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론실
프로필 이미지
[레벨:15]오세
read 3167 vote 0 2015.12.15 (10:04:27)


1. 시사리트윗
- 검은 사제들
- 콩고민주공화국 화장실 전파사업
- 사법고시, 없애야 한다
- 제국의 위안부
- 세월호 청문회
- 안철수의 멸망정치


2. 개념 탑재 - 사유의 모형


3. 진짜 역사 - 맥아더, 대한민국을 버렸다


진행 : 오세 / PD : 냥모
패널 : 김동렬, 냥모
제작 : LALALACAST



팟캐스트 생각의 정석은 청취자 여러분의 후원금으로 제작되고 있습니다.

후원안내 : 우리은행 1005-102-705135 (예금주 : 랄랄라스튜디오)

존엄과 자유를 거치지 않은 사랑은 하려고 해도 잘 안 되는 겁니다. 노예가 주인을 짝사랑해봤자 실패입니다. 공자에게서 존엄트레이닝을 받고, 석가에게서 자유트레이닝을 받아야 합니다. 그 다음 예수에게서 사랑트레이닝을 받고, 잡스에게서 성취 트레이닝을, 마지막 천상병의 행복트레이닝을 받으면 하산해도 됩니다.   

   

정상을 찍고 내려오는 법까지 전하는 방송 생각의 정석 104회 시작합니다


1. 시사리트윗

-사시, 없애야 한다

-이런 거 잘 안됩니다 : 인류의 '싸는 문제', 이들이 해결합니다 콩고민주공화국에서 화장실 전파사업을 하는 사람들

-역사 잘 못 배우면 이렇게 됩니다 : '제국의 위안부' 박유하, 비판론에 "예외 소중히 하고 싶다" http://media.daum.net/culture/others/newsview?newsid=20151210235056646

-안철수의 멸망정치


2. 개념탑재 

-사유의 모형 

◎ 창세기 모형.. 일의 시작과 끝이 정해진 점은 과학적이다.
◎ 삼위일체 모형.. 상부구조의 애매한 양자적 특성을 반영한다.
◎ 인과율 모형.. 서구의 진보를 끌어낸 수학적 사유의 원천이다. 
◎ 고집멸도 모형.. 1 단위로 종결되는 사건의 완결성을 반영한다. 
◎ 윤회설 모형.. 존재의 집합과 다른 사건 연결의 맥락을 반영한다.
    ◎ 원형이정 모형.. 인과율을 발전시켰으나 완결성을 강조하지 못했다.
    ◎ 사단칠정 모형.. 상부구조 4단과 하부구조 7정의 구분이 유의미하다. 
    ◎ 성도교 모형.. 성에서 도, 도에서 교로 가는 위계서열에 맥락이 있다.
    ◎ 이유극강 모형.. 상부구조의 부드러운 양자적 특성을 설명하고 있다. 
    ◎ 음양오행 모형.. 대칭을 비대칭으로 풀어내는 아이디어가 독특하다.
    ◎ 이원론 모형.. 상부구조와 하부구조의 전개를 차별주의로 해석했다. 
    ◎ 사원소설 모형.. 물, 불, 흙, 숨결이 모두 질의 애매함을 반영한다. 
    ◎ 변증법 모형.. 상부구조와 하부구조를 통일적으로 보려는 시도다.
    ◎ 원자론 모형.. 강체가 유체를 이기는 일의 하부구조를 설

-


3. 진짜 역사

-◎ 고대 약탈집단은 도시에 살며 인구를 줄이려고 성밖사람을 학살했다. 

    ◎ 고대의 생산력으로 인구증가는 재앙이므로 학살만이 유일한 정치였다. 
    ◎ 약탈에서 수탈로 바뀌며 학살이 아닌 우리가 아는 국가가 자리잡았다.
    ◎ 철제 농기구가 보급되면서 대장간을 지배하는 형태로 국가가 등장했다.
    ◎ 야금기술의 발달은 운철≫주철≫단조철≫접쇠기술 순으로 일어났다. 
    ◎ 고대 약탈시대 농경은 목기와 석기를 썼으며 농사일은 거의 안했다.
    ◎ 왕이 농민에게 주는게 없으므로 관리의 파견과 통치는 불가능했다. 
    ◎ 주철이 보급되어 철기로 농사일을 시작하면서 주나라 문명이 생겼다.
    ◎ 석기와 목기로 농사를 지은 은나라는 영토를 지배하는 국가가 아니다.
    ◎ 단조철이 보급되어 철기로 무장하자 고구려, 백제, 신라가 건국했다.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sort
공지 구조론 매월 1만원 정기 후원 회원 모집 image 29 오리 2020-06-05 86344
896 Design Thinking과 구조론 2 ahmoo 2015-10-22 3981
895 개방형 사무실의 실패 1 김동렬 2017-02-21 3982
894 질 입자 힘 운동 량 image 4 김동렬 2013-02-18 3983
893 비관론과 낙관론 김동렬 2016-01-25 3983
892 뇌과학의 진화 3 오세 2012-01-22 3988
891 파퀴아오 대 메이웨더 김동렬 2015-04-09 3989
890 이것이 식민시관이다. 김동렬 2015-07-30 3991
889 권구조담- 신, 별거 없다. 2 ░담 2011-01-26 3993
888 이중의 역설 예 image 3 김동렬 2015-04-03 3994
887 노자와 공자. 8 아제 2015-07-01 3998
886 생각의 정석 1.1v 3회 2 오세 2013-07-11 4002
885 아래에 추가 image 5 김동렬 2013-04-03 4003
884 우리말의 어원 김동렬 2016-01-21 4007
883 냥모님의 글 퍼옴 image 3 김동렬 2013-04-23 4010
882 제국의 위안부 미국버전 2 김동렬 2016-01-19 4011
881 (사람을) 안다 는 것 3 지여 2011-01-31 4016
880 모티브교육으로 가야 한다. ahmoo 2012-02-26 4016
879 위험한 한국 image 7 김동렬 2014-03-30 4018
878 생각의 정석 3회 주제 1 오세 2013-07-03 4019
877 생각의 정석 10회 오세 2013-08-28 40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