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유 게시판

지적 장애학생을 잘 돕는 학생을 표창하니까 추천해달라는 메시지를 받고, 표창을 쓰려던 중에...

 반아이들이 과반수가 넘게 표창대상으로 지지하는 아이가 있어서 그 아이 표창 공적조서를

아이들과 함께 썼다. 표창받는 본인은 좀 낯뜨거울 수 있겠으나, 애들이 도와줘서 구체적인 내용으로

금새 간략하게 공적조서를 썼다.

 

한 두가지 더 써줄 것이 없을까 고민하다가 순간 번뜩 깨닫는 것이 있었다. 아이들이 지적 장애 아이가

등교하고, 하교할 때 함께하고, 체육시간에 연습을 도와주고, 공부시간에 돌아다니지 않게 해주고,

식판을 반납할 때 스스로 못하는 부분(잔반을 국통에 넣을 때) 도와주고... 하여튼 스스로 할 수 있도록

옆에서 기다려주고, 함께 해야 할 수 있는 것은 안내해주고, 못하는 것은 직접 도와주기도 하고,

모르는 것은 알려주기도 하는데....

 

 

그런데 한가지 안한 것이 있었다.

그렇게 아이들이 존중과 배려와 동행을 했건만 안한 것이 있다니,

그게 ...무엇이었을까?

그건 바로 놀기다.

 

어느 누구도 쉬는 시간에 그 학생과 놀지 않았다.
좀더 직설적으로 표현하면 놀아주지 않았다.

 

아이들은 놀면서 배운다. 놀면서 자기를 인식하고, 상대방의 장점을 흡수하고,

상호작용 속에 인간관계의 깊이와 폭을 넓혀간다. 물론 자기 이름도 못쓰는

아이에게 무엇을 기대할 수 있을까 생각할 수도 있으나, 그 아이는 알아듣는 많은 단어가 있고,

음악 시간에 명랑한 노래를 부를 때 그 누구보다도 밝은 표정과 몸짓으로 음악을 즐긴다.

이건 나도 못하는 거다. 다들 표현 하고 싶은 마음이 들지만 주변을 의식하고 머뭇 거리다

기회를 놓친다. 장애 학생에게 내가 배운다. 그땐 뒤통수를 맞은 것 같다.

 

다시 돌아와서  도와주기보다 놀아줘야 하고, 놀아주기 보다 그냥 놀면 된다. 노는게

그 아이의 욕구를 충족시키고 학교 생활을 즐겁게 만든다. 아이가 자란다. 이제 두 달,

나도 가끔씩은 그 학생과 놀아야겠다. 놀고 싶지 않은 사람 없으니까.

 

불현듯 공부 시간에 돌아다니지 말라고 하고,

물레방아 테이프 가지고 장난치지 말라고 한게 미안해진다.

쉬는 시간에 충분히 놀지 못했으니 내 학생이야 공부시간이 오죽 답답했으랴...

 

오늘은 아무래도 좀 침착하게 하루를 보내야 겠다.
걔랑 노는거 빼곤.


[레벨:15]떡갈나무

2015.10.29 (09:25:21)

이상우 님!

맞습니다.
특수교육선정 학생들.
함께 놀아 줄 친구를 얼마나 원하는지 몰라요.

성교육으로 많은 장애학생들을 만나는데요
"선생님, 저는 왜 친구가 없어요?"
"저도 이다음 이성친구를 사귈 수 있어요?" 등등
사람과 사람으로 관계를 맺고 싶어하는 애타는 마음이 보입니다
특히 경계선 지적장애 학생들이요 ^^

이상우 님, 당신을 응원합니다!! ^^v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sort
3552 오늘 구조론 역삼 모임(신간파티) image 3 ahmoo 2014-03-20 2266
3551 요즘은 박까기가 유행 수원나그네 2015-10-22 2266
3550 물귀신의 정수(精髓) 수원나그네 2016-03-26 2266
3549 모델 image 1 곱슬이 2012-06-06 2267
3548 과연 MB의 최후는? 1 배태현 2014-05-11 2267
3547 중국판< 커피의 거의 모든 것> image 10 곱슬이 2014-03-09 2267
3546 연상법.별.테스트. 6 아제 2015-01-03 2267
3545 베트남에 사죄의 선물을 보내자 5 쿨히스 2018-03-25 2267
3544 잘 지나갈 수 있을까요..? (힘들어서 다시 한번 글을 올립니다.) 9 바이칼 2018-05-22 2267
3543 새누리가 미는 것. 3 아란도 2012-12-13 2268
3542 2번을 찍었다. 그대는? image 4 아제 2012-12-14 2268
3541 코코의 냥이 사랑 1 르페 2012-06-03 2269
3540 구조론을 공부하는데 필요한 매체를 찾고 싶습니다. 7 연역 2019-04-27 2269
3539 神. 1 아제 2011-01-26 2270
3538 곰슬이님아 고맙소 5 까뮈 2015-06-13 2270
3537 Walking Museum 영상 2 냥모 2013-12-27 2271
3536 받고,돌고,주고. 아제 2013-07-13 2272
3535 미-중 정상회담의 파장 1 일반이론 2011-01-19 2273
3534 역사의 현장을 목격하고 행동하는 자가 역사를 되돌릴 수 있다. 1 이상우 2013-03-26 2273
3533 17일(금) 구조론 광주모임 안내 탈춤 2014-01-17 227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