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읽기
프로필 이미지
[레벨:30]id: 김동렬김동렬
read 4816 vote 0 2015.12.08 (11:11:41)

     

    문제를 찾는 것은 철학이고, 문제를 푸는 것은 과학이고, 답이 되는 것은 미학입니다. 철학은 복제의 원본을 찾고, 과학은 복제의 방법을 찾고, 미학은 그것을 내 안에서 구현합니다. 철학은 우주의 본 모습을 찾고, 과학은 그것을 자연에 적용하고, 미학은 내 안에 적용하여 나로 하여금 거듭나게 합니다. 우리는 철학의 나침반으로 길을 찾아, 과학의 버스로 이동하여, 미학의 신천지를 건설해야 합니다. [생각의 정석 2회]


    철학은 함께 가라고 하고, 과학은 대량으로 복제하여 쉽고 빠르게 가라고 하고, 미학은 그 세계와 어우러져서 뿌리내리고 살라 한다. 철학은 방향을 잘 분간해야 하고, 과학은 수순을 잘 판단해야 하고, 미학은 멈추기를 잘해야 한다. 일은 철학으로 시작하고, 과학으로 진행하고, 미학으로 끝내야 한다. 농사는 철학으로 씨 뿌리고, 과학으로 길러서, 미학으로 꽃피워야 한다. 철학은 진보가 답이고, 과학은 효율이 답이고, 미학은 심플함이 답이다. 철학은 윙크, 과학은 허그, 미학은 키스다. 구조론은 분류학이다. 뭐든 분류한다. 단 일에 태워 일의 진행순서로 분류한다. 바둑으로 말하면 초반의 포석, 중반의 전투, 막판의 끝내기다. 처음부터 끝까지 한 줄에 꿰어 하나의 논리로 일관되게 해결한다.


[레벨:30]솔숲길

2015.12.08 (11:17:14)


생각의 정석 2회 NLL과 동성애 문제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sort
공지 닭도리탕 닭볶음탕 논란 종결 2 김동렬 2024-05-27 6161
2704 이데아의 의미 image 4 김동렬 2018-04-20 11659
2703 왜 예절은 마지막인가? image 3 김동렬 2018-01-20 11662
2702 구조주의 언어학 image 김동렬 2016-11-16 11671
2701 스티븐 호킹과 천국 6 김동렬 2011-05-16 11674
2700 통제가능성이 희망이다 image 2 김동렬 2017-11-18 11684
2699 그림으로 이해하기 image 2 김동렬 2012-12-18 11688
2698 닫힌계에 대해서 3 김동렬 2018-01-19 11688
2697 지구는 돌지 않는다 image 2 김동렬 2018-04-04 11692
2696 김미경들의 자기차별 image 김동렬 2013-03-20 11698
2695 에너지의 통제가능성에 주목하라 image 1 김동렬 2017-10-29 11706
2694 시간을 조직하라 image 6 김동렬 2014-02-13 11710
2693 창의하기의 첫번째 원칙 image 1 김동렬 2011-12-05 11722
2692 진화의 완성 김동렬 2007-02-08 11728
2691 탑 포지션을 잡는 방법 image 4 김동렬 2011-12-29 11728
2690 탑을 잡는 방법 image 김동렬 2011-11-18 11729
2689 신은 이렇게 말했다 image 2 김동렬 2018-04-07 11733
2688 전여옥 현상에 대하여 김동렬 2006-02-26 11736
2687 비판적 지식인상과 이상주의적 지식인상 image 김동렬 2006-12-01 11742
2686 왜 나는 분노하는가? 김동렬 2006-05-14 11745
2685 권력의 시장가격 image 김동렬 2016-11-25 1174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