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론실
프로필 이미지
[레벨:30]id: 김동렬김동렬
read 3743 vote 0 2015.04.16 (18:29:06)

sportskhan_20150416114507545.jpeg


http://sports.media.daum.net/sports/general/newsview?newsId=20150416114507102 

     
    영상 속에서 '강해'와 '더블샤이닝'이 결승점을 앞두고 우열을 가릴 수 없는 레이스를 펼치던 중, '더블샤이닝'이 앞서나가기 시작하자 분을 이기지 못한 '강해'가 '더블샤이닝'의 엉덩이를 물려고 했던 것. 출발이 좋았던 '강해'는 시종일관 선두를 유지하고 있었는데 결승선을 코앞에 두고 선두를 내주는 것이 무척이나 분했던 것으로 보인다.

 

###

 


댓글을 보면 많은 네티즌들이 

강해의 행동을 우연한 행동으로 해석하고 


경주마들이 경주의 의미를 모른다고 단정하고 있습니다. 

그런데 이건 동물의 지능을 우습게 보는 시선이 아닐까요? 


요즘은 주막집 강아지 3년에 라면 끓이는 세상입니다.

페북에 많지만 아빠가 아기를 때리는 시늉을 하니까 고양이가 말린다든가 


심지어 토끼가 싸우니까 닭이 말린다거나 이런 동영상은 많습니다.

특히 동물이 사람 아기를 보호하려는 행동은 많습니다.


동물은 아기가 보호되어야 할 존재라는걸 아는 거에요.

동물병원에서 환자동물을 돌보는 검은고양이 사진도 많은데 아프다는걸 압니다.


저울이가 내 팔뚝을 물어도 

딱 아픈데만 골라서 물지만 절대 세게 물지는 않습니다.


옷 소매 위는 절대 물지 않는다는 거죠. 

서로간에 암묵적으로 합의된 깨물기 규칙이 있는 거에요.


경주마가 경주를 잘 하면 칭찬을 받고 당근을 먹는데

왜 말이 경주의 의미를 모르겠습니까?


여행자들이 몽골의 초원을 자동차로 달리면 

말떼가 나타나서 자동차와 나란히 달리는데 누가 빠르냐 경주를 하자는 식입니다.


자동차를 보고 도망치는게 아니라 근처에 다가와서 같이 달리려고 합니다.

말들은 원래 달리는 것을 좋아하고 한 번 달리기 시작하면 지기 싫어 합니다.


초원을 뛰어노는 말떼의 맨 앞에 달리는 말이 대장수컷이기 때문이죠.

특히 경주마는 다른 말을 뒤따라가면 얼굴에 모래가 튀기 때문에 앞지르려고 하죠.


경주 몇 번 해보면 자연히 경주의 의미를 이해하게 됩니다.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sort
공지 구조론 매월 1만원 정기 후원 회원 모집 image 29 오리 2020-06-05 84129
2173 군자의 친목질 new 1 chow 2024-06-16 39
2172 장안생활 격주 목요 모임 image 오리 2024-06-06 134
2171 장안생활 격주 목요 모임 image 오리 2024-05-23 137
2170 세계일주 시작 되었개 강원닮아 2024-06-06 190
2169 장안생활 격주 목요 모임 image 오리 2024-05-08 228
2168 AI 엑스포 초대 image 1 chow 2024-06-13 253
2167 좋은 일과 나쁜 일 이상우 2024-05-23 255
2166 상호작용을 늘리는 교사가 되자 이상우 2024-05-24 273
2165 장안생활 격주 목요 모임 image 오리 2024-04-25 285
2164 자아에 대한 생각 update 6 SimplyRed 2024-06-11 325
2163 시민의회 소식 수원나그네 2024-05-03 339
2162 장안생활 격주 목요 모임 오리 2024-03-27 382
2161 장안생활 격주 목요 모임 image 1 오리 2024-04-10 390
2160 방향전환과 초끈이론 1 서단아 2024-05-23 402
2159 장안생활 격주 목요 모임 image 오리 2024-03-13 418
2158 상부구조와 동원력 SimplyRed 2024-04-02 448
2157 세계일주를 앞두고.. 지난 8년의 결과물을 공유합니다. 1 강원닮아 2024-06-02 450
2156 장안생활 격주 목요 모임 image 오리 2024-02-28 476
2155 성품교육의 허상, 그냥 부모 니 인생이나 잘 살아라. 이상우 2024-05-17 514
2154 두 가지 곱셈, 기수와 횟수 그리고 서수 chow 2024-04-14 516