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읽기
프로필 이미지
[레벨:30]id: 김동렬김동렬
read 5102 vote 0 2015.09.19 (21:13:44)

     

    세상의 단위는 무엇인가?


    세상은 단위의 집합으로 되어 있다. 이 점을 부인하는 사람은 없다. 숫자 1, 2, 3..처럼 혹은 물체 한 개, 두 개처럼 낱개로 된 것이 단위다. 단위는 인간이 가리켜 지시할 수 있는 대상이다. 그 가리켜 지시하는 것은 언어다. 언어는 단어로 되어 있다. 아니 문장으로 되어 있다. 여기서 잠깐! 뭔가 이상하다.


    명사는 하나 둘로 구분이 가능하나 동사는 헷갈린다. ‘사랑’은 하나 둘로 구분하여 셀 수 없다. 아니 셀 수도 있다. ‘나 오늘 열 번 사랑했어.’라고 말할 수 있을까? 명사 ‘사랑’은 어쩌면 셀 수 있을듯 한데 동사 ‘사랑하다’는 셀 수 없다. 문법적 의미에서 동사의 범주에 포함되는 형용사도 셀 수가 없다.


    언어가 그렇다면 사물도 그러하다. 대칭되어 있다. 사실 많은 것이 셀 수 없는 것이다. 기생생물처럼 애매한 것이 있다. 있기는 있는데 에너지를 외부에 의존한다. 그림자처럼 존재감 없이 불완전한 반존재들이 있다. 그림자는 있지만 곧잘 다른 그림자에 묻혀 버린다. 강물은 바다에 이르러 모두 연결된다.


    딱 구분하여 셀 수 없다. 어디까지가 임진강이고 어디부터가 한강인지 딱 잘라 말할 수 없다. 대나무는 뿌리가 연결되어 일제히 꽃을 피우고 죽었다가 다시 살아난다. 거기서 한 그루를 분리할 수 없다. 분리하려면 분리할 수도 없다. 애매하다. 세상이 구분단위로 되어 있다는 믿음은 착각에 불과하다.


    단위는 입자에 해당되는 것이며, 구조론으로는 질이 입자에 앞선다. 질은 중첩이다. 에너지는 상부구조로부터 전달받는다. 단위는 다른 단위와 연결되어 있으므로 잘라낼 수 없다. 손가락 마디를 잘라낼 수 없다. 팔에서 손을 뗄 수 없고. 어깨에서 팔을 잘래낼 수 없고. 몸통에서 어깨를 잘라낼 수도 없다.


    세상 모든 것은 에너지에 의해 연결되어 있다. 똑부러지는 입자는 없다. 존재는 사건이며 사건은 흐름 속에서 존재한다. 의사결정이 단위를 이룬다. 의사결정은 연쇄적으로 일어난다. 당신이 스스로 백화점에서 어떤 옷을 선택했다고 믿지만 사실은 의류 디자이너들이 당신에게 선택지를 제공한 것이다.


   28.jpg 29.jpg 30.jpg 31.jpg


[레벨:5]상무공단의아침

2015.09.20 (01:11:22)

대단하십니다. 


시소는 지구라는 별의 중력으로 운동을 하고


지구는 태양주위를 태양의 인력과 원심력으로 공전을 하니


에너지의 관점에서 봤을 때 연결되어 있군요.


그러므로 시소는 태양과도 에너지의 관점에서 연결되어 있군요.


그런식으로 들어가면 세상모든 것은 에너지의 관점에서 연결되어 있군요.


입자 중심의 세계관에서 에너지의 관점을 새로 보게 됩니다.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sort
공지 닭도리탕 닭볶음탕 논란 종결 update 2 김동렬 2024-05-27 2468
4101 구조론의 차원 image 김동렬 2015-09-01 5024
4100 구조론 사전 8 김동렬 2016-01-04 5028
4099 부자나라가 되는 방법 image 1 김동렬 2016-01-27 5031
4098 양자론과 구조론 image 2 김동렬 2015-10-23 5036
4097 공자 11, 문을 통하지 않고 나가랴 image 1 김동렬 2016-02-08 5040
4096 에너지 물질 공간 시간 정보 image 김동렬 2015-11-09 5049
4095 사랑 81, 나의 바깥과 사귀어두라 image 1 김동렬 2016-03-24 5049
4094 세상은 복제다 2 김동렬 2015-08-28 5054
4093 구조론 철학사전 마지막 김동렬 2016-01-07 5056
4092 공자 이후에 공자가 없었다 image 김동렬 2016-01-19 5056
4091 노자 8, 무위는 필망이라 image 1 김동렬 2016-02-13 5059
4090 사랑 120, 갈 길이 멀다 1 김동렬 2016-07-07 5059
4089 엔트로피가 전부다 image 2 김동렬 2015-10-20 5064
4088 사랑의 정석 44, 신과의 일대일 image 1 김동렬 2016-01-30 5068
4087 조절되는 것이 완전하다 image 김동렬 2016-04-03 5070
4086 503 김건희 맞교환 3 김동렬 2021-12-25 5075
4085 사랑의 정석 62, 소들의 평상심 image 1 김동렬 2016-02-26 5079
4084 답은 만남에 있다 image 1 김동렬 2016-03-03 5079
4083 구조는 이중구조다 image 김동렬 2015-10-26 5081
4082 이재명 까는 사람의 심리 김동렬 2021-08-20 508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