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유 게시판
프로필 이미지
[레벨:13]아나키
read 2146 vote 0 2015.10.28 (13:13:10)

구조론 연구소에서 발행된 책을 읽다보면 물리학 법칙이나 전문 용어들이 나온다.

용어들을 공부하고 책을 읽어 나가는 재미가 쏠쏠하지만 아쉬운건

각 용어들을 만들어진 과정, 기호들로 간결하게 표현된 수식들을 들여다 보아도 이해가 가지 않는다.


여기 커뮤니티에 활동하시는 분들은 이런 어려움을 어떻게 헤쳐나가시는지요?

혼자읽는 책의 줄거움 속에서도 이런 수식에 어려움들이 켕겨서 이 가을 쓸쓸한 마음이 거듭 생깁니다. ㅜㅜ.



프로필 이미지 [레벨:30]id: 김동렬김동렬

2015.10.28 (14:07:25)

수식이 없을텐데요?

구조론은 한 가지를 연역하므로


단 하나만 알면 됩니다. 

나머지는 그 하나를 다른 것에 적용하여 복제한 것입니다.


물리학 이런건 그냥 예를 들어 하는 이야기고 중요하지 않습니다. 

질, 입자, 힘, 운동, 량만 알면 됩니다.


질에서 하나를 빼면 입자, 입자에서 하나를 빼면 힘.. 이 패턴의 반복이므로

결국 질 하나만 이해하면 됩니다.


질을 이해하기 쉬운게 입자에다 하나를 보태면 그게 질입니다.

입자 두 개가 붙어서 팀을 이루고 한 개처럼 행동하는게 질입니다. 


질은 저울, 입자는 됫박, 힘은 콤파스, 운동은 자, 양은 눈금이므로

저울 하나만 이해하면 됩니다.


천칭저울을 보면 접시가 두 개 있어요.

됫박을 둘 붙여놓은게 저울입니다.


콤파스를 두 개 붙이면 됫박, 자를 두 개 붙이면 콤파스, 눈금을 두개 붙이면 자

너무 쉽잖아요.


저울은 비중을 재는 도구이므로

비율이라는 개념만 알면 땡.


저울을 이해한 사람은 모두 이해한 것이므로 더이상 논할게 없습니다.

너무 쉽잖아요. 


비중(比重)은 어떤 물질의 밀도와, 표준 물질의 밀도와의 비이다. 상대밀도라고도 한다.(위키백과)


그래서 구조론은 3차원 위에 4차원으로 밀도를 씁니다.

밀도는 의사결정 총 횟수를 의미합니다. 


크기는 큰 것도 한 번에 움직일 수 있으므로 정확하지 않지요.

작은 것은 한 번에 운반하고 큰 것은 여러번에 걸쳐 운반한다? 아닌데.


우주를 구성하는 근본은 크기가 아니라 밀도입니다. 

왜냐하면 크기는 작은 것이 모여서 커지는 건데


작은 것은 있을 수 없기 때문입니다.

소립자가 크기를 가지면 자체의 인력에 의해 우주가 짜부러져버립니다.


불확정성의 원리에 의해 분명한 위치를 가지지 않고 

대신 범위를 가져야 크기가 발생한다는 거죠. 


크기는 만져보고 아는 건데 서울을 만지든 부산을 만지든 거기가 한국입니다.

근데 딱 중간인 충주 중앙탑이 한국의 위치라고 못을 박아버리면 


한국이 졸라리 작아져서 멸망. 끝.

만유인력에 대적을 못해서 우주는 축소 파멸. 

77777.jpg


한국의 중앙은 중앙탑이라고 주장하는 충주사람 생각

첨부
프로필 이미지 [레벨:21]이상우

2015.10.28 (17:06:10)

요거, 애들이랑 수업시간에 써먹어야 겠네요.

대한민국의 중앙은 어디? 그리고 근거는?

프로필 이미지 [레벨:30]id: 김동렬김동렬

2015.10.28 (17:14:45)

궁예의 도성이 딱 휴전선에 걸쳐 있으니 거기가 중앙일지도 모르죠. 

프로필 이미지 [레벨:13]아나키

2015.10.29 (09:12:21)


네.. 제가 글을 오해가 많게 썼네요. 관련 용어들을 찾아보려고 물리학 책을 들여다 봤는데 관련 수식들이 나오는데

그냥 그렇다는 것은 알겠지만 구체적 수식관계를 이해하지 못하는 저에 한스러운 글이었습니다.

각운동량 -----> 질량*중심에서 거리^2*각속도, 등...


P.S 충주 사람들이 중앙탑이 왜 대한민국 중앙에 있는지 주장에 근거를 알 수 있는 사진 감사합니다.^^.;..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sort 조회
1552 구조론 광주 모임 탈춤 2015-10-16 1775
1551 어떻게 살 것인가? image 떡갈나무 2015-10-18 2268
1550 영화 백 투 더 퓨처 30년만에 재개봉 image 5 락에이지 2015-10-21 3217
1549 구조론 목요강론회 image 6 ahmoo 2015-10-22 1757
1548 요즘은 박까기가 유행 수원나그네 2015-10-22 2268
1547 진로 2 펄잼 2015-10-24 2036
1546 벌써 일년 image 2 락에이지 2015-10-27 2142
1545 우리는 포기하지 않는다. 7 챠우 2015-10-28 2025
1544 지적 장애학생을 잘 도와준 학생에 대한 표창 추천서를 쓰다가... 1 이상우 2015-10-28 2267
» 수식의 어려움? 4 아나키 2015-10-28 2146
1542 팀을 만들지 못하는 아이 19 지리산인 2015-10-29 3105
1541 구조론 목요 강론회 image ahmoo 2015-10-29 1835
1540 육룡이 나르샤를 보면서 까뮈 2015-10-29 2180
1539 올바른 떡볶이 5 한너울 2015-10-30 2780
1538 jtbc 송곳 2 챠우 2015-11-02 2629
1537 [생각의 정석 100회 특집 공개방송 안내] image 8 냥모 2015-11-03 2471
1536 [오마이뉴스] 재보선 사전투표함 cctv 없이 관리 ㅡ부정선거 사각지대 수원나그네 2015-11-04 1806
1535 [김어준] 투표한 곳에서 수개표해야 1 수원나그네 2015-11-04 2061
1534 문제행동이 심한 아버지의 유형은? 5 이상우 2015-11-04 2294
1533 중독 02 2 kilian 2015-11-05 233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