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읽기
프로필 이미지
[레벨:30]id: 김동렬김동렬
read 4568 vote 0 2015.12.07 (19:52:28)

     

    진보주의자는 낙관주의자여야 한다. 현실을 비판하고 방해자를 제거하되 미래를 설계하고, 대안을 제시하고, 진정으로 낙관해야 한다. 사물을 부정하되 사건을 긍정해야 한다. 사람과 사람 사이를 가르는 자본과 물질과 권력과 폭력을 부정하되 사람의 마음을 합치는 역사와 진리와 진보와 문명을 긍정해야 한다. 긍정과 낙관이야말로 진보의 답이다. 단 사건의 긍정, 미래의 낙관이어야 한다. 사물을 긍정하는 자는 물질의 노예가 된다. 현금을 부정하고 대신 신용을 긍정하라. 오늘을 낙관하는 자는 미래를 비관하게 된다. 오늘을 비관하고 대신 미래를 낙관하라. 개인을 부정하고 대신 팀을 설계하라. 기어이 상부구조로 올라서라. [생각의 정석 10회]


    얽힌 실은 한 방향으로 풀어야 한다. 이쪽을 풀었다가 저쪽을 풀었다가 하며 변덕을 부리면 더 엉키고 만다. 퍼즐을 맞추어도 모서리부터 시작해서 한 방향으로 맞춰가야 한다. 바둑을 두어도 귀에서 중앙으로 가는 한 방향이라야 한다. 그 방향은 진보의 방향, 미래의 방향, 긍정의 방향, 낙관의 방향이어야 한다. 두 사람 사이에 불화가 있다면 누가 돈을 더 쓰든가, 혹은 마음을 더 쓰든가, 혹은 공간을 더 쓰든가, 혹은 시간을 더 쓰든가 반드시 무엇을 더 써야 풀린다. 그렇게 풀어가면서 무언가를 더 쓰다보면 결국 세상은 진보해 있다. 지식인의 냉소주의는 상대방에게 주도권을 넘겨주는 점에서 실패다. 지식인의 비관주의는 단기전술에 집착하다가 장기전략을 잃는 실패다. 상대의 힘에 의존하는 전술로는 안 된다. 살을 얻다가 뼈를 내주는 결과로 된다. 큰 힘을 쓰는 집단의 시스템으로도 안 된다. 큰 힘은 큰 급소를 만들어 큰 위험을 낳으니 큰 리스크로 돌아온다. 개인전술도 안 되고 팀전술도 안 된다면 답은 기세에 있다. 작은 개인에서 큰 세력으로 나아가며 흐름을 타는 기세가 진보의 유일한 답이므로 진보는 긍정주의에 낙관주의일 수 밖에 없다. 개인의 술로 안 되고 집단의 법으로 안 되며 개인에서 집단으로 나아가는 세가 진보의 유일한 정답이기에 긍정과 낙관 밖에 답이 없는 것이다.


[레벨:30]솔숲길

2015.12.08 (11:22:38)

생각의 정석 10회 연애빈부격차 

http://gujoron.com/xe/385629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sort
2660 인간은 귀납하는 동물이다 image 2 김동렬 2018-03-06 11808
2659 응답하라 인간들아! image 3 김동렬 2016-12-28 11809
2658 선비는 미학으로 말한다 image 3 김동렬 2018-05-01 11817
2657 Re.. 누가 이회창과 악수하며 손톱으로 긁었냐? 김동렬 2002-12-09 11819
2656 자본주의란 무엇인가? 김동렬 2008-05-20 11820
2655 0 아니면 1, 모 아니면 도 image 4 김동렬 2013-01-09 11826
2654 좌절감을 느낄 때 image 7 김동렬 2013-12-10 11826
2653 완전성으로 시작하라 image 1 김동렬 2018-03-04 11827
2652 황진이 대 미녀는 괴로워 김동렬 2006-12-31 11833
2651 에너지의 세계관 image 김동렬 2017-11-02 11838
2650 이야기 꾸미는 방법 image 10 김동렬 2012-01-03 11840
2649 구조론과 깨달음 김동렬 2008-08-27 11841
2648 마음은 어디서 나왔는가? image 19 김동렬 2012-12-28 11841
2647 지성의 역사(추가버전) image 7 김동렬 2010-09-26 11842
2646 역사의 원동력은 무엇인가? image 5 김동렬 2018-04-15 11842
2645 계로 시작하라 image 김동렬 2018-01-29 11846
2644 왜 소통이어야 하는가? 김동렬 2007-04-11 11857
2643 에너지를 이해하라 image 2 김동렬 2017-10-25 11857
2642 정동영, 김근태 위화도 회군하나? 김동렬 2007-01-06 11862
2641 구조론은 깨달음이다. image 김동렬 2017-07-19 1186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