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론실
프로필 이미지
[레벨:15]LPET
read 6933 vote 0 2009.11.02 (09:50:16)

 교과목의 분류는 학문의 분류인데, 중고등교과목들은 대부분 전공이 나눠지지 않기 때문에 정확한 분류라고는 하기 어려울것같소. 따라서 아래의 분류도 대략적인 의미만 챙기면 될것같소.


질 : 수학(대수와 기하), 철학, 물리, 문법(언어) -  다른 학문을 발생시키는 근원적인 과목이다.

입자 : 화학, 생물(의학), 지구과학(천문학), 지리(지질학) - 질의 과목이 각각의 독립된 시공간적 계(영역)에서 개별과학으로 전개된다. 수학과 물리는 분자단계에서 화학으로, 세포단계에서 생물로, 지질단계에서 지구과학과 지리로, 우주적 크기의 천문학으로 발현된다. 철학과 언어(문법)는 종교, 윤리, 국어, 영어, 한문 등으로 발현됨.

힘 : 기술, 농업, 공업, 가정, 상업, 수산업, 가사, 컴퓨터 - 힘의 과목들은 공학에 속한다. 이들은 어떤 식으로든 힘을 제어하고 있다. 전자공학, 기계공학, 화공학은 기존의 억압에 맞서서 사회변화를 촉발하는 원인이 된다. 가령, 성억압은 포르노잡지(제지기술), 포로노 비디오(기계전자공학), 포르노 사이트(정보공학)의 등장으로 점차 소멸되고, 가정주부는 냉장고 세탁기 청소기의 등장으로 가사에서 해방되고, 아이들의 무지는 인터넷 검색기로 해결되듯이, 공학은 기존의 질서와 맞서 새 질서를 만든다.

운동 : 정치, 경제, 사회, 문화, 역사(국사, 세계사) - 힘의 맞섬에서 탄생한 공학의 결과물들은 정치 경제 사회 문화 역사 같은 사회과학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끼친다. 가령, mp3의 등장은 음반산업(경제)과 일상생활(사회 문화)을 송두리째 바꿔버렸다.

량 : 문학(독서, 작문, 화법, 독해, 회화), 미술, 음악, 체육(무용 교련?) - mp3,  pmp, 인터넷단말기 등은 최종적으로 e북, 이미지, 음반, 동영상, 게임, 채팅을 소비하는 것으로 끝난다. 전자공학은 음반산업이나 공연문화의 변화를 유발하고, 이 변화는 음반과 공연의 폭발적인 소비로 귀결된다.



[레벨:12]부하지하

2009.11.02 (11:16:19)

만물은 하나의 구조체이다. 하나는 갖추어진 구조로서의 하나이고, 그 갖춤이 질, 입자, 힘, 운동, 양이다.
모니터가 하나라서 하나의 일을 하고, 젓가락이 하나라서 하나의 일을 한다. 군더더기 없이 구조를 드러낸다.
구조로 본다는 것은 일로 보는것이고 추상으로 보는 것이다. 모니터가 하는 일은 수신받은 것을 출력하는것이고, 젓가락이 하는것은 이래저래 생긴것들을 입크기에 맞게 잘라 주는것이다. 단순한 하나의 구조가 드러난다.
 학문은 무엇인가?  나의 어제와 오늘과 내일을 그무엇이 이어주었다. 그것이 학문이다. 개인에게 인격일수 있는 그것이 인류의 학문이다.

[레벨:17]눈내리는 마을

2009.11.03 (04:36:27)

우리나라의 경우, 한번도 세계사에 기여해본적이 없었기 때문에,
질에 해당하는, 질 : 수학, 철학, 물리, 문법을
질 그대로 배운적이 없습니다. 오히려 양적으로 주입해서 배운셈이죠.

그게 단기성과에서는 의미가 있는데, 장기성과, 즉, 선진국으로 돌입하려는 지금의 찰나에
해결책을 주지 못합니다.

그렇다면, 다시 질로 돌아가서, 질 : 수학, 철학, 물리, 문법을 가르쳐야하는가...?
똑같이 한다면 이길수 없습니다.

질을 낳는 자궁 즉 학문의 뿌리를 탐색해서, 더 상부구조에서 솔루션을 찾아야 합니다.

확실히 현재의 인문학 강단 혹 지식인들은 '해결책'을 회피하고 있습니다.
조로하거나 (히피), 배반하거나 (타락), 무책임합니다. (분절)

서구 지식인사회가 좀 낳았던 상황도 있었는데,
그도 그렇지 못하게 상황은 악화되고 있습니다.

삶의 결론이 무엇인지. 고작, 돈이나 쫓다가, 닭쫓던 개신세 될것인지.
그렇지 않다면, 참다운 인생은 무엇인지.
이제는 답해야하고, 전개해야합니다. 그래서 신의 형상대로 삶을 완성해야합니다...
프로필 이미지 [레벨:22]id: ░담░담

2009.11.05 (20:21:54)

현천님 숙제 파장이 커지오.
학문 분류 관련 검색을 하다가. 5차원 학습법이란 걸 보게 되었소.
기독교인이며 공학도인 원동연이란 이가 구조를 학습에 활용하고 있구료.

구조 발견에 의하여, 발명 시작되었구랴.

잼있소.( http://www.5edu.org/info/mv.aspasp ) 동영상 모음페이지 걸어두오.
학습법 관심있는 분들 함보시길 권하오.

학습법, 한 칼을 갈고 계신 현천님,
함 둘러보시고, 품평을 겸하여 "정답"도 부탁 드리오.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sort
공지 구조론 매월 1만원 정기 후원 회원 모집 image 29 오리 2020-06-05 83022
1988 후쿠시마 원전오염수 국제소송 준비토론회 image 수원나그네 2018-12-03 1401
1987 한국이 양궁을 잘하는 이유 chowchow 2022-04-22 1401
1986 생명로드 31 - 한반도는 이미 탈원전시대 수원나그네 2018-12-06 1402
1985 땅값 집값 문제 13 - 토지임대정책 수원나그네 2018-01-24 1409
1984 생명로드44 - 일본 원전오염수, 그리고 탈핵학회 image 1 수원나그네 2019-07-09 1409
1983 땅값 집값 문제 17 - 개성공단 모델 1 수원나그네 2018-01-29 1411
1982 관측자의 차원 복습 현강 2020-09-03 1416
1981 종교의 시대 눈마 2018-06-15 1420
1980 상품과 금융시스템에 대한 유효수요 2 현강 2019-08-06 1420
1979 수학의 기원과, 아랍 (페르시아)의 역할 image dksnow 2023-01-07 1420
1978 과거, 미래, 우리들의 사정 5 현강 2020-07-23 1422
1977 이번 주 구조론 모임은 취소 되었습니다. image 오리 2020-12-09 1422
1976 생명탈핵실크로드 25 - 태양광 시대, 우리 삶은 어떻게 바뀔까 image 수원나그네 2018-04-25 1424
1975 생명로드 38 - The Second Schedule (2019 July~ 2020 Aug) image 수원나그네 2019-04-12 1425
1974 경기부양 전략 레인3 2022-06-23 1428
1973 강제징용문제에 대한 일본 변호사들 의견[수정] 2 수원나그네 2019-07-15 1432
1972 온라인 모임으로 대체합니다. 김동렬 2022-03-17 1433
1971 개구리 소년 흉기는? image 10 김동렬 2022-06-10 1433
1970 월별 정기후원내역 게시판 1 오리 2020-07-01 1435
1969 사건의 눈 systema 2019-10-28 143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