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읽기
프로필 이미지
[레벨:30]id: 김동렬김동렬
read 4583 vote 0 2015.12.07 (19:52:28)

     

    진보주의자는 낙관주의자여야 한다. 현실을 비판하고 방해자를 제거하되 미래를 설계하고, 대안을 제시하고, 진정으로 낙관해야 한다. 사물을 부정하되 사건을 긍정해야 한다. 사람과 사람 사이를 가르는 자본과 물질과 권력과 폭력을 부정하되 사람의 마음을 합치는 역사와 진리와 진보와 문명을 긍정해야 한다. 긍정과 낙관이야말로 진보의 답이다. 단 사건의 긍정, 미래의 낙관이어야 한다. 사물을 긍정하는 자는 물질의 노예가 된다. 현금을 부정하고 대신 신용을 긍정하라. 오늘을 낙관하는 자는 미래를 비관하게 된다. 오늘을 비관하고 대신 미래를 낙관하라. 개인을 부정하고 대신 팀을 설계하라. 기어이 상부구조로 올라서라. [생각의 정석 10회]


    얽힌 실은 한 방향으로 풀어야 한다. 이쪽을 풀었다가 저쪽을 풀었다가 하며 변덕을 부리면 더 엉키고 만다. 퍼즐을 맞추어도 모서리부터 시작해서 한 방향으로 맞춰가야 한다. 바둑을 두어도 귀에서 중앙으로 가는 한 방향이라야 한다. 그 방향은 진보의 방향, 미래의 방향, 긍정의 방향, 낙관의 방향이어야 한다. 두 사람 사이에 불화가 있다면 누가 돈을 더 쓰든가, 혹은 마음을 더 쓰든가, 혹은 공간을 더 쓰든가, 혹은 시간을 더 쓰든가 반드시 무엇을 더 써야 풀린다. 그렇게 풀어가면서 무언가를 더 쓰다보면 결국 세상은 진보해 있다. 지식인의 냉소주의는 상대방에게 주도권을 넘겨주는 점에서 실패다. 지식인의 비관주의는 단기전술에 집착하다가 장기전략을 잃는 실패다. 상대의 힘에 의존하는 전술로는 안 된다. 살을 얻다가 뼈를 내주는 결과로 된다. 큰 힘을 쓰는 집단의 시스템으로도 안 된다. 큰 힘은 큰 급소를 만들어 큰 위험을 낳으니 큰 리스크로 돌아온다. 개인전술도 안 되고 팀전술도 안 된다면 답은 기세에 있다. 작은 개인에서 큰 세력으로 나아가며 흐름을 타는 기세가 진보의 유일한 답이므로 진보는 긍정주의에 낙관주의일 수 밖에 없다. 개인의 술로 안 되고 집단의 법으로 안 되며 개인에서 집단으로 나아가는 세가 진보의 유일한 정답이기에 긍정과 낙관 밖에 답이 없는 것이다.


[레벨:30]솔숲길

2015.12.08 (11:22:38)

생각의 정석 10회 연애빈부격차 

http://gujoron.com/xe/385629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sort 조회
공지 닭도리탕 닭볶음탕 논란 종결 2 김동렬 2024-05-27 10756
3326 사랑의 정석 32회, 철학의 세 질문 1 김동렬 2016-01-14 4858
3325 소승 대승 돈오 image 김동렬 2016-01-14 5328
3324 철학사전 개괄 1 김동렬 2016-01-13 5594
3323 사랑의 정석 31, 이기는 팀에 들기 1 김동렬 2016-01-13 4873
3322 공자는 누구인가? 1 김동렬 2016-01-12 5847
3321 사랑의 정석 30, 철학의 의미 1 김동렬 2016-01-12 4818
3320 공자의 권위주의 대 노자의 무정부주의 image 1 김동렬 2016-01-10 5552
3319 공자와 노자 김동렬 2016-01-09 5315
3318 깨달음은 돈오인가 증득인가? 7 김동렬 2016-01-09 5587
3317 공자와 소크라테스 3 김동렬 2016-01-08 5942
3316 사랑의 정석 29, 철학이란 무엇인가? 김동렬 2016-01-08 4818
3315 구조론 철학사전 마지막 김동렬 2016-01-07 5069
3314 사랑의 정석 28, 불행의 이유 1 김동렬 2016-01-07 4713
3313 구조론 사전 1 김동렬 2016-01-06 4665
3312 사랑의 정석 27, 강자의 자유 1 김동렬 2016-01-06 4971
3311 구조론 사전 계속 김동렬 2016-01-05 4717
3310 사랑의 정석 26, 창의는 훔친다. 2 김동렬 2016-01-05 4922
3309 구조론 사전 8 김동렬 2016-01-04 5051
3308 사랑의 정석 25, 왜 사는가? 1 김동렬 2016-01-04 4605
3307 사랑의 정석 24회, 철학이란? 1 김동렬 2016-01-01 49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