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론실
프로필 이미지
[레벨:8]아제
read 3175 vote 0 2015.06.29 (15:40:07)

인간은 복잡한 존재입니다.

인간의 마음이란 천차만별입니다.그럴까요?

 

천만에요..간단합니다.

스트레스와 스트레써.

 

스트레스..누가 발명한 말인지는 모르겠지만..탁월합니다.

두려움,기쁨,즐거움,외로움,불안,무슨무슨 증후군,긴가민가하는 모든 마음들..

 

이런 말들은 사실 필요 없습니다.

스트레스입니다.

 

스트레스,원래 물리학 용어인데 이젠 심리학 전반에 해당됩니다.

이거 원래 스프링에서 나온 말입니다.

 

누르는 압박,그게 스트레써이고 그 누름에 대한 대항, 그것이 스트레스입니다.

쉽게 말해 작용,반작용이지요.

 

일찌기 석가는 인생은 고(苦)라고 했습니다.괴롭다는 것이죠..뭐든 다 괴롭죠.

그건..괴롭다는 것이 아니라..인간은 스트레스 안에서 산다는 이야깁니다.

 

그러나..인생이 고..라고 말한 것은 다분히 정치적인 발언입니다.

인생은 괴로운 것도 아니고 즐거운 것도 아닙니다.스트레스.

 

이게 무슨 말이냐 하면..

인간은 주는 상태가 아니라 받는 상태라는 것.

 

이 수동적 입장을 능동적 입장으로 바꾸라는 것이 석가의 고집멸도입니다.

고(苦)를 말하고 싶었던 것이 아니라..멸도를 말하고 싶었던 것입니다.

 

고집멸도..

어려운 단어가 아닙니다.

 

인생은 고다.왜? 니가 그것에 집(집착)하기 때문이다.

아니, 인간은 집착하게 만들어졌기 때문이다.

 

바꾸라.어떻게?

멸하라.그 집착을.

 

방법은?

道.

 

길을 찾으라.길따라 가라.

고..하는 너를 따라 가지말고 길을 따라 가라.

 

진리가 너를 자유케 하리니..

그게 고집멸도입니다.

 

스트레스로 돌아갑시다.

스트레스 받지말고 스트레써를 해야한다 이겁니다.

 

즉,창의를 해야합니다.

받는 자가 아니라 주는 자가 되어야 한다..이말 입니다.

 

반응하는 자가 아닌,

반응을 유발하는 자가 되어라..이 말 입니다.

 

마음이 ..마음이란 것이 뭔지 아십니까.

반응하는 자, 즉..스트레스 입니다.

 

정신이 곧 도(道)인데.

그것은 스트레써..입니다.주체성입니다.

 

마음이 을이고 정신이 갑입니다.

우리는 마음을 포기하고 정신으로 가야합니다.

 

그게 고집멸도입니다.

빠이~

 


[레벨:12]비랑가

2015.06.29 (21:28:02)

으으... 주기가 쉽지 않소.

줄것도 별로 없지만...

프로필 이미지 [레벨:8]아제

2015.06.30 (16:48:28)

입장을 바꾸면 줄 것이 생기겠지요.

^.^

 

영화를 보는 입장에서

영화를 만드는 입장에 서보라는 것이죠.

 

꼭 만들지 않아도 됩니다.

영화를 보면서 영화를 만들 수 있습니다.

프로필 이미지 [레벨:3]형비

2015.06.29 (23:15:12)

좋은 글이네요
인간은 집착하게 만들어 졌다는데 그 본능을 거슬러 어떻게 바꾸는 것이 가능할까요? 그리고 그렇게 만들어진 것은 그럴 이유가 있어서가 아닐까요
프로필 이미지 [레벨:8]아제

2015.06.30 (16:53:09)

사실..집착이란..사회성입니다.

그 집착은 사랑..이라는 단어로 대체해도 됩니다.

 

그럴만한 이유가 있어서?

맞습니다.

 

그걸 먼저 확인해야 겠지요.

집착하게 생겨먹은..그것..그럴만한 이유가 있겠지요.

 

하지만 그렇다고 해서 꼭 그래야만 할 것은 아니지 않습니까.

아제는 인간의 정의를 이렇게 합니다."그럼에도 불구하고"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sort
공지 구조론 매월 1만원 정기 후원 회원 모집 image 29 오리 2020-06-05 88127
1297 생각의 정석 10회 오세 2013-08-28 4026
1296 우리말의 어원 김동렬 2016-01-21 4021
1295 냥모님의 글 퍼옴 image 3 김동렬 2013-04-23 4021
1294 제국의 위안부 미국버전 2 김동렬 2016-01-19 4017
1293 권구조담- 신, 별거 없다. 2 ░담 2011-01-26 4015
1292 아래에 추가 image 5 김동렬 2013-04-03 4011
1291 생각의 정석 1.1v 3회 2 오세 2013-07-11 4009
1290 뇌과학의 진화 3 오세 2012-01-22 4009
1289 장안생할 격주 목요 모임 image 3 오리 2022-08-25 4008
1288 아이들 멘탈이 왜 이리 약할까? 이상우 2023-12-06 4007
1287 노자와 공자. 8 아제 2015-07-01 4003
1286 이중의 역설 예 image 3 김동렬 2015-04-03 4003
1285 이것이 식민시관이다. 김동렬 2015-07-30 4000
1284 파퀴아오 대 메이웨더 김동렬 2015-04-09 3999
1283 흑인 하층민의 문제 1 김동렬 2016-08-25 3998
1282 몸속에는 항체의 유전자를 몇 개로도 나누어 부품화해서 가지고 있다. 4 오세 2012-02-02 3998
1281 비관론과 낙관론 김동렬 2016-01-25 3994
1280 질 입자 힘 운동 량 image 4 김동렬 2013-02-18 3993
1279 언어화의 강력함 2 이금재. 2021-07-28 3991
1278 개방형 사무실의 실패 1 김동렬 2017-02-21 399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