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읽기
프로필 이미지
[레벨:30]id: 김동렬김동렬
read 6186 vote 0 2015.06.22 (23:28:32)

    187.jpg

    흩어진 양떼는 1이 아니다. 먼저 외력에 대응하여 맞설 수 있는 1을 이루고서야 대칭을 이루어 짝짓기 방법으로 의사결정할 수 있다.


188.jpg

    목동이 양떼를 이끌면 1로 발전한다. 일 대 일로 대칭을 이루어 짝을 지을 수 있다. 비로소 의사결정할 수 있다. 여기까지가 에너지에서 입자로 발전하는 과정이다. 


    구조론은 의사결정으로 본다. 의사결정은 짝짓기다. 짝짓기는 ‘1대1’ 대칭의 짝짓기다. 짝짓기를 위해서는 먼저 1을 이루어야 한다. 흩어진 양떼는 1이 아니므로 짝지을 수 없다. 그러나 목자가 양떼를 이끌면 1이 된다. 의사결정이 가능하다. 에너지는 1로 도약하기 이전 상태다.


    사건은 1에서 일어난다. 질은 1을 찾는 과정이다. 외력이 작용하여 내부가 균일해지면 1을 이룬다. 확실히 1을 이룬 상태가 입자다. 입자에서 사건은 촉발된다. 그 1을 움직여야 한다. 1이 움직여 공간적 방향을 틀면 힘, 시간적 순서를 틀면 운동이다. 움직임을 멈추면 양이다.


    구조론은 어떤 존재가 외력의 작용을 받았을 때 어떻게 내부를 추슬러 1을 이루고, 외력의 작용에 1로 맞서고, 그 1을 공간과 시간에서 움직여 사건을 전개시켜 나가는지를 해명한다. 1이 축이다. 축을 움직여 사건을 조직한다. 백지상태에서 먼저 축을 만드는 것이 민주주의다.


    축이 이미 만들어져 있다고 우기면 독재다. 바람이 불면 나뭇잎이 움직인다. 아직은 1이 아니다. 나무 전체가 움직여야 1이다. 나무 전체를 흔들려면 바람이 세게 불어야 한다. 그 힘이 나무 전체에 전달되어야 한다. 만약 밀도가 균일하지 않다면 나뭇가지 하나가 부러지고 끝난다.


    ◎ 질 - 대칭축 찾기
    ◎ 입자 - 대칭축 결정
    ◎ 힘 - 축의 공간틀기
    ◎ 운동 - 축의 시간이동
    ◎ 량 - 축의 이동정지


    자연은 하나의 패턴을 정해놓고 같은 일을 반복한다. 첫 번째 패턴에 답이 있다. 그것은 어떤 일의 시작부분이다. 먼저 첫 단추를 꿰고 다음은 패턴의 반복이다. 첫 단추는 짝짓기를 위하여 1을 만드는 것이다.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sort 조회
공지 닭도리탕 닭볶음탕 논란 종결 2 김동렬 2024-05-27 26319
공지 신라 금관의 비밀 image 7 김동렬 2024-06-12 16201
3772 프레임을 걸어 가둬라! image 김동렬 2017-04-03 12710
3771 행복의 비결 image 김동렬 2017-04-01 13662
3770 지구 둥글기 확인 image 1 김동렬 2017-03-31 12986
3769 구조론적 상황 image 1 김동렬 2017-03-29 12834
3768 구조론적인 집금방법 image 1 김동렬 2017-03-29 13398
3767 구조론 다시 읽기 image 김동렬 2017-03-27 12567
3766 지구는 둥글다 image 김동렬 2017-03-25 14049
3765 미장센이냐 편집술이냐? image 김동렬 2017-03-23 13561
3764 정말 사랑은 없다 image 1 김동렬 2017-03-23 13393
3763 구조론 한자 互 image 1 김동렬 2017-03-22 12731
3762 하이눈과 리오브라보 image 김동렬 2017-03-21 13315
3761 펜타그래프 구조론 image 김동렬 2017-03-17 13632
3760 칸트의 정언명령 image 김동렬 2017-03-14 15518
3759 구조는 분화되지 않는다 image 김동렬 2017-03-14 12325
3758 라라랜드의 아부전략 image 3 김동렬 2017-03-13 13274
3757 이것이 그것이다. image 김동렬 2017-03-10 14322
3756 총균쇠의 교활한 인종주의 image 2 김동렬 2017-03-08 13750
3755 구조론의 특수성 image 김동렬 2017-03-08 12428
3754 구조론은 무엇인가? image 김동렬 2017-03-07 12433
3753 제대로 하는게 구조론이다 image 15 김동렬 2017-03-07 1388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