하다. 인력은 위치가 있어야 하는데 위치의 특정은 많은 전제를 필요로 하므로 배척한다. 곧 의사결정이 가능한 방향만 선택한다는 의미다. YES와 NO 중에서 YES만 계속 선택하면 이렇게 된다. 이 모형은 양자역학의 여러 보고와 유사한 데가 있으므로 일부 용어를 빌어쓰지만 출발점이 다른 별개의 논리라는 점에 유념해야 할 것이다.




   DSC01488.JPG


    자연은 일work로 이루어져 있고, 일은 대칭을 쓰고, 일해서 사건event을 만드는데, 근본적으로는 세상과 인간의 커다란 대칭이 일대사건을 이루니 곧 진리가 되고, 그 사이에 다섯 매개변수가 지지고 볶고 하여 세상의 온갖 다양한 모습을 연출하지만 그래봤자 패턴복제라는 단순한 방법을 쓰는 것이며, ‘에너지≫대칭축≫방향≫순서≫정보’라는 복제원리만 알면 낱낱이 격파된다는 것이며, 복제원리는 인간의 언어본능 안에 갖추어져 있으므로 말만 제대로 하면 깨달음에 이른다는 이야기입니다.  


[레벨:16]id: momomomo

2015.12.17 (14:31:27)

스무고개 넘어가려니 숨이 깔딱깔딱 합니다.^__^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sort
공지 닭도리탕 닭볶음탕 논란 종결 2 김동렬 2024-05-27 23997
공지 신라 금관의 비밀 image 7 김동렬 2024-06-12 13621
3328 에너지와 구조 김동렬 2018-06-06 8716
3327 깨달음의 정답은 스타일이다 image 김동렬* 2012-10-21 8724
3326 모기는 남자를 문다. image 김동렬* 2012-10-21 8727
3325 죽음은 무엇인가? image 김동렬 2016-09-27 8728
3324 상호작용의 밀도를 높여라 image 1 김동렬* 2012-10-21 8741
3323 캐릭터의 족보 image 김동렬* 2012-10-21 8750
3322 근원의 논리는 하나다 2 김동렬 2018-06-11 8760
3321 모형으로 이해하라 김동렬 2014-01-02 8764
3320 21세기의 절대성 세계 1 김동렬 2013-10-29 8778
3319 에너지란 무엇인가? image 김동렬 2016-10-14 8778
3318 삼성의 소행, 성공한 도둑질인가? image 김동렬* 2012-10-21 8781
3317 완전한 모형을 품기 1 김동렬 2014-01-09 8784
3316 관성력으로 이겨야 진짜다 김동렬 2018-06-26 8785
3315 최근 글 정리 김동렬 2018-06-22 8793
3314 자기소개하지 말라? image 4 김동렬 2014-07-10 8794
3313 관계를 깨달음 김동렬* 2012-10-21 8796
3312 완전성이란 무엇인가? image 김동렬* 2012-10-21 8806
3311 깨달음은 스타일이다 image 김동렬* 2012-10-21 8811
3310 존재의 원형 image 김동렬 2013-11-29 8812
3309 약자를 격동시켜라. 김동렬 2018-06-01 88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