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읽기
프로필 이미지
[레벨:30]id: 김동렬김동렬
read 4582 vote 0 2015.12.07 (19:52:28)

     

    진보주의자는 낙관주의자여야 한다. 현실을 비판하고 방해자를 제거하되 미래를 설계하고, 대안을 제시하고, 진정으로 낙관해야 한다. 사물을 부정하되 사건을 긍정해야 한다. 사람과 사람 사이를 가르는 자본과 물질과 권력과 폭력을 부정하되 사람의 마음을 합치는 역사와 진리와 진보와 문명을 긍정해야 한다. 긍정과 낙관이야말로 진보의 답이다. 단 사건의 긍정, 미래의 낙관이어야 한다. 사물을 긍정하는 자는 물질의 노예가 된다. 현금을 부정하고 대신 신용을 긍정하라. 오늘을 낙관하는 자는 미래를 비관하게 된다. 오늘을 비관하고 대신 미래를 낙관하라. 개인을 부정하고 대신 팀을 설계하라. 기어이 상부구조로 올라서라. [생각의 정석 10회]


    얽힌 실은 한 방향으로 풀어야 한다. 이쪽을 풀었다가 저쪽을 풀었다가 하며 변덕을 부리면 더 엉키고 만다. 퍼즐을 맞추어도 모서리부터 시작해서 한 방향으로 맞춰가야 한다. 바둑을 두어도 귀에서 중앙으로 가는 한 방향이라야 한다. 그 방향은 진보의 방향, 미래의 방향, 긍정의 방향, 낙관의 방향이어야 한다. 두 사람 사이에 불화가 있다면 누가 돈을 더 쓰든가, 혹은 마음을 더 쓰든가, 혹은 공간을 더 쓰든가, 혹은 시간을 더 쓰든가 반드시 무엇을 더 써야 풀린다. 그렇게 풀어가면서 무언가를 더 쓰다보면 결국 세상은 진보해 있다. 지식인의 냉소주의는 상대방에게 주도권을 넘겨주는 점에서 실패다. 지식인의 비관주의는 단기전술에 집착하다가 장기전략을 잃는 실패다. 상대의 힘에 의존하는 전술로는 안 된다. 살을 얻다가 뼈를 내주는 결과로 된다. 큰 힘을 쓰는 집단의 시스템으로도 안 된다. 큰 힘은 큰 급소를 만들어 큰 위험을 낳으니 큰 리스크로 돌아온다. 개인전술도 안 되고 팀전술도 안 된다면 답은 기세에 있다. 작은 개인에서 큰 세력으로 나아가며 흐름을 타는 기세가 진보의 유일한 답이므로 진보는 긍정주의에 낙관주의일 수 밖에 없다. 개인의 술로 안 되고 집단의 법으로 안 되며 개인에서 집단으로 나아가는 세가 진보의 유일한 정답이기에 긍정과 낙관 밖에 답이 없는 것이다.


[레벨:30]솔숲길

2015.12.08 (11:22:38)

생각의 정석 10회 연애빈부격차 

http://gujoron.com/xe/385629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sort
공지 닭도리탕 닭볶음탕 논란 종결 2 김동렬 2024-05-27 10509
3326 상호작용의 밀도를 높여라 image 1 김동렬* 2012-10-21 8633
3325 노벨물리학상과 구조론 image 김동렬 2016-10-05 8636
3324 모기는 남자를 문다. image 김동렬* 2012-10-21 8645
3323 죽음은 무엇인가? image 김동렬 2016-09-27 8646
3322 캐릭터의 족보 image 김동렬* 2012-10-21 8672
3321 근원의 논리는 하나다 2 김동렬 2018-06-11 8676
3320 관성력으로 이겨야 진짜다 김동렬 2018-06-26 8689
3319 관계를 깨달음 김동렬* 2012-10-21 8694
3318 모형으로 이해하라 김동렬 2014-01-02 8702
3317 21세기의 절대성 세계 1 김동렬 2013-10-29 8702
3316 삼성의 소행, 성공한 도둑질인가? image 김동렬* 2012-10-21 8705
3315 완전한 모형을 품기 1 김동렬 2014-01-09 8706
3314 깨달음은 스타일이다 image 김동렬* 2012-10-21 8711
3313 최근 글 정리 김동렬 2018-06-22 8711
3312 자기소개하지 말라? image 4 김동렬 2014-07-10 8713
3311 에너지란 무엇인가? image 김동렬 2016-10-14 8719
3310 완전성이란 무엇인가? image 김동렬* 2012-10-21 8725
3309 존재의 원형 image 김동렬 2013-11-29 8731
3308 약자를 격동시켜라. 김동렬 2018-06-01 8734
3307 워렌 버핏의 함정 2 김동렬 2014-07-08 874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