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읽기
프로필 이미지
[레벨:30]id: 김동렬김동렬
read 6129 vote 0 2015.06.22 (23:28:32)

    187.jpg

    흩어진 양떼는 1이 아니다. 먼저 외력에 대응하여 맞설 수 있는 1을 이루고서야 대칭을 이루어 짝짓기 방법으로 의사결정할 수 있다.


188.jpg

    목동이 양떼를 이끌면 1로 발전한다. 일 대 일로 대칭을 이루어 짝을 지을 수 있다. 비로소 의사결정할 수 있다. 여기까지가 에너지에서 입자로 발전하는 과정이다. 


    구조론은 의사결정으로 본다. 의사결정은 짝짓기다. 짝짓기는 ‘1대1’ 대칭의 짝짓기다. 짝짓기를 위해서는 먼저 1을 이루어야 한다. 흩어진 양떼는 1이 아니므로 짝지을 수 없다. 그러나 목자가 양떼를 이끌면 1이 된다. 의사결정이 가능하다. 에너지는 1로 도약하기 이전 상태다.


    사건은 1에서 일어난다. 질은 1을 찾는 과정이다. 외력이 작용하여 내부가 균일해지면 1을 이룬다. 확실히 1을 이룬 상태가 입자다. 입자에서 사건은 촉발된다. 그 1을 움직여야 한다. 1이 움직여 공간적 방향을 틀면 힘, 시간적 순서를 틀면 운동이다. 움직임을 멈추면 양이다.


    구조론은 어떤 존재가 외력의 작용을 받았을 때 어떻게 내부를 추슬러 1을 이루고, 외력의 작용에 1로 맞서고, 그 1을 공간과 시간에서 움직여 사건을 전개시켜 나가는지를 해명한다. 1이 축이다. 축을 움직여 사건을 조직한다. 백지상태에서 먼저 축을 만드는 것이 민주주의다.


    축이 이미 만들어져 있다고 우기면 독재다. 바람이 불면 나뭇잎이 움직인다. 아직은 1이 아니다. 나무 전체가 움직여야 1이다. 나무 전체를 흔들려면 바람이 세게 불어야 한다. 그 힘이 나무 전체에 전달되어야 한다. 만약 밀도가 균일하지 않다면 나뭇가지 하나가 부러지고 끝난다.


    ◎ 질 - 대칭축 찾기
    ◎ 입자 - 대칭축 결정
    ◎ 힘 - 축의 공간틀기
    ◎ 운동 - 축의 시간이동
    ◎ 량 - 축의 이동정지


    자연은 하나의 패턴을 정해놓고 같은 일을 반복한다. 첫 번째 패턴에 답이 있다. 그것은 어떤 일의 시작부분이다. 먼저 첫 단추를 꿰고 다음은 패턴의 반복이다. 첫 단추는 짝짓기를 위하여 1을 만드는 것이다.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sort
공지 닭도리탕 닭볶음탕 논란 종결 2 김동렬 2024-05-27 17823
공지 신라 금관의 비밀 updateimage 7 김동렬 2024-06-12 954
3799 구조값을 판단하라 image 2 김동렬 2015-05-07 6020
3798 구조론의 입장 image 김동렬 2015-02-18 6024
3797 시스템으로 이해하기 image 김동렬 2015-05-05 6024
3796 김용옥과 노자 image 김동렬 2016-02-21 6024
3795 열역학과 구조론 2 김동렬 2014-09-13 6026
3794 모든 것의 시작 image 김동렬 2015-06-23 6032
3793 구조론 최종결론 image 7 김동렬 2014-11-19 6033
3792 운동에너지는 없다. image 1 김동렬 2015-06-15 6033
3791 천하인이 될 것인가 소인배가 될 것인가? 2 김동렬 2018-08-22 6033
3790 진화론에서 구조론으로 김동렬 2014-08-25 6034
3789 진리와 인간의 일대일 image 김동렬 2014-11-18 6038
3788 북극의 북쪽에 무엇이 있을까? image 1 김동렬 2015-10-05 6039
3787 공간과 시간의 이해 image 김동렬 2015-07-30 6040
3786 세상을 유체로 이해하는 훈련을 하라. image 1 김동렬 2015-06-05 6041
3785 대수에서 기하로 image 2 김동렬 2015-01-31 6046
3784 존재는 정靜이 아니라 동動이다. image 4 김동렬 2015-05-31 6048
3783 볼테르와 그의 친구들 2 김동렬 2015-04-06 6057
3782 진짜 이야기는 이런 거다 김동렬 2016-07-09 6061
3781 누가 역사의 승리자인가? image 3 김동렬 2016-08-06 6064
3780 인생의 의미 image 2 김동렬 2015-10-09 606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