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읽기
프로필 이미지
[레벨:30]id: 김동렬김동렬
read 5131 vote 0 2015.11.26 (12:40:58)

     

    생각의 정석 오프닝 멘트 모음입니다. 

    1~4회는 못 찾았네요. 주말 빼고 하루 한 편씩 올릴 생각입니다.


    ###


    부모와 자식간의 아가페적 사랑도 있고, 연인간의 에로스적 사랑도 있고, 친구간의 우정도 있다고 합니다. 아닙니다. 그저 사랑이 있을 뿐입니다. 희생은 사랑이 아닙니다. 애정도 사랑이 아닙니다. 참된 사랑은 당신이 나라는 사실을, 당신이 나일 수 있다는 사실을 조용히 받아들이는 것입니다. [생각의 정석 5회]


    ###


    의사결정은 나와 타자의 경계면에서 이루어진다. 타인이 나를 침범하지 않을까 경계하며 장벽을 세우는 데서 나의 정체성은 성립한다. 그 경계선이야말로 나의 소중한 재산이다. 그것을 잃었을 때 아무 것도 생각할 수 없게 된다. 그러다가 어느 순간에 그것을 넘는다. 하품이 전염되듯이 사랑은 순식간에 전염된다. 과일이 무르익듯이 사랑은 순식간에 무르익는다. 그것은 도적같이 찾아와 내 안에서 흘러 넘쳐서 타인에게로 향한다. 주변의 공기 속에 그것은 가득차 있다. 사랑은 그 사랑하는 특정한 대상에 대한 태도가 아니다. 그것은 자신에 대한 태도이며, 환경에 대한 태도이다. 그렇다. 사랑할 때가 된 것이다. 사랑하기 좋은 계절이 된 것이며, 사랑해도 될 만큼 성숙한 것이다. 나와 타자의 경계선을 지워도 될 만큼 나는 자라난 것이다. 따스한 봄날에 아기 곰이 처음 굴 밖으로 나와 걸음마를 하듯이 때가 된 것이다. 적당한 때 나와 타자의 경계를 지우기 위해 애초에 그 경계가 존재했다는 사실을 알아챌 일이다. 존엄과 자유를 이룬 자가 사랑할 자격을 얻는다. 저 너머의 세계로 발걸음을 옮길 수 있다. 그리고 2라운드의 이야기가 시작된다.



   DSC01488.JPG


[레벨:7]새벽이슬2

2015.11.26 (13:22:41)

"존엄과 자유를 이룬 자가 사랑할 자격을 얻는다"

- 잔뜩 기대 됩니다^^*

[레벨:15]떡갈나무

2015.11.27 (00:42:50)

신영복 선생님의 글이 떠올라 적어봅니다.
배시시~~

「함께 맞는 비」

돕는다는 것은 우산을 들어주는 것이 아니구
함께 비를 맞는 것입니다.


김동렬 선생님 좋은 글 고맙습니다 ^^
[레벨:6]싸이렌

2015.11.27 (13:16:27)

1회는 있는데 2,3회는 없군요.

소장님의 오프닝 멘트 해설서(?) 기대 만땅입니다 ㅎㅎ

 

[1회 오프닝 멘트]

당신 앞엔 문이 하나 있습니다.
낯선 세계로 들어갈 것인가 말것인가
당신이 결정할 수 있습니다.
보이지 않던 것이 보이고
들리지 않던 것이 들리고
지금까지와 완전히 다른 삶을 살게 될 지도 모릅니다.
구조론 팟캐스트 생각의 정석 1회 시작합니다

 

 

[레벨:30]솔숲길

2015.12.08 (11:31:50)

[생각의 정석 5회] 옷, 어떻게 입어야 하나?

http://gujoron.com/xe/375109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sort
3378 힉스입자의 발견에 대하여 image 김동렬* 2012-10-21 8242
3377 소통으로 출발하라 1 김동렬 2014-01-06 8261
3376 회의주의와의 싸움이 철학이다 5 김동렬 2014-03-09 8272
3375 인간이 말을 들어야 한다 image 6 김동렬 2018-07-01 8278
3374 과학의 첫 단추 김동렬 2013-10-21 8285
3373 고쳐쓴 노자와 디오게네스 김동렬 2018-06-25 8286
3372 권리에는 의무가 따른다? 1 김동렬 2018-07-12 8290
3371 이중의 역설을 이해하자 image 8 김동렬 2016-09-26 8303
3370 예수의 언어 image 22 김동렬 2015-09-09 8308
3369 모든 이야기의 이야기 image 3 김동렬 2016-09-29 8314
3368 오컴의 면도날 13 김동렬 2014-09-29 8322
3367 신은 권력이다 김동렬 2018-06-20 8328
3366 엑소더스의 의미 image 34 김동렬 2015-01-07 8331
3365 왜 한중일미독인가? image 김동렬 2016-10-01 8340
3364 물질이냐 에너지냐 image 김동렬 2016-10-06 8342
3363 구조론의 대의 image 3 김동렬 2013-12-23 8355
3362 자기 생각을 쓰지 마라 6 김동렬 2014-09-17 8379
3361 바둑은 장기를 이긴다 7 김동렬 2014-07-15 8382
3360 점 선 면 입체 그리고 차원 1 김동렬 2014-09-30 8383
3359 삶의 정답은 있다 image 김동렬* 2012-10-21 838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