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읽기
프로필 이미지
[레벨:30]id: 김동렬김동렬
read 5609 vote 0 2015.06.03 (16:26:05)

   


 

134.jpg

   
    입자는 에너지의 꼬임이다.
    실재하는 것은 형태를 가진 입자가 아니라 형태가 없는 에너지다.


    135.jpg


    잡은 손을 놓으면 입자는 사라진다.
    입자는 에너지로 돌아갈 수 있고 에너지는 입자를 연출할 수 있다.


    136.jpg 


    우리는 입자만 볼 수 있다.
    우리는 무언가 방해받을 때 거기에 무엇이 있다고 여기기 때문이다.


    137.jpg 


    에너지가 손잡는 방식이 존재를 결정한다.
    물질의 속성은 입자 내부에 없고 그 바깥에 있다.


    138.jpg


    입자는 인간의 편의일 뿐 실체가 없고 위치도 없다.
    입자는 약속과 같아서 약속을 지키면 있고 어기면 없다.


   139.jpg 


    입자는 없지만 있는 걸로 친다.
    입자가 둘 있으면 위치와 형태가 명확해지기 때문이다.


    140.jpg


    입자가 쌍을 이룰 때 명확해진다.
    쌍을 이룰 때 우리가 입자를 확실히 통제할 수 있기 때문이다.


    141.jpg


    실제로 있는 것은 입자가 아니라 화살표다.
    약속은 분명 있지만 한 사람이 죽으면 약속은 사라진다.


    입자가 없으므로 결정론은 틀린 것이다. 그러나 일정한 조건에서는 결정론이 맞는 것처럼 작동한다. 약속과 같다. 두 사람이 서로 약속하고 약속을 지키는 동안에는 약속이 분명히 존재한다. 그러나 한 사람이 죽으면 약속은 없는 것으로 된다.


    입자적 상황, 결정론적 상황은 분명히 있으므로 우리는 모든 것이 그렇게 되어 있다고 확대해석하게 된다. 그러나 그 또한 연출된 것이다. 영화는 분명히 있지만 그것이 극장에서 상영되고 있는 동안만 있는 것이다. 극이 끝나면 관객은 돌아가고 필름도 망실된다. 영화는 사라진다. 그것은 원래 없었던 것이다.


    존재는 굳세게 버티어 있는 것이 아니라 일정한 조건에서 잠정적으로 연출된 것이다.


DSC01488.JPG


    입자 중심의 세계관을 던져버리면 마음은 편안해집니다. 입자 개념은 길을 가다가 어떤 벽을 만났을 때의 좌절감이 각인된 것입니다. 대상을 통제할 수 없을 때 우리는 그것이 '있다'고 여깁니다. 존재감을 느끼는 거지요. 그래서 '쪼갤 수 없는' 알갱이라는 말이 만들어졌습니다. 그러나 신의 관점에서 창조로 보면 우주는 연출된 것이며 '쪼갤 수 없다'는 것은 없습니다. 존재는 에너지의 매듭이며 풀면 풀리고 꼬면 꼬입니다. 꼬아서 세상을 이루고 풀어서 문득 사라집니다.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sort
2960 깨달음 3 김동렬 2018-08-06 5646
2959 보편 평등 민주 자본 사회 김동렬 2016-07-07 5644
2958 바둑구조론 image 1 김동렬 2016-05-02 5644
2957 구조론의 원점 김동렬 2016-06-17 5642
2956 구조론이 쉬운 이유는? image 7 김동렬 2015-04-28 5637
2955 사랑 107, 변하지 않는 나 image 1 김동렬 2016-05-16 5636
2954 언어의 족보를 찾아라 1 김동렬 2016-07-15 5630
2953 공자 끝, 말을 알아야 사람을 안다 image 1 김동렬 2016-02-29 5628
2952 논어 8, 어진 사람만이 미워한다 image 김동렬 2016-02-04 5628
2951 정유재란의 주범 노자 image 3 김동렬 2016-06-03 5626
2950 존재란 무엇인가? 2 김동렬 2018-08-27 5612
» 에너지에서 존재로 image 김동렬 2015-06-03 5609
2948 구조와 시스템 image 김동렬 2015-03-12 5607
2947 노자가 중국을 죽였다 image 김동렬 2016-06-01 5606
2946 공자와 노자 사상의 뿌리 image 김동렬 2016-02-25 5602
2945 니체 쇼펜하우어 공자 image 김동렬 2016-03-24 5601
2944 모름지기 깨달을 일이다 image 2 김동렬 2015-08-27 5597
2943 구조론이란 무엇인가? image 김동렬 2015-05-18 5595
2942 고쳐 쓴 우주의 기원 image 김동렬 2015-09-08 5594
2941 공자 13, 나면서 아는 사람 image 김동렬 2016-02-10 559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