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읽기
프로필 이미지
[레벨:30]id: 김동렬김동렬
read 4671 vote 0 2015.12.07 (19:52:28)

     

    진보주의자는 낙관주의자여야 한다. 현실을 비판하고 방해자를 제거하되 미래를 설계하고, 대안을 제시하고, 진정으로 낙관해야 한다. 사물을 부정하되 사건을 긍정해야 한다. 사람과 사람 사이를 가르는 자본과 물질과 권력과 폭력을 부정하되 사람의 마음을 합치는 역사와 진리와 진보와 문명을 긍정해야 한다. 긍정과 낙관이야말로 진보의 답이다. 단 사건의 긍정, 미래의 낙관이어야 한다. 사물을 긍정하는 자는 물질의 노예가 된다. 현금을 부정하고 대신 신용을 긍정하라. 오늘을 낙관하는 자는 미래를 비관하게 된다. 오늘을 비관하고 대신 미래를 낙관하라. 개인을 부정하고 대신 팀을 설계하라. 기어이 상부구조로 올라서라. [생각의 정석 10회]


    얽힌 실은 한 방향으로 풀어야 한다. 이쪽을 풀었다가 저쪽을 풀었다가 하며 변덕을 부리면 더 엉키고 만다. 퍼즐을 맞추어도 모서리부터 시작해서 한 방향으로 맞춰가야 한다. 바둑을 두어도 귀에서 중앙으로 가는 한 방향이라야 한다. 그 방향은 진보의 방향, 미래의 방향, 긍정의 방향, 낙관의 방향이어야 한다. 두 사람 사이에 불화가 있다면 누가 돈을 더 쓰든가, 혹은 마음을 더 쓰든가, 혹은 공간을 더 쓰든가, 혹은 시간을 더 쓰든가 반드시 무엇을 더 써야 풀린다. 그렇게 풀어가면서 무언가를 더 쓰다보면 결국 세상은 진보해 있다. 지식인의 냉소주의는 상대방에게 주도권을 넘겨주는 점에서 실패다. 지식인의 비관주의는 단기전술에 집착하다가 장기전략을 잃는 실패다. 상대의 힘에 의존하는 전술로는 안 된다. 살을 얻다가 뼈를 내주는 결과로 된다. 큰 힘을 쓰는 집단의 시스템으로도 안 된다. 큰 힘은 큰 급소를 만들어 큰 위험을 낳으니 큰 리스크로 돌아온다. 개인전술도 안 되고 팀전술도 안 된다면 답은 기세에 있다. 작은 개인에서 큰 세력으로 나아가며 흐름을 타는 기세가 진보의 유일한 답이므로 진보는 긍정주의에 낙관주의일 수 밖에 없다. 개인의 술로 안 되고 집단의 법으로 안 되며 개인에서 집단으로 나아가는 세가 진보의 유일한 정답이기에 긍정과 낙관 밖에 답이 없는 것이다.


[레벨:30]솔숲길

2015.12.08 (11:22:38)

생각의 정석 10회 연애빈부격차 

http://gujoron.com/xe/385629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sort 조회
공지 닭도리탕 닭볶음탕 논란 종결 2 김동렬 2024-05-27 19168
공지 신라 금관의 비밀 image 7 김동렬 2024-06-12 5074
2681 엔트로피는 언제나 증가한다. 3 김동렬 2018-09-03 5791
2680 엔트로피의 의미 5 김동렬 2018-09-04 5411
2679 엔트로피를 이겨라 4 김동렬 2018-09-05 4443
2678 인질범의 승리 4 김동렬 2018-09-06 4844
2677 천재를 모방하자 2 김동렬 2018-09-08 6469
2676 엔트로피를 정복하라 김동렬 2018-09-09 4336
2675 엔트로피는 축의 제거다 1 김동렬 2018-09-10 4365
2674 보배드림 성추행 사건의 경우 12 김동렬 2018-09-11 5813
2673 삼권분립을 생각하자 김동렬 2018-09-12 4142
2672 질을 이해하라 4 김동렬 2018-09-12 4669
2671 천재의 방법을 모방하라 김동렬 2018-09-15 4595
2670 왜 엔트로피인가? 김동렬 2018-09-17 4084
2669 인간은 계발된 존재다 5 김동렬 2018-09-18 4391
2668 아이디어를 버려라 김동렬 2018-09-18 4344
2667 비오는 날의 동화 3 김동렬 2018-09-19 4172
2666 단순한 것에 답이 있다 4 김동렬 2018-09-19 4403
2665 고수는 단순한 것으로 이긴다 김동렬 2018-09-20 4623
2664 인간은 잘 속는 동물이다 1 김동렬 2018-09-20 4249
2663 엔트로피를 정복하라 김동렬 2018-09-21 4013
2662 힘과 운동에 대하여 2 김동렬 2018-09-21 418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