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론실
프로필 이미지
[레벨:30]id: 김동렬김동렬
read 3592 vote 0 2015.07.22 (22:39:12)

http://article.joins.com/news/article/article.asp?total_id=11357138

 

    
    은하의 가장자리 날개가 먼저 생기느냐 아니면 가운데 핵이 먼저 생기느냐인데 구조론으로는 질이 입자에 앞서므로 가장자리 원반이 먼저 생기고 나중에 가운데 입자가 생깁니다. 이건 뭐 전문적으로 들여다 볼 필요없이 걍 그렇다 하면 그런 겁니다. 존재의 모형이 그러니까 아닥하고 그렇구나 하면 됩니다. 


    바퀴를 먼저 만들고 다음 바퀴축과 바퀴살을 발명하는 거죠. 국경이 먼저 생기고 다음 왕을 선출합니다. 왕이 전쟁을 벌여 국경을 만든게 아니고 왕이 있기 전에 이미 경계가 있었습니다. 향전이라는게 있는데 봉건시대 마을전투입니다. 부족전쟁인데 이게 중국에서는 단위가 커서 몇백만이 전투하기도 합니다.


    전투를 하다보니 왕이 생긴 거, 계에 스트레스를 가하면 핵이 생기는 거. 싸움은 원래 존재하고 냉전이 심심해서 열전으로 붙으면 그 전쟁의 승패에 의해 지도자가 만들어지는 거. 모형으로 보면 간단하다는 거죠.


    암흑에너지도 그런데 구조론은 진작부터 모든 존재의 근본이 인력이 아니라 척력이라고 진작에 말해놨습니다. 척력은 질이고, 인력은 입자인데 척력이 먼저라는 거죠. 암흑에너지는 우주를 가속팽창시키는 척력이고 물질은 우주를 수축시키는 인력이죠. 대칭이 먼저 생기고 축이 나중 생깁니다. 부부가 먼저 있고 그 부부가 공유하는 자식이 나중 생깁니다. 남북이 먼저 갈리고 그 남북이 공유하는 축이 나중 생깁니다. 


[레벨:8]dharma

2015.07.23 (05:02:45)

이제서야 척력의 의미를 조금 알겠네요^^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sort
공지 구조론 매월 1만원 정기 후원 회원 모집 image 29 오리 2020-06-05 87246
1058 한자 상고음과 우리말 김동렬 2016-10-14 3577
1057 창조성에 대한 바른 이해 image 1 김동렬 2014-07-16 3584
1056 세계적인 김녕의 마을길 image 2 ahmoo 2016-04-15 3584
1055 이해의 이해 image 5 김동렬 2015-01-29 3586
1054 구조론적 사유 1 김동렬 2016-03-17 3589
1053 인간의 뇌가 큰 이유 김동렬 2017-03-28 3592
» 구조론으로 본 은하의 생성 1 김동렬 2015-07-22 3592
1051 [좌담회] 매국친일파가 창간한 조선일보 image 2 수원나그네 2018-03-21 3593
1050 공매도의 의미 2 chow 2022-07-12 3594
1049 21세기 자본론 image 5 오세 2014-05-09 3598
1048 주몽은 투먼인가? image 김동렬 2016-07-26 3598
1047 트라우마란 무엇인가? 5 오세 2014-04-29 3604
1046 공감할 수 없는 이야기 image 2 김동렬 2014-03-03 3605
1045 오자서의 정답 image 1 김동렬 2014-03-23 3606
1044 상식이 틀렸다 image 김동렬 2015-12-14 3607
1043 인간은 지능이 낮다. 1 김동렬 2016-10-12 3616
1042 언어가 문제다. 특히 독해력. 오세 2016-05-20 3619
1041 머신러닝과 구조론 - 1. 지도학습 image 1 이금재. 2021-07-22 3619
1040 공간을 보다. image 아제 2013-04-04 3621
1039 요지경속에 진짜 1 지여 2011-02-12 36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