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읽기
프로필 이미지
[레벨:30]id: 김동렬김동렬
read 5541 vote 0 2015.06.18 (18:50:37)

     

    우리가 일상적으로 접촉하는 사물은 인간에 의해 자의적으로 규정되고 명명된 것이다. 여기에는 인간의 자의적인 해석이 개입되었으므로 과학의 관점에서는 이를 배척해야 한다. 인간의 관점을 배제하고 있는 그대로의 자연을 바라보면 자연의 최초 출발점은 규정되기 이전상태다. 그것은 에너지다.


    보이는 것은 물질이다. 그런데 물질은 인간에 의해 임의로 규정된 것이다. 과학의 입장에서는 이를 배척해야 한다. 무규정적인 것은 에너지다. 에너지는 인간의 관측대상으로 존재하는 그것이 모습을 갖추기 전이다. 그 에너지를 규정하는 것은 사건이다. 사건은 일련의 의사결정단위들의 집합이다.


    사건으로 보는 관점에 인과율이 있다. 인과율은 원인과 결과 둘로 구분한다. 이는 에너지의 입력과 출력만 본 것이다. 외부에서의 투박한 관찰이다. 사건 내부를 들여다보면 의사결정단위로 다섯이 있다. 에너지의 입력과 출력 사이에 특이점 형성, 공간적 방향의 지정, 시간적 순서의 지정이 있다.


    1) 에너지의 입력
    2) 특이점의 형성
    3) 공간방향 지정
    4) 시간순서 지정
    5) 에너지의 출력


    사건은 포지션 간의 짝짓기 형태로 일어난다. 공간과 시간으로 짝짓는다. 곧 대칭이다. 둘을 대칭시키려면 마주보고 연결해야 한다. 그 연결의 시작점이 특이점이다. 처음 에너지는 무규정적인 것이며 형태가 없다. 일정한 조건에서 특이점이 형성되고 공간과 시간으로 짝짓는다. 사건을 일으킨다.


    남녀가 결혼하든, 건물이 조립되든, 생물이 탄생하든 그것은 무수한 짝짓기들의 반복으로 이루어진다. 자연은 그렇게 짝을 지어 형태를 이루니 물질도 되고 햇볕도 되고 별도 되고 달도 된다. 흙도 되고 생명도 된다. 무규정적인 에너지가 대칭의 짝짓기를 꾸준히 반복하였더니 곧 형태가 일어났다.


    어떤 것이 있다고 하려면 먼저 차별화 되어야 한다. 그 어떤 것과 그 어떤 것이 아닌 것의 구분이다. 자연에서 그것은 밀도차다. 밀도차가 있으면 거기에 무언가 있는 것이다. 그냥 없다는 것은 없다. 진공이라도 거기에 그 진공이 있는 것이다. 진공과 밀도차가 있다면 보나마나 물질이 있다.


    어떤 대상 내부의 밀도가 균일하다면 우리는 그것을 포착할 수 있다. 불균일하면 그것은 하나가 아니므로 사건을 일으킬 수 없다. 짝짓기를 할 수 없다. 짝짓기는 두 점의 연결이며 둘의 연결선은 하나이기 때문이다. 내부가 균일한 상태라야 짝지을 수 있다. 그 상태에서 에너지가 투입되어야 한다.


    에너지가 균일한 상태의 어떤 대상 내부에 작용하여 특이점을 형성한 다음 그 특이점을 공간의 방향과 시간의 순서로 움직여서 짝지을 수 있다. 대칭을 일으키면 에너지의 진행방향이 꼬여서 온갖 형태가 만들어진다. 그 사건들의 집합이 널리 망라되니 곧 물질도 되고 세상도 되고 생명도 된다.


180.jpg

179.jpg


    어떤 내적으로 균일한 상태에 밀도가 다른 외부에서 에너지가 투입되면 내부에 불균일한 특이점을 형성하고, 공간적 방향과 시간적 순서로 전개하여 대칭의 짝짓기를 일으키니 에너지의 방향이 꼬여서 세상은 크게 이루어졌다. 그것이 모든 것의 출발이다. 이후 모든 것은 이 하나의 모형을 복제한다.

 


   DSC01488.JPG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sort
공지 닭도리탕 닭볶음탕 논란 종결 2 김동렬 2024-05-27 20288
공지 신라 금관의 비밀 image 7 김동렬 2024-06-12 8120
3763 원형은 무엇인가? image 2 김동렬 2012-06-11 9924
3762 공간이 양자다 1 김동렬 2013-11-09 9919
3761 상호작용의 세계관 image 5 김동렬 2013-06-04 9901
3760 왜 여성은 아름다운가? image 14 김동렬 2016-08-12 9899
3759 이제는 공간을 규명할 때 김동렬 2013-11-13 9899
3758 인간은 다 바보다. image 20 김동렬 2016-08-18 9896
3757 빛과 어둠의 이중성 image 9 김동렬 2014-04-15 9890
3756 육체와 정신 김동렬 2013-07-16 9886
3755 구조를 사랑하라 image 3 김동렬 2012-07-04 9882
3754 게임의 지배 김동렬 2006-02-21 9878
3753 우리가 잃어버린 것은 김동렬 2006-12-19 9875
3752 변방에서 출현한 새로운 강자 집단 김동렬 2006-02-16 9865
3751 구조론 100문 100답 image 10 김동렬 2012-04-04 9864
3750 아멜리 노통브의 착각 image 3 김동렬 2014-10-01 9851
3749 예측하는 방법 image 김동렬 2013-06-25 9842
3748 인문학의 탄생 image 7 김동렬 2013-04-01 9841
3747 나의 이야기 image 7 김동렬 2016-10-10 9822
3746 니체와 톨스토이 9 김동렬 2014-03-03 9822
3745 최장집의 호통개그 김동렬 2007-02-20 9813
3744 구조냐 심조냐 image 12 김동렬 2013-07-01 98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