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읽기
프로필 이미지
[레벨:30]id: 김동렬김동렬
read 4828 vote 0 2015.12.10 (17:32:30)

     

    관점이 있다면 생각할 수 있습니다. 관점이 없다면 먼저 관점을 지어야 합니다. 생각은 운전과 같습니다. 하지만 다들 차도 없이 운전하겠다고 덤비는 판입니다. 관점 없이 생각할 수 없습니다. 생각하기 전에 먼저 생각의 집부터 지어야 합니다. [생각의 정석 3회]


    관점은 나와 타자의 구분이다. 황당한 것은 ‘친구로서 충고하는데 말야.’ 하는 것이다. 어색한 말이다. 친구라면 충고하지 말아야 한다. 우리나라를 ‘내나라’로 여기는 사람도 있다. ‘나라가 네 거냐?’ 천국 보내준다고 말하면 좋아하는 사람도 있다. ‘남의 동네를 왜 가냐? 미쳤구만.’ 가장 한심한 것은 ‘다 너 잘되라고 하는 말이다.’라는 표현이다. ‘너’라고 말하는 순간 관계는 파탄이다. 나와 타자 사이에는 하늘과 땅 만큼의 거리가 있다. 아찔하다. 세상은 내 것이 아니다. 나 역시 내 것이 아니다. 몸도 마음도 내 것이 아니며 오직 나의 의사결정만이 진실하다. 세상의 맞은 편에서는 결코 세상을 볼 수 없다. 자동차의 반대편에서는 결코 자동차를 운전할 수 없다. 자동차의 진행방향과 내 눈이 바라보는 방향을 일치시켜야 한다. 자동차를 내 몸의 일부로 여겨야 운전할 수 있다.



DSC01488.JPG


    이런 말은 액면 그대로 들으면 안 됩니다. '친구한테 충고하면 안 되는구나.' <- 이건 아니지요. 깊이 생각하시길. 


[레벨:30]솔숲길

2015.12.10 (20:21:31)

[생각의 정석 3회] 로또에 당첨되고도 망하지 않는 방법

http://gujoron.com/xe/371573

프로필 이미지 [레벨:13]아나키

2015.12.11 (12:57:42)

친구사이에 충고라
자세한 해설 부탁드립니다
프로필 이미지 [레벨:30]id: 김동렬김동렬

2015.12.11 (13:25:59)

뭘 보고 친구라고 하는지 모르겠으나

대신 죽어줄 수 있는 사람이 아니면 친구가 아니지요. 


동창회 명부 뒤져서 일일이 전화하고 다니는 넘은 

친한척 엉기곤 하지만 친구가 아닙니다.


물론 친구라는 단어를 국어사전에 찾아보면 

안면만 있으면 친구라고 해놨겠지만 


구조론은 진지한 이야기 하는 곳입니다.

충고해야할 상황이면 이미 거리는 하늘과 땅 차이로 벌어진 겁니다. 


프로필 이미지 [레벨:13]아나키

2015.12.11 (20:05:32)

친구가 뭔지 진작에 알았으면, 인생을 덜 낭비했을 텐데...

감사합니다.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sort 조회
공지 닭도리탕 닭볶음탕 논란 종결 2 김동렬 2024-05-27 9124
3325 소승 대승 돈오 image 김동렬 2016-01-14 5328
3324 철학사전 개괄 1 김동렬 2016-01-13 5593
3323 사랑의 정석 31, 이기는 팀에 들기 1 김동렬 2016-01-13 4873
3322 공자는 누구인가? 1 김동렬 2016-01-12 5844
3321 사랑의 정석 30, 철학의 의미 1 김동렬 2016-01-12 4816
3320 공자의 권위주의 대 노자의 무정부주의 image 1 김동렬 2016-01-10 5549
3319 공자와 노자 김동렬 2016-01-09 5313
3318 깨달음은 돈오인가 증득인가? 7 김동렬 2016-01-09 5584
3317 공자와 소크라테스 3 김동렬 2016-01-08 5940
3316 사랑의 정석 29, 철학이란 무엇인가? 김동렬 2016-01-08 4815
3315 구조론 철학사전 마지막 김동렬 2016-01-07 5069
3314 사랑의 정석 28, 불행의 이유 1 김동렬 2016-01-07 4710
3313 구조론 사전 1 김동렬 2016-01-06 4665
3312 사랑의 정석 27, 강자의 자유 1 김동렬 2016-01-06 4969
3311 구조론 사전 계속 김동렬 2016-01-05 4716
3310 사랑의 정석 26, 창의는 훔친다. 2 김동렬 2016-01-05 4921
3309 구조론 사전 8 김동렬 2016-01-04 5050
3308 사랑의 정석 25, 왜 사는가? 1 김동렬 2016-01-04 4605
3307 사랑의 정석 24회, 철학이란? 1 김동렬 2016-01-01 4929
3306 깨달음은 패턴을 복제하는 능력이다 image 김동렬 2015-12-31 474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