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읽기
프로필 이미지
[레벨:30]id: 김동렬김동렬
read 5985 vote 0 2015.11.20 (15:34:36)

     

    두 번 뒤집어야 보인다


    자전거 타는 사람을 옆에서 잘 관찰하여 눈으로 배운 사람이 자전거타기에 도전하면 백퍼센트 실패한다. 이는 무조건적이다. 자전거 핸들은 사람의 생각과 반대로 움직이기 때문이다. 초보자는 자전거가 기우는 반대쪽으로 핸들을 꺾어야 한다고 믿지만 실제로는 그 반대다.


    ◎ 역설 1, 관측의 역설 - 자전거 핸들과 안장 사이에 숨은 관절이 있어서 외부인의 관측과 반대로 움직인다.


    ◎ 역설 2, 에너지 역설 – 자전거의 중량과 관성의 법칙 사이에 숨은 관절이 있어서 의도와 반대로 움직인다.


    초보자의 착각은 중량과 관성의 숨은 대결을 모르기 때문이다. 기울어지는 자전거를 바로잡는 힘은 운전자의 체중이 아니라 자전거가 달리면서 만드는 관성이다. 체중을 기울어지는 방향의 반대쪽으로 옮길게 아니라 기울어지도록 내버려두고 무조건 속도를 내야 한다. 직접 타봐야 알 수 있다.


63.jpg


    하나의 사건에는 다섯 매개변수가 작동하고 있다. 2개의 변수가 숨어 있기 때문에 초보자의 예상과는 반대로 된다. 질, 입자, 힘, 운동, 량 중에서 입자와 운동과 량은 보인다. 질과 힘은 안 보이므로 인간은 두 번 오판한다. 핸들과 안장 사이가 힘이면, 중량과 관성 사이는 에너지다.


    연역-존재론을 기본으로 하고 귀납-인식론은 보조수단으로 삼아야 한다. 눈코귀입피부로 얻은 데이터는 일단 의심해야 한다. 두 번 뒤집어야 진짜다. 인간과 자연 사이의 관측에서 한 번 뒤집어 1층에서 2층으로 올라간다. 2층에서 다시 뒤집어 물질의 상대성에서 에너지의 절대성으로 올라선다. 에너지의 결을 읽는다.



   DSC01488.JPG


    자전거는 1) 관성의 법칙, 2) 체중이동, 3) 핸들조작 4) 페달조작 5) 브레이크 순으로 움직여야 합니다. 보통은 핸들로 체중을 이기려다가 혹은 체중으로 관성을 이기려다가 망하는 거죠. 


[레벨:6]홍가레

2015.11.21 (14:02:10)

자전거를 두손놓고 타보면 더 쉽게 알 수 있죠.   한쪽으로 기울어져서 넘어질 것 같을 때  넘어지는 사람은 반대쪽으로 기울이다 비틀비틀거려서 넘어지고  한쪽으로 기울어질때 페달을 한번더 밟으면 앞으로 가면서 균형이 잡히더라구요.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sort 조회
공지 닭도리탕 닭볶음탕 논란 종결 2 김동렬 2024-05-27 16980
3337 사랑 116, 쾌락과 고통 image 4 김동렬 2016-06-13 5374
3336 인지혁명이 시작되다 image 1 김동렬 2016-06-13 6378
3335 최초에는 최초가 없다 image 김동렬 2016-06-13 5526
3334 이스터 섬의 진실 image 1 김동렬 2016-06-14 6450
3333 사랑 117, 낚이지 말고 낚아라 1 김동렬 2016-06-16 5542
3332 구조론의 출발 3 김동렬 2016-06-16 5700
3331 구조론의 원점 김동렬 2016-06-17 5683
3330 서세원과 조영남 2 김동렬 2016-06-20 6512
3329 사랑 118, 결단의 에너지 1 김동렬 2016-06-21 5831
3328 논어 더보기 2 김동렬 2016-06-21 6261
3327 대화가 끝나는 지점 image 3 김동렬 2016-06-23 6683
3326 사랑 119, 사랑의 통제권 1 김동렬 2016-06-27 5148
3325 공자선생의 정답 김동렬 2016-06-28 5729
3324 승리자의 길로 가야 한다 김동렬 2016-06-29 6119
3323 공자의 최종결론 김동렬 2016-07-05 5713
3322 알아서 해라 5 김동렬 2016-07-05 6475
3321 모순이 있어야 정상이다 1 김동렬 2016-07-06 5781
3320 사랑 120, 갈 길이 멀다 1 김동렬 2016-07-07 5094
3319 보편 평등 민주 자본 사회 김동렬 2016-07-07 5697
3318 진짜 이야기를 하자 4 김동렬 2016-07-08 58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