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유 게시판
프로필 이미지
[레벨:1]똘추
read 2695 vote 1 2015.07.27 (20:48:45)

학문을 한다는 것은 무엇을 의미하나? 그것은 지식을 체계화 한다는 의미다.


처음 인류는 단순한 경험적 지식만을 축적했다. 이집트의 도서관이 바로 그것이다.


그러다보니 서로 상충되는 내용도 있고 미신적인 내용도 있었다.


사람마다 경험이 다르고 관점이 다르기 때문이다.


그래서 고대 그리스인은 지식을 체계화 해야한다고 생각한다.


이집트 바빌론 등의 선진 문물을 수입하기 바빴던 그리스인들의 고민인 것이다.


그들은 어떻게 지식을 체계화 했나? 바로 바보를 위한 학문을 만들어야 한다는 것이다.


모든 사람이 인정할 수 있는 방식으로 지식을 체계화하기 위해서이다.


그렇게 서양의 논리학이 탄생한다.


정의와 공리, 증명의 과정을 중시한 것은 모두 바보들을 위해서 학문을 만들어야 하기 때문인 것이다.


플라톤이 자신의 아카데미에 들어오려면 유클리드 기하학을 먼저 배우고 오라고 한 것도 이 때문이다.


유크리드 기하학은 단순한 기하학이 아니라 바보를 위한 학문의 전형적인 틀을 갖추었기 때문이다.


그래서 서양에서는 모든 학문이 바로 이 유클리드 기하학의 틀을 본받아 만들어진다.


뉴턴의 프린키피아도 유클리드 기하학 체제 그대로를 모방해 만들었고, 스피노자의 에티카도 마찬가지다.


오늘날 서양의 법전이나 논문은 모두 이 유클리드 기하학의 체제를 그대로 따른다.


정의와 공리(가정)를 먼저 세우고 새로운 자신의 주장을 펼치는 방식이다.


서양보다 더 뛰어났던 동양의 학문이 정체되고 서양에 뒤진 것은 바로 동양에 서양의 저 논리적 체계가 없었기 때문이다.


동양보다 야만적이었던 서양이 동양보다 먼저 근대화 할 수 있었던 것은 바로 유클리드 기하학을 가지고 있었기 때문이다.


동양은 바보들을 존중하지 않는다. sbs에서는 영재발굴단이란 프로가 있다.


동양은 늘 천재 영재를 부러워했다. 이유는 황제나 왕이 천재나 영재를 선발해 왔기 떄문이다.


황제나 왕은 똑똑한 인재를 자기 곁에 두면서 바보들이 반란을 일으키지 못하게 하고 싶었던 것이다.


반면 서양은 늘 바보들을 존중했다. 민주주의란 다른 말로 바보들의 정치 바보들의 권력이란 의미다.


수학도 바보를 위한 학문이다. 바보가 천재를 이긴다. 이것이 역사의 진실이다.


처음에는 천재가 바보를 이기지만 결국에는 바보가 이긴다. 이는 역사가 수없이 보여준 바이다.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sort 조회
3452 노숙견 image 1 곱슬이 2012-06-07 2633
3451 끝까지 누군가를 신뢰하는 눈빛 2 눈내리는 마을 2012-06-08 2469
3450 궁금한 데 물어볼 데가 없어서 2 스마일 2012-06-08 3106
3449 남자가 웃긴게 아니라, 여자가 웃어주는 것 5 르페 2012-06-11 5218
3448 복희씨와 dna image 2 카르마 2012-06-12 9406
3447 잘 지내십니까. 이기준입니다. 14 이기준 2012-06-12 4150
3446 책: 세상은 마이너스다 vs. 이기는 법 2 큰바위 2012-06-13 2695
3445 ‘가난뱅이 예술가 연대’ 구성발기 제안합니다 ^^; 12 정나 2012-06-15 3552
3444 독락당(獨樂堂)- 조정권 image 35 아란도 2012-06-15 4170
3443 사람들은 무엇인가를 '안다'고 하면 화를 낸다. 4 이기준 2012-06-17 2503
3442 경쟁과 비경쟁의 매커니즘을 설명하려고 합니다. 4 이기준 2012-06-17 3122
3441 '천상천하 유아독존'하는 태도에 관하여 5 이기준 2012-06-18 3734
3440 2011 더 씽(The Thing) - 영화 image 12 아란도 2012-06-18 6942
3439 독서메모 "이기는 패러다임" 조지 소로스 지음 image 이기준 2012-06-19 3494
3438 독서메모 "국부론" 애덤 스미스 지음 image 11 이기준 2012-06-19 3188
3437 독서메모 "계층이동의 사다리 : 빈곤층에서 부유층까지 숨겨진 계층의 법칙" 루비 페인 지음 image 2 이기준 2012-06-19 5575
3436 독서메모 "이장우 - 리더를 읽다 시리즈" 이장우, 김세라 지음 image 4 이기준 2012-06-19 2490
3435 독서메모 "벤자민 버튼의 기이한 이야기" 피츠제럴드 지음 image 2 이기준 2012-06-19 2673
3434 인간을 계발하는 방법에 관하여 참고자료를 보여드리려고 합니다. image 11 이기준 2012-06-20 3141
3433 가족의 고리 7 귀족 2012-06-21 25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