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유 게시판
프로필 이미지
[레벨:1]똘추
read 7004 vote 1 2015.08.05 (22:53:47)

우주는 무에서 태어났다고 한다.


무는 아무것도 없다 아무것도 없기에 역설적으로 가장 완벽한 존재다 우주가 무에서 태어난 이유다


무라는 것은 무한히 많은 대칭성을 가진 존재이기도 하다.


그 대칭성이 자발적 붕괴를 일으키면서 빅뱅이 일어났다고 물리학자들은 말한다.


생명도 완전한 대칭성을 가진 수정란이 자발적 붕괴를 일으키면서 대칭성을 하나 하나 잃어가는 것이 발생의 과정이라고 한다.


즉 대칭성의 마이너스 방식이다. 구조론에서 말하는 것 말이다. 참으로 대단한 통찰력이다.


하지만 우리가 그 이상으로 나아가기 위해서는 수학의 힘을 빌려야 한다.


물질은 완벽한 대칭성의 일부가 무너진 존재라는 의미다. 즉 우리가 보는 물질은 모두 불완전한 존재라는 의미다.


아무튼 이런 대칭과 비대칭성의 이해는 군론이란 수학의 힘을 빌려야 한다.


프로필 이미지 [레벨:30]id: 김동렬김동렬

2015.08.06 (10:45:13)

구조론의 대칭과 수학의 대칭은 차이가 있습니다. 

구조론은 구조론이구나 해야지 무리하게 수학에 끼워맞추려 하면 안 됩니다.


그것은 마치 일부에서 구조론을 기독교의 성경이나 환빠의 천부경이나

도교의 도덕경이나 유교의 주역이나 음양오행설과 끼워맞추려고 시도하는 것과 같습니다.


아이디어의 출발점은 사실 같습니다. 구조론이 창세기이고 도덕경이고 주역이고 인연법이고 그런 거죠.

그러나 실제로는 그렇게 끼워맞추려고 할수록 깨달음과 멀어져서 개똥이 됩니다.


끼워맞추려고 하는 노력은 깨달음을 거부하는 노력입니다.

끼워맞추려고 하지 말고 그런 개똥들은 깨부셔 버려야 되는 것입니다.


도공이 좀 아닌 도자기는 깨버리지 그걸 어떻게 사포로 갈아서 뺑끼칠하고 그러지 않습니다.

대칭이라고 말하지만 완전히 정반대로 접근하고 있다는 거죠. 


94.jpg


이게 좌우대칭이라는건 누구나 알죠. 아 대칭이구나 대칭이여. 대칭 좋아. 천만에. 

이거 좌우대칭 아니거든요. 뭐 좌우대칭이라고 해도 되지만 그건 구조론이 아니거든요. 


95.jpg


에너지로 보면 이렇게 되어 있습니다. 타지마할 묘당이 지구를 누르는 힘만큼 

동시에 지구도 타지마할을 밀어붙이고 있다는 거죠. 그러니까 관점이 다른 거죠.


96.jpg


대칭은 이런 구조로 되어 있습니다. 좌우대칭이 아니고 중심과 주변의 대칭입니다.

에너지의 작동은 이 구조로 일어난다는 거죠. 이게 1초만에 보이는 사람은 구조론을 주제로

대화할 준비가 된 것입니다. 안 보인다면 발언권은 없는 거죠. 


97.jpg


여기까지 그림이 보이는 사람은 구조론을 아는 사람입니다. 

비슷한 내용이라도 방향이 다르면 안 쳐주는 겁니다. 


한의학과 양의학이 사람 치료하는건 똑같은데 근본적인 접근법의 차이가 있으므로

화해가 안 되는 것과 같죠. 그거 원래 잘 안 되는 것이며 화해가 바람직하지도 않습니다. 



첨부
[레벨:1]푸른늑대

2015.08.06 (18:41:52)

'군론'도 좀 소개해 주시죠..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sort
4652 왜 박근혜는 방향을 제시하지 못했는가? 문재인도 안철수도 유시민도. 9 당당 2013-03-06 5763
4651 자신의 몸 속에 나무가 자라지 않나 조사해보시오. image 4 ahmoo 2009-04-15 5763
4650 안녕하세요. 김동렬님. 1 새벽편지 2007-06-04 5757
4649 파구^^의 역삼 모임 후기 image 8 파워구조 2014-05-30 5752
4648 한국인들의 지능지수 image 김동렬 2010-04-08 5747
4647 서울대 채상원 '제2의 김예슬' 이라고? image 5 양을 쫓는 모험 2010-03-31 5745
4646 다음 카페에 가입 했습니다 2 하나로 2007-05-03 5733
4645 푀엔현상의 위력 image 4 김동렬 2011-06-21 5720
4644 동렬님 논술강의 사이트하나 만들죠... 1 프로메테우스 2007-02-01 5719
4643 이소룡 최고의 명언 그리고 추천영화 image 락에이지 2014-09-02 5715
4642 첫인사 올리구요... 2 도대체 2007-01-19 5712
4641 지성인 친구가 필요한 이유 image 9 김동렬 2009-10-28 5700
4640 상상력과 창의력은 이웃사촌일까요? 3 기똥찬 2011-04-12 5696
4639 메일 하나 드렸습니다 2 쏘랙스 2006-05-02 5694
4638 구글 어스와 국내 것의 결정적 차이. image 1 노매드 2009-09-25 5691
4637 징기스칸.. 4 김동렬 2011-01-09 5687
4636 봉팔내 (디언가?)문제? 17 의명 2013-09-07 5683
4635 대인 서생원 image 2 김동렬 2009-03-18 5676
4634 단원고 2학년 학생들은 1997년 IMF 발생 년도에 태어나 2 정나 2014-04-30 5661
4633 인문학강의 [Who am I] - 최진석 자신의 주인으로 산다는 것 (풀영상) 3 비랑가 2014-02-03 565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