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읽기
프로필 이미지
[레벨:30]id: 김동렬김동렬
read 6037 vote 0 2015.06.15 (16:53:30)

 


   
    167.jpg


    에너지는 일을 할 수 있는 능력이다. 위치에너지의 경우 지구와 소녀는 반대방향으로 공을 당기고 있다. 두 방향의 에너지 꼬임이다. 그 꼬임이 풀리면 일을 한다. 운동에너지의 경우 지구가 공을 당기고 있을 뿐이다. 한 방향을 가리키고 있다. 에너지의 꼬임이 없다. 에너지가 이미 일을 하고 있다. 


    에너지가 일을 할 수 있는 능력이라면 현재 일하지 않는 상태라야 한다. 운동에너지는 이미 일하고 있으므로 별도로 장치를 추가하지 않고는 달리 이용할 수 없다. 일할 수 없다. 그러므로 운동에너지는 에너지가 아니다. 


   석유에너지처럼 에너지가 아닌 에너지원을 편의상 에너지로 표기하듯이, 운동에너지에 장치를 투입하여 에너지원으로 삼을 수 있으니 편의상 에너지로 일컫더라도 맥락에 따라 말은 통하지만 운동에너지 그 자체로는 에너지가 아니다. 식당이 영업하고 있다면 돈을 밥으로 바꿀 수 있으나 돈 그 자체로는 밥이 아니다. 


DSC01488.JPG


    중요한 것은 정치, 경제, 사회, 문화, 음악, 예술, 패션 등 모든 분야에 이 두 방향 꼬임원리가 작동하고 있다는 사실입니다. 정부가 국민을 통제하는 만큼 동시에 국민도 정부를 통제할 수 있어야 합니다. 그런데 이 두 방향 중에서 하나가 꺾어져야 우리가 그 힘을 쓸 수 있습니다. 국민이 양보하거나 정부가 양보하거나죠. 새누리는 정부만 힘이 있고 국민은 힘이 없어서 망하고, 새정치는 반대로 대표가 힘이 없어서 망하는 중입니다. 문재인 대표가 당원과 국민들에게 힘을 써야 반대로 국민과 당원도 대표에게 힘을 씁니다. 양방향 소통이 되어야 에너지는 작동하는 거죠. 지금 새정치는 대표가 당원과 유권자들 위에 군림하지 않고, 당원과 유권자들 역시 대표가 어디에 짱박혔는지 모르니 완전히 망해먹은 상태라고 할 수 있죠. 국민과 대표 사이에서 소통을 방해하는 혁신위 같은 것을 박살내야 합니다. 



[레벨:1]똘추

2015.06.19 (11:16:42)

운동에너지 그 자체는 에너지가 아니다. 운동이란 상대적인 것이니까....운동이 운동이 아닌 것이다.


하지만 위치에너지는 이미 상대를 전제하기 때문에 무조건 절대적으로 에너지를 품고 있다.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공지 닭도리탕 닭볶음탕 논란 종결 2 김동렬 2024-05-27 18021
공지 신라 금관의 비밀 image 7 김동렬 2024-06-12 970
3179 세상은 구조로 되어 있다. image 김동렬 2015-08-24 5459
3178 에너지란 무엇인가? image 김동렬 2015-08-22 6008
3177 에너지는 공간을 소비한다. image 3 김동렬 2015-08-20 5729
3176 엔트로피의 법칙 image 김동렬 2015-08-20 5791
3175 미시세계와 거시세계 image 김동렬 2015-08-18 7417
3174 구조론의 출발 image 1 김동렬 2015-08-13 7345
3173 세상의 첫 번째 법칙 image 김동렬 2015-08-10 5719
3172 문제를 해결하는 방법 image 김동렬 2015-08-09 5811
3171 세상은 무엇인가? image 1 김동렬 2015-08-07 6544
3170 대칭을 훈련하라 image 김동렬 2015-08-06 8100
3169 세상은 대칭이다 image 1 김동렬 2015-08-04 6533
3168 새로 쓰는 창세기 image 3 김동렬 2015-08-03 5519
3167 다섯 가지 대칭의 이해 image 김동렬 2015-07-31 5446
3166 공간과 시간의 이해 image 김동렬 2015-07-30 6043
3165 관점의 문제 image 1 김동렬 2015-07-27 5986
3164 다섯가지 대칭의 이해 image 4 김동렬 2015-07-27 6313
3163 구조론은 업그레이드 된 인과율이다. image 6 김동렬 2015-07-24 6110
3162 사회주의와 자본주의 image 1 김동렬 2015-07-23 5821
3161 인과율과 구조론 image 1 김동렬 2015-07-22 5445
3160 인과법칙과 구조론 image 2 김동렬 2015-07-21 575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