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읽기
프로필 이미지
[레벨:30]id: 김동렬김동렬
read 6176 vote 0 2015.06.22 (23:28:32)

    187.jpg

    흩어진 양떼는 1이 아니다. 먼저 외력에 대응하여 맞설 수 있는 1을 이루고서야 대칭을 이루어 짝짓기 방법으로 의사결정할 수 있다.


188.jpg

    목동이 양떼를 이끌면 1로 발전한다. 일 대 일로 대칭을 이루어 짝을 지을 수 있다. 비로소 의사결정할 수 있다. 여기까지가 에너지에서 입자로 발전하는 과정이다. 


    구조론은 의사결정으로 본다. 의사결정은 짝짓기다. 짝짓기는 ‘1대1’ 대칭의 짝짓기다. 짝짓기를 위해서는 먼저 1을 이루어야 한다. 흩어진 양떼는 1이 아니므로 짝지을 수 없다. 그러나 목자가 양떼를 이끌면 1이 된다. 의사결정이 가능하다. 에너지는 1로 도약하기 이전 상태다.


    사건은 1에서 일어난다. 질은 1을 찾는 과정이다. 외력이 작용하여 내부가 균일해지면 1을 이룬다. 확실히 1을 이룬 상태가 입자다. 입자에서 사건은 촉발된다. 그 1을 움직여야 한다. 1이 움직여 공간적 방향을 틀면 힘, 시간적 순서를 틀면 운동이다. 움직임을 멈추면 양이다.


    구조론은 어떤 존재가 외력의 작용을 받았을 때 어떻게 내부를 추슬러 1을 이루고, 외력의 작용에 1로 맞서고, 그 1을 공간과 시간에서 움직여 사건을 전개시켜 나가는지를 해명한다. 1이 축이다. 축을 움직여 사건을 조직한다. 백지상태에서 먼저 축을 만드는 것이 민주주의다.


    축이 이미 만들어져 있다고 우기면 독재다. 바람이 불면 나뭇잎이 움직인다. 아직은 1이 아니다. 나무 전체가 움직여야 1이다. 나무 전체를 흔들려면 바람이 세게 불어야 한다. 그 힘이 나무 전체에 전달되어야 한다. 만약 밀도가 균일하지 않다면 나뭇가지 하나가 부러지고 끝난다.


    ◎ 질 - 대칭축 찾기
    ◎ 입자 - 대칭축 결정
    ◎ 힘 - 축의 공간틀기
    ◎ 운동 - 축의 시간이동
    ◎ 량 - 축의 이동정지


    자연은 하나의 패턴을 정해놓고 같은 일을 반복한다. 첫 번째 패턴에 답이 있다. 그것은 어떤 일의 시작부분이다. 먼저 첫 단추를 꿰고 다음은 패턴의 반복이다. 첫 단추는 짝짓기를 위하여 1을 만드는 것이다.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sort
공지 닭도리탕 닭볶음탕 논란 종결 2 김동렬 2024-05-27 24368
공지 신라 금관의 비밀 image 7 김동렬 2024-06-12 14047
3809 민주주의란 무엇인가? image 6 김동렬 2013-08-27 10187
3808 한니발과 스키피오 image 3 김동렬 2013-05-06 10184
3807 공간이 양자다. image 김동렬 2013-11-07 10180
3806 상대성이론과 구조론 image 김동렬 2018-05-16 10174
3805 쓴 글 다시 쓰기 image 7 김동렬 2013-04-04 10173
3804 믿음이란 무엇인가? image 1 김동렬 2013-03-08 10170
3803 우주는 도너츠다. image 2 김동렬 2016-10-07 10165
3802 연역하는 방법 image 3 김동렬 2012-07-01 10156
3801 사건소개 해도좋다. image 김동렬 2018-05-15 10148
3800 포지션에서 시스템까지 image 1 김동렬 2012-04-05 10139
3799 그것은 없어도 그것은 있다 image 김동렬 2013-08-26 10121
3798 주체의 영역은? 1 김동렬 2013-08-06 10115
3797 김근태는 오늘도 안녕하신가? image 김동렬 2006-11-30 10115
3796 구조론과 양자역학 김동렬 2006-06-17 10103
3795 시의 문법 김동렬* 2012-10-21 10102
3794 가능태와 현실태 김동렬 2018-06-06 10099
3793 작은 전체 image 2 김동렬 2013-05-24 10098
3792 신 인간 믿음 완전성 상호작용 image 2 김동렬 2013-03-05 10081
3791 세상의 출발 image 2 김동렬 2013-11-04 10079
3790 자유란 무엇인가? image 1 김동렬 2014-02-18 1006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