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읽기
프로필 이미지
[레벨:30]id: 김동렬김동렬
read 5517 vote 0 2015.10.24 (21:19:10)

     

    세상은 모두 연결되어 있다. 그러므로 깨달음을 필요로 한다. 세상이 개별적으로 존재한다면 그 하나하나를 각각 상대해주면 된다. 개는 개로 상대해주고 고양이는 고양이로 대접해주면 된다. 그런데 이것들이 모여서 팀을 이루고 있다면 만만치 않다. 개인기로 나오면 개인기로 막아야 한다. 팀플레이로 나오면 역시 팀플레이로 막아야 한다. 세상은 팀플레이로 나온다. 그런데 나는 혼자다. 혼자서 어떻게 팀을 상대해 이길 수 있지? 이기는 팀에 들어야 한다. 그래서 깨달음이 필요하다. 팀은 포메이션을 쓴다. 포메이션은 모형이다. 그러므로 모형을 익혀야 한다. 팀 플레이의 모형은 강剛이 아니라 유柔다. 개인기로 돌파하는게 아니라 짧은 패스위주의 유기적인 플레이를 한다. 그 모형은 살아있다. 모형으로 생각하는 힘을 길러야 한다. 그 모형은 고착된 모형이 아니라 상황에 따라 플랜을 바꾸는 유기적인 모형이어야 한다. 플랜 A가 깨지면 플랜 B가 있다. 언제나 다음 단계의 계획이 뒤를 받쳐주어야 한다. 깨달음은 팀을 깨닫고 모형을 깨닫는 것이다. 그것이 우주에 있으니 진리가 되고, 사회에 있으니 진보가 되고, 언어에 있으니 담론이 되고, 내면에 있으니 존엄이 되고, 예술에 있으니 완전성이 된다. 깨달음은 진리를 깨닫고 진보를 깨닫고 담론을 깨닫고 존엄을 깨닫고 완전성을 깨닫는 것이다.


DSC01488.JPG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sort
공지 닭도리탕 닭볶음탕 논란 종결 update 2 김동렬 2024-05-27 2575
3301 깨달음의 과학 3 김동렬 2014-05-25 7024
3300 의사결정구조 100문 100답 image 2 김동렬 2016-09-08 7016
3299 구조론 백문백답 image 김동렬 2016-09-07 7010
3298 의사결정학의 의미 image 김동렬 2014-07-07 7007
3297 선택이냐 대응이냐 1 김동렬 2018-07-10 7001
3296 존재는 존재의 논리가 있다 3 김동렬 2014-05-26 7001
3295 다양성과 획일성 image 2 김동렬 2015-05-09 6997
3294 대칭의 이해 image 김동렬 2015-04-29 6995
3293 간화선의 의미 6 김동렬 2018-07-20 6991
3292 구조론 1분 설명 image 김동렬 2016-09-15 6983
3291 깨달음이란 무엇인가? image 7 김동렬 2015-02-24 6978
3290 구조론자의 교양을 학습하라 image 김동렬 2016-08-04 6965
3289 존재란 무엇인가? image 1 김동렬 2014-11-04 6953
3288 세상은 짜고 치는 고스톱 image 김동렬 2015-05-05 6952
3287 인과율의 3가지 태도 2 김동렬 2015-07-20 6951
3286 성선설과 성악설 image 김동렬 2016-05-09 6948
3285 애매한 공간에서의 동적균형 1 김동렬 2014-06-30 6936
3284 풍성해야 진보다 1 김동렬 2018-07-21 6932
3283 피케티와 빌 게이츠 1 김동렬 2014-10-22 6928
3282 구조주의 진화론 image 김동렬 2016-09-18 69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