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읽기
프로필 이미지
[레벨:30]id: 김동렬김동렬
read 4992 vote 0 2015.12.14 (16:41:20)

98.jpg

 


   
    수평으로 벌린 다음 수직으로 제압하라. 이것이 구조론의 출발점이다. 처음 모를 때는 이것저것 수단을 가리지 않고 다 시도해 보므로 다원론이다. 둘을 대칭시켜 수평으로 벌리면 급소가 드러나므로 통제가 된다. 조직의 약한 고리가 노출된다. 이에 다원론에서 2원론으로 발전한다. 수직으로 발전해야 완벽하다. 다시 일원론으로 돌아가야 한다. 대칭된 둘이 따로 놀면 안 되고 한 줄에 꿰어져야 한다. 수평구조는 수직구조로 재편되어야 한다. 2층으로 층수가 올라가야 한다. 에너지를 태우면 된다. 


99.jpg  


    하나는 통제할 수 없다. 사춘기 청소년처럼 말을 안 듣는다. 짝이 필요하다. 대칭을 만들어 둘을 경쟁시키면 말을 듣기 시작한다. 그러나 역시 불완전하다. 둘이 싸운다. 혹은 헤어진다. 둘을 수직적 일의 구조에 태우고 외부에서 에너지를 공급해야 한다. 외부에서 들어가는 에너지를 조절하는 방법으로 계는 완벽하게 제어된다. 수평적 대칭구조를 수직적 대칭구조로 바꾼 것이 모래시계다. 중력이라는 에너지가 투입되어 일하고 있다. 일의 결을 따라 계속 진행한다. 말을 듣게 된다. 



프로필 이미지 [레벨:18]챠우

2015.12.14 (22:01:29)

비유가 될지는 모르겠지만, 군대에서 아무리 말안듣는 후임이라도 자신의 후임이 들어오면 고참 말을 잘 듣더군요. 사회도 마찬가지겠지만.
프로필 이미지 [레벨:30]id: 김동렬김동렬

2015.12.15 (17:51:46)

일의 흐름이 이어지기 때문입니다.

막내일 때는 자기 밑으로 일이 이어지지 않고 자기 선에서 끝나지요.

무슨 일이든 끝단에 위치해 있으면 축제 다음 날의 청소부처럼 졸라 짜증남.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sort
공지 닭도리탕 닭볶음탕 논란 종결 2 김동렬 2024-05-27 6279
2764 부자나라가 되는 방법 image 1 김동렬 2016-01-27 5037
2763 사랑의 정석 55, 나는 없다 image 1 김동렬 2016-02-17 5030
2762 구조론의 차원 image 김동렬 2015-09-01 5030
2761 사랑 92, 줄 서지 마라 image 1 김동렬 2016-04-07 5024
2760 사랑 67, 온전한 하나가 되라. image 1 김동렬 2016-03-04 5016
2759 언어도를 잇는다 image 2 김동렬 2016-03-20 5012
2758 조절장치가 있어야 한다. image 김동렬 2016-03-26 5008
2757 사랑 64, 지성은 호랑이를 이긴다 image 1 김동렬 2016-03-01 5008
2756 구조론적인 사유란 무엇인가? image 1 김동렬 2015-12-03 4998
2755 일층 위에 이층 있다 image 김동렬 2015-11-02 4995
» 구조론의 제 1의 image 2 김동렬 2015-12-14 4992
2753 사랑 85, 평등에서 평등으로 image 1 김동렬 2016-03-29 4992
2752 아름다워야 완전하다 image 김동렬 2016-04-02 4990
2751 숨은 전제가 위험하다 image 1 김동렬 2016-02-17 4983
2750 노자 5, 도는 암컷이다 image 김동렬 2016-02-08 4982
2749 사랑의 정석 37, 새누리의 참패 2 김동렬 2016-01-21 4982
2748 왜 완전성인가? 2 김동렬 2016-01-15 4981
2747 사랑 66, 집단이 행복해야 한다 image 1 김동렬 2016-03-03 4980
2746 세상의 시작 image 김동렬 2015-10-20 4974
2745 공룡은 잘못 그려져 있다. image 9 김동렬 2023-03-17 496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