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읽기
프로필 이미지
[레벨:30]id: 김동렬김동렬
read 5948 vote 0 2015.06.04 (19:06:56)

 142.jpg 


에너지 꼬임은 대칭으로 나타난다. 

모든 것은 대칭으로 설명되어야 한다.



143.jpg 

대칭은 둘이 하나를 공유하는 것이다. 

그 공유되는 하나가 잘 보이지 않는다는게 함정이다.


144.jpg


토대의 공유로 대칭이 성립한다. 

둘이 공유하는 하나는 밑바닥 토대에서 찾아야 한다.


145.jpg


실패는 토대의 파괴 형태로 일어난다. 

물에 빠지고 난 다음에 둘이 한 배에 탄 사실을 깨닫는다.


146.jpg


토대의 공유는 다섯가지 형태가 있다. 

에너지의 출입에 따라 하나의 사건에서 5가지로 변화된다.


147.jpg 

질의 대칭은 엄마가 아기를 임신한 것과 같다. 

둘이 하나를 공유하는데 둘을 분리하기는 불가능하다.


148.jpg


입자의 대칭은 쌍둥이가 어머니를 공유한다. 

바퀴 두 개가 바퀴축 하나를 공유하는 것과 같다.


149.jpg


힘의 대칭은 축이 둘이다. 

둘이 맞물려 돌아가며 하나가 들어오면 하나가 나가는 형태다.


150.jpg


운동의 대칭은 시간차를 두고 교대한다. 

톱니와 달리 맞물리지 않으므로 마찰하지 않는다.


151.jpg


양의 대칭은 깨진다. 

승자와 패자가 가려져 떨어져 나간다. 


대칭은 깨지기 위해 존재하는 것이다. 대칭된 상태는 이상적인 상태가 아니다. 대칭은 극복해야 할 중간단계에 불과하다. 버스정거장과 같다. 정거장은 경유지이지 목적지가 아니다. 많은 실패들은 경유지인 대칭을 목적지로 착각하기 때문에 일어난다.


DSC01488.JPG


   정답은 대칭을 만드는게 아니라 다섯가지 대칭을 차례대로 전개시키는 것입니다. 1번대칭을 깨뜨려야 2번대칭으로 진도를 뺄 수 있습니다. 2단계로 가기 위한 잠정적인 조치를 최종목적으로 착각하기 때문에 정치가 실패하는 것입니다. 야당의 실패도 이와 같습니다. '난닝구를 조지자' 하는 구호는 다음 단계로 가기 위한 전술적 선택인데 그걸 최종목적으로 착각하므로 거기서 진도를 나가지 못하고 발목이 잡혀 제자리서 맴도는 것입니다. 정당개혁도 선거에서 승리하기 위한 전술에 지나지 않습니다. 그러한 전술을 사용할수록 내부가 파괴되어 리스크를 축적할 뿐입니다. 리더는 곧 죽어도 답을 외부에서 찾아야 합니다.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sort
공지 닭도리탕 닭볶음탕 논란 종결 2 김동렬 2024-05-27 25553
공지 신라 금관의 비밀 image 7 김동렬 2024-06-12 15367
6892 구조론 동영상 1 김동렬 2010-03-22 197143
6891 LK99 과학 사기단 image 김동렬 2023-08-07 71663
6890 진보와 보수 2 김동렬 2013-07-18 58763
6889 진화에서 진보로 3 김동렬 2013-12-03 58655
6888 '돈오'와 구조론 image 2 김동렬 2013-01-17 56613
6887 소통의 이유 image 4 김동렬 2012-01-19 56023
6886 신은 쿨한 스타일이다 image 13 김동렬 2013-08-15 55582
6885 관계를 창의하라 image 1 김동렬 2012-10-29 49216
6884 답 - 이태리가구와 북유럽가구 image 8 김동렬 2013-01-04 46085
6883 독자 제위께 - 사람이 다르다. image 17 김동렬 2012-03-28 45313
6882 청포도가 길쭉한 이유 image 3 김동렬 2012-02-21 42755
6881 인간은 무엇으로 사는가? image 3 김동렬 2012-11-27 42613
6880 구조론교과서를 펴내며 image 3 김동렬 2017-01-08 42472
6879 아줌마패션의 문제 image 12 김동렬 2009-06-10 42354
6878 포지션의 겹침 image 김동렬 2011-07-08 41797
6877 정의와 평등 image 김동렬 2013-08-22 41399
6876 비대칭의 제어 김동렬 2013-07-17 39434
6875 구조론의 이해 image 6 김동렬 2012-05-03 39418
6874 비판적 긍정주의 image 6 김동렬 2013-05-16 38546
6873 세상은 철학과 비철학의 투쟁이다. 7 김동렬 2014-03-18 3804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