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유 게시판
프로필 이미지
[레벨:1]똘추
read 2280 vote 1 2015.08.05 (23:11:49)

농사가 경제활동의 대부분이었던 조선시대에는 경제학이란 학문이 불필요했다.


한해 농사를 가뭄 홍수 등의 천재지변이 결정하기 때문이다.


더 멀리 원시시대에는 개개인의 사냥실력이 배고픔을 해결하는 정도로 경제라는 것을 생각할 필요도 없다.


경제란 경세제민처럼 집단의 부유함을 의미하지 개인의 부유함을 의미하지는 않으니까


경제가 의미를 갖기 시작한 것은 영국이 산업혁명을 일으키면서 부터이다.


이때부터 경제는 동물적 경제의 모습을 보인다.


동물적이란 것은 비평형 개방계라고 말할 수 있다.


어트랙터가 고정점이 아닌 리미티드 사이클을 보인다. 그래서 경제가 요동을 보이기 시작한다.


산업혁명이 일어난 영국에서 처음으로 불황과 호황이라는 경제적 요동이 발생했다.


경제를 제대로 이해하려면 프리고진의 산일구조론을 알아야 한다.


[레벨:1]푸른늑대

2015.08.06 (18:40:32)

똘추 님(장은성 님)의 수학책은 저도 2어권 정도 서점에서 사보았지만, 책의 후미에서는 힘이 좀 달리는 느낌이랄까요? 해결책을 완전하게 전달하기 보단 문제점 적시에만 대부분 할애..

이번에는 비평형개방계를 좀 자세히 설명해 주시죠?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sort
1552 월성1호기의 진실 3 수원나그네 2015-02-24 2285
1551 다들 힘내십시요. 락에이지 2012-12-20 2283
1550 롱테일법칙 챠우 2015-12-29 2282
1549 종편내전 image 1 김동렬 2014-07-30 2282
» 경제는 비평형 개방계 1 똘추 2015-08-05 2280
1547 서태지 vs 박근혜 3 홍가레 2014-10-19 2281
1546 앞으로 대화법 연구 방향은 1 이상우 2013-02-25 2281
1545 그림의 리얼리즘 image 1 이금재. 2020-04-10 2280
1544 정세균이 기어코 수원나그네 2016-08-14 2280
1543 영화 와이키키 브라더스 image 1 락에이지 2016-05-02 2279
1542 image 3 곱슬이 2013-04-08 2279
1541 잘 지나갈 수 있을까요..? (힘들어서 다시 한번 글을 올립니다.) 9 바이칼 2018-05-22 2278
1540 베트남에 사죄의 선물을 보내자 5 쿨히스 2018-03-25 2278
1539 눈마님에게 12 수원나그네 2016-07-05 2278
1538 역사의 현장을 목격하고 행동하는 자가 역사를 되돌릴 수 있다. 1 이상우 2013-03-26 2278
1537 '랄랄라 콘서트'에 오세요. image 5 냥모 2015-08-09 2277
1536 체감물가 100% 올라 1 스마일 2012-04-25 2277
1535 미-중 정상회담의 파장 1 일반이론 2011-01-19 2277
1534 17일(금) 구조론 광주모임 안내 탈춤 2014-01-17 2274
1533 받고,돌고,주고. 아제 2013-07-13 227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