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읽기
프로필 이미지
[레벨:30]id: 김동렬김동렬
read 5659 vote 0 2015.06.03 (16:26:05)

   


 

134.jpg

   
    입자는 에너지의 꼬임이다.
    실재하는 것은 형태를 가진 입자가 아니라 형태가 없는 에너지다.


    135.jpg


    잡은 손을 놓으면 입자는 사라진다.
    입자는 에너지로 돌아갈 수 있고 에너지는 입자를 연출할 수 있다.


    136.jpg 


    우리는 입자만 볼 수 있다.
    우리는 무언가 방해받을 때 거기에 무엇이 있다고 여기기 때문이다.


    137.jpg 


    에너지가 손잡는 방식이 존재를 결정한다.
    물질의 속성은 입자 내부에 없고 그 바깥에 있다.


    138.jpg


    입자는 인간의 편의일 뿐 실체가 없고 위치도 없다.
    입자는 약속과 같아서 약속을 지키면 있고 어기면 없다.


   139.jpg 


    입자는 없지만 있는 걸로 친다.
    입자가 둘 있으면 위치와 형태가 명확해지기 때문이다.


    140.jpg


    입자가 쌍을 이룰 때 명확해진다.
    쌍을 이룰 때 우리가 입자를 확실히 통제할 수 있기 때문이다.


    141.jpg


    실제로 있는 것은 입자가 아니라 화살표다.
    약속은 분명 있지만 한 사람이 죽으면 약속은 사라진다.


    입자가 없으므로 결정론은 틀린 것이다. 그러나 일정한 조건에서는 결정론이 맞는 것처럼 작동한다. 약속과 같다. 두 사람이 서로 약속하고 약속을 지키는 동안에는 약속이 분명히 존재한다. 그러나 한 사람이 죽으면 약속은 없는 것으로 된다.


    입자적 상황, 결정론적 상황은 분명히 있으므로 우리는 모든 것이 그렇게 되어 있다고 확대해석하게 된다. 그러나 그 또한 연출된 것이다. 영화는 분명히 있지만 그것이 극장에서 상영되고 있는 동안만 있는 것이다. 극이 끝나면 관객은 돌아가고 필름도 망실된다. 영화는 사라진다. 그것은 원래 없었던 것이다.


    존재는 굳세게 버티어 있는 것이 아니라 일정한 조건에서 잠정적으로 연출된 것이다.


DSC01488.JPG


    입자 중심의 세계관을 던져버리면 마음은 편안해집니다. 입자 개념은 길을 가다가 어떤 벽을 만났을 때의 좌절감이 각인된 것입니다. 대상을 통제할 수 없을 때 우리는 그것이 '있다'고 여깁니다. 존재감을 느끼는 거지요. 그래서 '쪼갤 수 없는' 알갱이라는 말이 만들어졌습니다. 그러나 신의 관점에서 창조로 보면 우주는 연출된 것이며 '쪼갤 수 없다'는 것은 없습니다. 존재는 에너지의 매듭이며 풀면 풀리고 꼬면 꼬입니다. 꼬아서 세상을 이루고 풀어서 문득 사라집니다.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공지 닭도리탕 닭볶음탕 논란 종결 2 김동렬 2024-05-27 17990
공지 신라 금관의 비밀 image 7 김동렬 2024-06-12 969
3179 세상은 구조로 되어 있다. image 김동렬 2015-08-24 5459
3178 에너지란 무엇인가? image 김동렬 2015-08-22 6008
3177 에너지는 공간을 소비한다. image 3 김동렬 2015-08-20 5729
3176 엔트로피의 법칙 image 김동렬 2015-08-20 5790
3175 미시세계와 거시세계 image 김동렬 2015-08-18 7417
3174 구조론의 출발 image 1 김동렬 2015-08-13 7344
3173 세상의 첫 번째 법칙 image 김동렬 2015-08-10 5719
3172 문제를 해결하는 방법 image 김동렬 2015-08-09 5811
3171 세상은 무엇인가? image 1 김동렬 2015-08-07 6544
3170 대칭을 훈련하라 image 김동렬 2015-08-06 8100
3169 세상은 대칭이다 image 1 김동렬 2015-08-04 6533
3168 새로 쓰는 창세기 image 3 김동렬 2015-08-03 5519
3167 다섯 가지 대칭의 이해 image 김동렬 2015-07-31 5445
3166 공간과 시간의 이해 image 김동렬 2015-07-30 6041
3165 관점의 문제 image 1 김동렬 2015-07-27 5985
3164 다섯가지 대칭의 이해 image 4 김동렬 2015-07-27 6312
3163 구조론은 업그레이드 된 인과율이다. image 6 김동렬 2015-07-24 6110
3162 사회주의와 자본주의 image 1 김동렬 2015-07-23 5820
3161 인과율과 구조론 image 1 김동렬 2015-07-22 5445
3160 인과법칙과 구조론 image 2 김동렬 2015-07-21 575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