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읽기
프로필 이미지
[레벨:30]id: 김동렬김동렬
read 9390 vote 0 2015.06.25 (00:09:42)

193.jpg 194.jpg


202.jpg

192.jpg

203.jpg

 196.jpg 197.jpg 198.jpg 199.jpg 200.jpg 201.jpg

  

세상을 모두 설명할 수 있는 하나의 원리가 있다면 그것은 의사결정원리다. 의사결정은 짝짓기 방법을 쓴다. 짝짓기는 대칭으로 나타난다. 대칭은 토대의 공유에 의해 성립한다. 어떤 대상의 외부에서 에너지가 가해져 내부가 균일해지면 하나가 된다. 숫자 1로 나타낼 수 있다. 1은 짝짓기 방법으로 대칭을 이룰 수 있는 상태다. 이때 외력의 1과 맞서는 1로 두 개의 에너지 방향이 꼬인다. 둘이 하나를 공유하면 의사결정이 가능한 상태가 된다. 토대의 공유 상태에서 축을 움직이면 구조의 복제가 일어난다. 질, 입자, 힘, 운동, 량으로 전개한다.


    처음 물레방아를 돌리는 물은 1이 아니다. 물레방아의 회전이 유체의 균일해지는 성질을 획득함으로써 마침내 1이 된다. 1이 되면 바퀴축에 힘이 걸리며, 작용반작용의 일대일 대칭을 성립시켜 토대의 공유를 이루면 구조는 작동을 시작한다. 5회에 걸친 자기복제로 의사결정한다.


   
   


[레벨:10]다원이

2015.06.25 (08:57:41)

그러니까 입자가 된다는건 뭔가 '이거다' 라고 특정할 수 있는, 경계가 있는, 다른것과 구분이 되는 어떤 상태라고 보면 되는지요?
프로필 이미지 [레벨:30]id: 김동렬김동렬

2015.06.25 (10:11:01)

그림자처럼 이거다 하고 특정할 수 있고, 다른 것과 구분이 되는 데도, 입자가 아닌 즉, 자체적으로는 의사결정 불능상태가 있기 때문에 이런 논의가 있는 겁니다. 외부에서 작용하는 에너지를 내부에서 처리할 수 있어야 입자입니다. 반대로 이거다 하고 특정할 수 없고, 다른 것과 구분이 안 되지만 의사결정이 가능한 입자도 있습니다. 빛도 처음에는 입자가 아니라고 생각했는데 미시세계에서는 특정하기 어렵고 구분도 안 되고, 여러가지로 헷갈려서 파동이 아닌가 했는데 외부에서 가해지는 에너지를 처리하더라는 거죠. 그렇다면 입자인 거죠. 순간적으로 입자가 되는 것도 있고 특정한 조건에서만 입자일 경우도 있고 자체로는 입자가 아닌데 주변에 어떤 것이 오면 입자인 경우도 있습니다.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sort
공지 닭도리탕 닭볶음탕 논란 종결 2 김동렬 2024-05-27 25951
공지 신라 금관의 비밀 image 7 김동렬 2024-06-12 15804
6892 구조론 동영상 1 김동렬 2010-03-22 197151
6891 LK99 과학 사기단 image 김동렬 2023-08-07 71670
6890 진보와 보수 2 김동렬 2013-07-18 58772
6889 진화에서 진보로 3 김동렬 2013-12-03 58663
6888 '돈오'와 구조론 image 2 김동렬 2013-01-17 56624
6887 소통의 이유 image 4 김동렬 2012-01-19 56034
6886 신은 쿨한 스타일이다 image 13 김동렬 2013-08-15 55592
6885 관계를 창의하라 image 1 김동렬 2012-10-29 49235
6884 답 - 이태리가구와 북유럽가구 image 8 김동렬 2013-01-04 46096
6883 독자 제위께 - 사람이 다르다. image 17 김동렬 2012-03-28 45321
6882 청포도가 길쭉한 이유 image 3 김동렬 2012-02-21 42763
6881 인간은 무엇으로 사는가? image 3 김동렬 2012-11-27 42622
6880 구조론교과서를 펴내며 image 3 김동렬 2017-01-08 42489
6879 아줌마패션의 문제 image 12 김동렬 2009-06-10 42361
6878 포지션의 겹침 image 김동렬 2011-07-08 41802
6877 정의와 평등 image 김동렬 2013-08-22 41407
6876 비대칭의 제어 김동렬 2013-07-17 39441
6875 구조론의 이해 image 6 김동렬 2012-05-03 39429
6874 비판적 긍정주의 image 6 김동렬 2013-05-16 38557
6873 세상은 철학과 비철학의 투쟁이다. 7 김동렬 2014-03-18 3806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