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읽기
프로필 이미지
[레벨:30]id: 김동렬김동렬
read 7066 vote 0 2015.05.18 (23:39:35)

         

94.jpg

    철학의 첫 번째 물음은 세상의 존재는 무엇으로 되어 있는가이다. 아무도 이 질문에 답하지 않았다. 세상은 존재로 되어 있고 존재는 에너지에 질서를 심어 이루어졌다. 


95.jpg


96.jpg


    공간의 대칭은 총알의 충돌처럼 외부에서 성립한다. 시간의 대칭은 내부에서 작동한다. 내부의 것을 외부로 끌어내면 사건은 시작된다. 비로소 존재의 단위는 작동을 시작한다. 


    충돌하는 두 힘이 같으면 대칭을 이루어 교착된다. 공간의 건축이다. 한쪽이 크면 흡수되거나 혹은 파괴된다. 공간의 구축은 태초의 에너지 요동에서 두 힘이 대칭을 이루면서 시작되었다. 세상은 이루어졌다. 


97.jpg


    인간이 집을 짓거나 자동차를 제작할 때는 작은 것을 모아 큰 것을 이룬다. 그러나 이는 자연스럽지 않다. 자연은 자연스러워야 하므로 이런 번다한 절차를 쓰지 않는다. 자연은 실이 얽히듯 있는 것이 꼬인 것이다. 자연은 쉬운 길로 간다.


98.jpg


    원자는 집을 짓는 인간의 방법이다. 에너지는 생명을 키우는 자연의 방법이다. 자연의 방법을 쓰면 포드시스템을 쓰지 않아도 이미 포드시스템이다. 일괄타결 된다. 물질과 공간과 시간의 조립문제가 해결되어 있다. 자연의 대칭성 하나로 모두 설명한다. 에너지가 요동치면 물질은 저절로 생긴다. 번거롭게 원자를 일일이 조립하지 않아도 된다. 

    

    DSC01488.JPG


    구조론을 공부하면 근대과학을 떠받치고 있는 인간의 사유수준이 얼마나 유치한지 깨닫게 됩니다. 왜 과학이 종교를 못 이기는지, 왜 과학에 의지하는 진보가 생존본능에 의지하는 보수를 못 이기는지 알아채게 됩니다. 그 과학이 틀렸고 그 진보가 틀렸기 때문입니다. 크게 방향을 틀어야 합니다. 에너지와 하나되어 에너지가 가는 길을 가야 합니다. 에너지와 분리된 과학은 죽은 과학입니다. 모든 것은 에너지 자체의 논리로 설명되어야 합니다. 에너지는 눈이 없고 코도 없고 귀도 없는 무규정적인 것입니다. 분리와 결합의 단위가 존재하지 않습니다. 혼돈에 일곱개의 구멍을 뚫어 마침내 죽인 자는 누구일까요? 진보입니다. 구멍을 뚫지 말고 그 에너지에 그냥 올라타야 합니다. 에너지는 칸을 나누면 죽습니다.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sort
공지 닭도리탕 닭볶음탕 논란 종결 2 김동렬 2024-05-27 13482
3607 구조론 백이십문백이십답 image 김동렬 2016-09-11 6777
3606 사건의 결을 따라가기 김동렬 2014-07-30 6795
3605 해파리의 실패 image 1 김동렬 2015-06-19 6803
3604 물리법칙 image 1 김동렬 2015-03-21 6806
3603 열린 사회는 힘이 있다 2 김동렬 2018-07-28 6815
3602 용기있는 자가 진리를 본다 image 4 김동렬 2015-05-04 6818
3601 손가락을 가리키면 달을 본다 image 2 김동렬 2015-02-04 6825
3600 미련한 곰도 깨달을 수 있다. image 3 김동렬 2015-01-20 6830
3599 자기 둥지로 시작하라 2 김동렬 2014-07-05 6832
3598 에너지의 카오스와 코스모스 image 1 김동렬 2015-06-28 6838
3597 인생의 비애가 그곳에 있다 image 1 김동렬 2016-07-29 6850
3596 구조로 보아야 역사가 보인다 image 2 김동렬 2014-12-04 6855
3595 동적균형의 모형 image 2 김동렬 2014-05-28 6857
3594 무에서 유로 도약하라 1 김동렬 2014-07-03 6857
3593 대칭이란 무엇인가? image 2 김동렬 2015-03-31 6858
3592 1초 안에 깨달아야 한다 image 1 김동렬 2016-08-28 6873
3591 세상은 이렇게 만들어졌다. image 17 김동렬 2015-04-24 6877
3590 도덕경이란 무엇인가? image 2 김동렬 2015-07-03 6896
3589 인간이 불행한 이유 image 2 김동렬 2015-10-28 6896
3588 공자의 죽음과 부활 image 김동렬 2016-04-29 69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