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읽기
프로필 이미지
[레벨:30]id: 김동렬김동렬
read 14669 vote 0 2008.12.29 (12:32:01)

이 그림을 머리 속에 세팅하기 바란다. 멀리 광원이 있고, 광원에서 빛이 나오며, 노즐과 만나, 스크린에 그림자를 연출한다. 우리는 낮은 그림자의 세계에 살고 있다. 그리고 누군가의 빛이 되기를 희망한다.

서로가 서로에게 빛이 되어줄 때 완성된다. 그 완전성이 존재한다. 저 높은 곳에 빛처럼 존재한다. 그 정상에서의 완전성을 열망한다. 그것이 사랑이다. 그 사랑의 크기만큼 인간의 존재는 뚜렷해진다.

본래 인간의 존재는 희미한 것이다. 그림자이므로 희미하다. 이슬같고 풀잎같은 것이다. 더 높은 포지션으로 성큼 올라서지 않으면 안 된다. 누군가의 빛이 되어주지 않으면 안 된다. 사랑하지 않으면 안 된다.

이 그림을 온전히 이해하느냐다. 반드시 동그라미가 있다. 계를 이루고 있다. 그곳에는 밀도가 걸려 있다. 그림이라면 소실점으로 있다. 그러므로 한꺼번에 전부 연동되어 있다. 그 연동되어 있음을 이해하느냐다.

깨닫지 못한 사람은 전시한다. 그림을 그리되 눈과 귀와 코와 입을 이곳저곳에 배치한다. 펼쳐놓는다. 그 그림에는 광원도 빛도 노즐도 스크린도 드러나 있지 않다. 깨달아야 한다. 한 줄에 꿰어내야 한다.

전시하지 말아야 한다. 선 위에 나열하지 말아야 한다. 눈동자가 움직이는 각도에 따라 입의 모양이 변한다. 그리기는 그 ‘A면 B다’의 과학성을 드러내는 것이다. 하나를 움직이면 전체가 움직인다. 그것을 드러내기다.

그것이 있다. 가만있는 돌멩이에는 중력이 걸려 있어서 하나가 움직이면 전부 움직인다. 고여 있는 물에는 수압이 걸려 있고 산들거리는 바람에는 기압이 걸려 있고 가만이 서 있는 두 사람 사이에는 사랑의 긴장이 걸려 있다.

팽팽하게 긴장되어 있다. 하나를 건드리면 전체가 연동되어 한꺼번에 반응한다. 전체의 힘이 한 부분에 집약되어 있고, 한 부분이 전체의 입장을 대표한다. 그러한 사정을 그림에 반영하지 않으면 안 된다.

정치에도, 경제에도, 사회에도, 문화에도, 삶에도, 일상에도, 어디에도 그것이 있다. 동그라미가 있다. 계에 밀도가 걸려 있다. 긴장이 있다. 팽팽하게 당겨진 현처럼 민감하게 반응하는 맥점이 있다.

그곳을 건드리면 소리가 난다. 울림이 있고 떨림이 있다. 증폭된다. 메아리가 있다. 그러므로 서로는 서로의 빛이 되어줄 수 있다. 서로를 연주할 수 있다. 그 마음이 달뜨게 할 수 있고 그 몸이 춤추게 할 수 있다.

www.drkimz.com.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sort 조회
공지 닭도리탕 닭볶음탕 논란 종결 2 김동렬 2024-05-27 26478
공지 신라 금관의 비밀 image 7 김동렬 2024-06-12 16396
2032 사회주의란 무엇인가? 3 김동렬 2020-07-03 3623
2031 박지원과 윤석열의 대결투 2 김동렬 2020-07-05 3931
2030 레깅스와 관료주의 1 김동렬 2020-07-05 3152
2029 부동산 문제의 진실 6 김동렬 2020-07-05 4364
2028 율곡과 퇴계 1 김동렬 2020-07-06 3647
2027 일원론이 핵심이다 3 김동렬 2020-07-07 3514
2026 스티브 잡스는 선악이 없다 1 김동렬 2020-07-08 3947
2025 박원순과 살인 기레기들 7 김동렬 2020-07-10 4759
2024 대칭과 비대칭 3 김동렬 2020-07-10 3147
2023 박원순 죽이기 2 김동렬 2020-07-11 4089
2022 정의당의 배반 1 김동렬 2020-07-11 4118
2021 민도가 천도다 4 김동렬 2020-07-12 4203
2020 박원순, 진중권, 배현진, 류호정 2 김동렬 2020-07-14 3822
2019 공자의 술이부작과 온고지신 1 김동렬 2020-07-14 3400
2018 노답자매 배현진중권 1 김동렬 2020-07-15 3622
2017 얼치기 페미는 가라 1 김동렬 2020-07-16 3568
2016 이재명 죽이기 실패 1 김동렬 2020-07-16 3882
2015 첨단과 극단과 사단 1 김동렬 2020-07-16 3572
2014 의리의 김어준과 배신의 진중권 1 김동렬 2020-07-17 3424
2013 일원론의 사유를 훈련하자. 1 김동렬 2020-07-17 29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