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읽기
프로필 이미지
[레벨:30]id: 김동렬김동렬
read 5064 vote 0 2015.12.14 (16:41:20)

98.jpg

 


   
    수평으로 벌린 다음 수직으로 제압하라. 이것이 구조론의 출발점이다. 처음 모를 때는 이것저것 수단을 가리지 않고 다 시도해 보므로 다원론이다. 둘을 대칭시켜 수평으로 벌리면 급소가 드러나므로 통제가 된다. 조직의 약한 고리가 노출된다. 이에 다원론에서 2원론으로 발전한다. 수직으로 발전해야 완벽하다. 다시 일원론으로 돌아가야 한다. 대칭된 둘이 따로 놀면 안 되고 한 줄에 꿰어져야 한다. 수평구조는 수직구조로 재편되어야 한다. 2층으로 층수가 올라가야 한다. 에너지를 태우면 된다. 


99.jpg  


    하나는 통제할 수 없다. 사춘기 청소년처럼 말을 안 듣는다. 짝이 필요하다. 대칭을 만들어 둘을 경쟁시키면 말을 듣기 시작한다. 그러나 역시 불완전하다. 둘이 싸운다. 혹은 헤어진다. 둘을 수직적 일의 구조에 태우고 외부에서 에너지를 공급해야 한다. 외부에서 들어가는 에너지를 조절하는 방법으로 계는 완벽하게 제어된다. 수평적 대칭구조를 수직적 대칭구조로 바꾼 것이 모래시계다. 중력이라는 에너지가 투입되어 일하고 있다. 일의 결을 따라 계속 진행한다. 말을 듣게 된다. 



프로필 이미지 [레벨:18]챠우

2015.12.14 (22:01:29)

비유가 될지는 모르겠지만, 군대에서 아무리 말안듣는 후임이라도 자신의 후임이 들어오면 고참 말을 잘 듣더군요. 사회도 마찬가지겠지만.
프로필 이미지 [레벨:30]id: 김동렬김동렬

2015.12.15 (17:51:46)

일의 흐름이 이어지기 때문입니다.

막내일 때는 자기 밑으로 일이 이어지지 않고 자기 선에서 끝나지요.

무슨 일이든 끝단에 위치해 있으면 축제 다음 날의 청소부처럼 졸라 짜증남.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sort
공지 닭도리탕 닭볶음탕 논란 종결 2 김동렬 2024-05-27 27191
공지 신라 금관의 비밀 image 7 김동렬 2024-06-12 17142
6895 구조론 동영상 1 김동렬 2010-03-22 197182
6894 LK99 과학 사기단 image 김동렬 2023-08-07 71725
6893 진보와 보수 2 김동렬 2013-07-18 58804
6892 진화에서 진보로 3 김동렬 2013-12-03 58695
6891 '돈오'와 구조론 image 2 김동렬 2013-01-17 56656
6890 소통의 이유 image 4 김동렬 2012-01-19 56063
6889 신은 쿨한 스타일이다 image 13 김동렬 2013-08-15 55643
6888 관계를 창의하라 image 1 김동렬 2012-10-29 49284
6887 답 - 이태리가구와 북유럽가구 image 8 김동렬 2013-01-04 46136
6886 독자 제위께 - 사람이 다르다. image 17 김동렬 2012-03-28 45377
6885 청포도가 길쭉한 이유 image 3 김동렬 2012-02-21 42804
6884 인간은 무엇으로 사는가? image 3 김동렬 2012-11-27 42678
6883 구조론교과서를 펴내며 image 3 김동렬 2017-01-08 42531
6882 아줌마패션의 문제 image 12 김동렬 2009-06-10 42404
6881 포지션의 겹침 image 김동렬 2011-07-08 41839
6880 정의와 평등 image 김동렬 2013-08-22 41441
6879 비대칭의 제어 김동렬 2013-07-17 39475
6878 구조론의 이해 image 6 김동렬 2012-05-03 39472
6877 비판적 긍정주의 image 6 김동렬 2013-05-16 38602
6876 세상은 철학과 비철학의 투쟁이다. 7 김동렬 2014-03-18 3809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