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읽기
프로필 이미지
[레벨:30]id: 김동렬김동렬
read 5204 vote 0 2015.09.19 (21:13:44)

     

    세상의 단위는 무엇인가?


    세상은 단위의 집합으로 되어 있다. 이 점을 부인하는 사람은 없다. 숫자 1, 2, 3..처럼 혹은 물체 한 개, 두 개처럼 낱개로 된 것이 단위다. 단위는 인간이 가리켜 지시할 수 있는 대상이다. 그 가리켜 지시하는 것은 언어다. 언어는 단어로 되어 있다. 아니 문장으로 되어 있다. 여기서 잠깐! 뭔가 이상하다.


    명사는 하나 둘로 구분이 가능하나 동사는 헷갈린다. ‘사랑’은 하나 둘로 구분하여 셀 수 없다. 아니 셀 수도 있다. ‘나 오늘 열 번 사랑했어.’라고 말할 수 있을까? 명사 ‘사랑’은 어쩌면 셀 수 있을듯 한데 동사 ‘사랑하다’는 셀 수 없다. 문법적 의미에서 동사의 범주에 포함되는 형용사도 셀 수가 없다.


    언어가 그렇다면 사물도 그러하다. 대칭되어 있다. 사실 많은 것이 셀 수 없는 것이다. 기생생물처럼 애매한 것이 있다. 있기는 있는데 에너지를 외부에 의존한다. 그림자처럼 존재감 없이 불완전한 반존재들이 있다. 그림자는 있지만 곧잘 다른 그림자에 묻혀 버린다. 강물은 바다에 이르러 모두 연결된다.


    딱 구분하여 셀 수 없다. 어디까지가 임진강이고 어디부터가 한강인지 딱 잘라 말할 수 없다. 대나무는 뿌리가 연결되어 일제히 꽃을 피우고 죽었다가 다시 살아난다. 거기서 한 그루를 분리할 수 없다. 분리하려면 분리할 수도 없다. 애매하다. 세상이 구분단위로 되어 있다는 믿음은 착각에 불과하다.


    단위는 입자에 해당되는 것이며, 구조론으로는 질이 입자에 앞선다. 질은 중첩이다. 에너지는 상부구조로부터 전달받는다. 단위는 다른 단위와 연결되어 있으므로 잘라낼 수 없다. 손가락 마디를 잘라낼 수 없다. 팔에서 손을 뗄 수 없고. 어깨에서 팔을 잘래낼 수 없고. 몸통에서 어깨를 잘라낼 수도 없다.


    세상 모든 것은 에너지에 의해 연결되어 있다. 똑부러지는 입자는 없다. 존재는 사건이며 사건은 흐름 속에서 존재한다. 의사결정이 단위를 이룬다. 의사결정은 연쇄적으로 일어난다. 당신이 스스로 백화점에서 어떤 옷을 선택했다고 믿지만 사실은 의류 디자이너들이 당신에게 선택지를 제공한 것이다.


   28.jpg 29.jpg 30.jpg 31.jpg


[레벨:5]상무공단의아침

2015.09.20 (01:11:22)

대단하십니다. 


시소는 지구라는 별의 중력으로 운동을 하고


지구는 태양주위를 태양의 인력과 원심력으로 공전을 하니


에너지의 관점에서 봤을 때 연결되어 있군요.


그러므로 시소는 태양과도 에너지의 관점에서 연결되어 있군요.


그런식으로 들어가면 세상모든 것은 에너지의 관점에서 연결되어 있군요.


입자 중심의 세계관에서 에너지의 관점을 새로 보게 됩니다.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sort
공지 닭도리탕 닭볶음탕 논란 종결 2 김동렬 2024-05-27 26258
공지 신라 금관의 비밀 image 7 김동렬 2024-06-12 16121
4112 노-DJ세력의 빅딜은 가능한가? 김동렬 2007-05-07 11535
4111 세상을 이해하는 기본 김동렬 2007-06-23 11532
4110 구조론 집필계획 김동렬 2008-03-28 11529
4109 바람이 부는게 아니라 부는게 바람이다 image 2 김동렬 2018-03-29 11527
4108 장자와 플라톤 image 1 김동렬 2018-04-19 11527
4107 엮임으로 사유하라 image 3 김동렬 2013-05-13 11525
4106 이명박의 지지율이 꺾이는 시점은? 김동렬 2007-07-10 11525
4105 질과 양의 관계 image 3 김동렬 2012-05-07 11520
4104 주객은 전도된다 image 6 김동렬 2013-04-14 11516
4103 심리학 10 김동렬 2010-10-18 11507
4102 구조는 목이다 김동렬 2008-01-18 11507
4101 국민배우 몰락의 법칙 김동렬 2007-01-04 11505
4100 사월은 잔인한 달 김동렬 2007-04-20 11503
4099 존재불안의 극복 image 9 김동렬 2013-03-09 11500
4098 나의 사건을 일으켜라 image 김동렬 2018-04-28 11496
4097 한국은 잘하고 있다. image 1 김동렬 2016-11-05 11491
4096 미확인이면 닥쳐! image 김동렬 2012-02-28 11491
4095 구조주의 교육론 7 김동렬 2011-04-20 11489
4094 생각의 학문 image 7 김동렬 2013-05-06 11488
4093 끝까지 가보기(수정) 김동렬 2009-01-15 1148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