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읽기
프로필 이미지
[레벨:30]id: 김동렬김동렬
read 6177 vote 0 2015.06.22 (23:28:32)

    187.jpg

    흩어진 양떼는 1이 아니다. 먼저 외력에 대응하여 맞설 수 있는 1을 이루고서야 대칭을 이루어 짝짓기 방법으로 의사결정할 수 있다.


188.jpg

    목동이 양떼를 이끌면 1로 발전한다. 일 대 일로 대칭을 이루어 짝을 지을 수 있다. 비로소 의사결정할 수 있다. 여기까지가 에너지에서 입자로 발전하는 과정이다. 


    구조론은 의사결정으로 본다. 의사결정은 짝짓기다. 짝짓기는 ‘1대1’ 대칭의 짝짓기다. 짝짓기를 위해서는 먼저 1을 이루어야 한다. 흩어진 양떼는 1이 아니므로 짝지을 수 없다. 그러나 목자가 양떼를 이끌면 1이 된다. 의사결정이 가능하다. 에너지는 1로 도약하기 이전 상태다.


    사건은 1에서 일어난다. 질은 1을 찾는 과정이다. 외력이 작용하여 내부가 균일해지면 1을 이룬다. 확실히 1을 이룬 상태가 입자다. 입자에서 사건은 촉발된다. 그 1을 움직여야 한다. 1이 움직여 공간적 방향을 틀면 힘, 시간적 순서를 틀면 운동이다. 움직임을 멈추면 양이다.


    구조론은 어떤 존재가 외력의 작용을 받았을 때 어떻게 내부를 추슬러 1을 이루고, 외력의 작용에 1로 맞서고, 그 1을 공간과 시간에서 움직여 사건을 전개시켜 나가는지를 해명한다. 1이 축이다. 축을 움직여 사건을 조직한다. 백지상태에서 먼저 축을 만드는 것이 민주주의다.


    축이 이미 만들어져 있다고 우기면 독재다. 바람이 불면 나뭇잎이 움직인다. 아직은 1이 아니다. 나무 전체가 움직여야 1이다. 나무 전체를 흔들려면 바람이 세게 불어야 한다. 그 힘이 나무 전체에 전달되어야 한다. 만약 밀도가 균일하지 않다면 나뭇가지 하나가 부러지고 끝난다.


    ◎ 질 - 대칭축 찾기
    ◎ 입자 - 대칭축 결정
    ◎ 힘 - 축의 공간틀기
    ◎ 운동 - 축의 시간이동
    ◎ 량 - 축의 이동정지


    자연은 하나의 패턴을 정해놓고 같은 일을 반복한다. 첫 번째 패턴에 답이 있다. 그것은 어떤 일의 시작부분이다. 먼저 첫 단추를 꿰고 다음은 패턴의 반복이다. 첫 단추는 짝짓기를 위하여 1을 만드는 것이다.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sort
공지 닭도리탕 닭볶음탕 논란 종결 2 김동렬 2024-05-27 24699
공지 신라 금관의 비밀 image 7 김동렬 2024-06-12 14382
3190 여자뇌와 남자뇌 image 1 김동렬 2016-04-08 6495
3189 구조론으로 본 의학 image 20 김동렬 2015-01-12 6491
3188 권력과 의리 4 김동렬 2018-08-11 6483
3187 깨달음이란 무엇인가? image 4 김동렬 2015-01-07 6481
3186 중간자를 제거하라 1 김동렬 2014-09-05 6478
3185 공자와 뉴턴 image 4 김동렬 2015-04-13 6476
3184 세, 법, 술로 이기는 방법 image 김동렬 2015-05-06 6472
3183 문명의 대결 image 김동렬 2015-07-16 6461
3182 인식론의 문제 image 9 김동렬 2015-01-14 6458
3181 주최측의 의도를 헤아려라 image 1 김동렬 2016-07-31 6457
3180 구조의 시뮬레이션 image 8 김동렬 2015-02-23 6446
3179 남자가 실패하는 이유 image 김동렬 2015-04-27 6445
3178 태초에 무엇이 있었는가? image 5 김동렬 2016-08-07 6436
3177 질 입자 힘 운동 량 image 3 김동렬 2015-02-25 6434
3176 인지혁명이 시작되다 image 1 김동렬 2016-06-13 6433
3175 괴짜가 창의한다? image 2 김동렬 2016-05-15 6432
3174 불확정성의 원리 image 1 김동렬 2015-03-17 6431
3173 신영복 선생의 완전성 image 김동렬 2016-01-18 6422
3172 답은 상부구조에 있다. 1 김동렬 2014-08-24 6422
3171 구조론의 정수 image 2 김동렬 2014-12-19 64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