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읽기
프로필 이미지
[레벨:30]id: 김동렬김동렬
read 5889 vote 0 2015.06.04 (19:06:56)

 142.jpg 


에너지 꼬임은 대칭으로 나타난다. 

모든 것은 대칭으로 설명되어야 한다.



143.jpg 

대칭은 둘이 하나를 공유하는 것이다. 

그 공유되는 하나가 잘 보이지 않는다는게 함정이다.


144.jpg


토대의 공유로 대칭이 성립한다. 

둘이 공유하는 하나는 밑바닥 토대에서 찾아야 한다.


145.jpg


실패는 토대의 파괴 형태로 일어난다. 

물에 빠지고 난 다음에 둘이 한 배에 탄 사실을 깨닫는다.


146.jpg


토대의 공유는 다섯가지 형태가 있다. 

에너지의 출입에 따라 하나의 사건에서 5가지로 변화된다.


147.jpg 

질의 대칭은 엄마가 아기를 임신한 것과 같다. 

둘이 하나를 공유하는데 둘을 분리하기는 불가능하다.


148.jpg


입자의 대칭은 쌍둥이가 어머니를 공유한다. 

바퀴 두 개가 바퀴축 하나를 공유하는 것과 같다.


149.jpg


힘의 대칭은 축이 둘이다. 

둘이 맞물려 돌아가며 하나가 들어오면 하나가 나가는 형태다.


150.jpg


운동의 대칭은 시간차를 두고 교대한다. 

톱니와 달리 맞물리지 않으므로 마찰하지 않는다.


151.jpg


양의 대칭은 깨진다. 

승자와 패자가 가려져 떨어져 나간다. 


대칭은 깨지기 위해 존재하는 것이다. 대칭된 상태는 이상적인 상태가 아니다. 대칭은 극복해야 할 중간단계에 불과하다. 버스정거장과 같다. 정거장은 경유지이지 목적지가 아니다. 많은 실패들은 경유지인 대칭을 목적지로 착각하기 때문에 일어난다.


DSC01488.JPG


   정답은 대칭을 만드는게 아니라 다섯가지 대칭을 차례대로 전개시키는 것입니다. 1번대칭을 깨뜨려야 2번대칭으로 진도를 뺄 수 있습니다. 2단계로 가기 위한 잠정적인 조치를 최종목적으로 착각하기 때문에 정치가 실패하는 것입니다. 야당의 실패도 이와 같습니다. '난닝구를 조지자' 하는 구호는 다음 단계로 가기 위한 전술적 선택인데 그걸 최종목적으로 착각하므로 거기서 진도를 나가지 못하고 발목이 잡혀 제자리서 맴도는 것입니다. 정당개혁도 선거에서 승리하기 위한 전술에 지나지 않습니다. 그러한 전술을 사용할수록 내부가 파괴되어 리스크를 축적할 뿐입니다. 리더는 곧 죽어도 답을 외부에서 찾아야 합니다.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공지 닭도리탕 닭볶음탕 논란 종결 2 김동렬 2024-05-27 18039
공지 신라 금관의 비밀 image 7 김동렬 2024-06-12 973
3179 세상은 구조로 되어 있다. image 김동렬 2015-08-24 5460
3178 에너지란 무엇인가? image 김동렬 2015-08-22 6008
3177 에너지는 공간을 소비한다. image 3 김동렬 2015-08-20 5729
3176 엔트로피의 법칙 image 김동렬 2015-08-20 5791
3175 미시세계와 거시세계 image 김동렬 2015-08-18 7417
3174 구조론의 출발 image 1 김동렬 2015-08-13 7345
3173 세상의 첫 번째 법칙 image 김동렬 2015-08-10 5719
3172 문제를 해결하는 방법 image 김동렬 2015-08-09 5811
3171 세상은 무엇인가? image 1 김동렬 2015-08-07 6544
3170 대칭을 훈련하라 image 김동렬 2015-08-06 8101
3169 세상은 대칭이다 image 1 김동렬 2015-08-04 6534
3168 새로 쓰는 창세기 image 3 김동렬 2015-08-03 5520
3167 다섯 가지 대칭의 이해 image 김동렬 2015-07-31 5447
3166 공간과 시간의 이해 image 김동렬 2015-07-30 6044
3165 관점의 문제 image 1 김동렬 2015-07-27 5986
3164 다섯가지 대칭의 이해 image 4 김동렬 2015-07-27 6313
3163 구조론은 업그레이드 된 인과율이다. image 6 김동렬 2015-07-24 6110
3162 사회주의와 자본주의 image 1 김동렬 2015-07-23 5822
3161 인과율과 구조론 image 1 김동렬 2015-07-22 5445
3160 인과법칙과 구조론 image 2 김동렬 2015-07-21 575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